* [[대한민국/지명]], [[남구(울산)]] [include(틀:남구(울산)의 법정동)] ||<-2> '''[[남구(울산광역시)|{{{#000000,#dddddd 남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야음장생포동}}}'''[br]也音長生浦洞 | Yaeumjangsaengpo-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구 야음장생포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구 || || '''행정표준코드''' || 3700063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여천동, 야음동,[br] 장생포동, 매암동}}} || || '''하위 행정구역''' || 31통 213반 || || '''면적''' || 13.00㎢ || || '''인구''' || 8,520명[*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55.3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남구 을'''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기현]] ,,(4선),, || ||<-2> '''울산광역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방인섭]] ,,(초선),, || ||<-2> '''남구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장호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인서(정치인)|박인서]]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여천로12번길 50 || || [[https://www.ulsannamgu.go.kr/dong/yajang/|야음장생포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 [[남구(울산)|남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넓은 면적임에도 지역 대부분이 항만 및 공업 단지로 이루어져 거주 지역은 북서쪽의 여천천 변과 대현동, 선암동에 접한 서쪽에 집중되어 있다. 남동쪽으로 울산신항이 자리하고, 북동쪽으로는 울산본항이 자리하여 산업 시설과 교통 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다. 서쪽으로 [[동해선 광역전철]]이 지나가고, 항만 물류 수송을 위한 장생포선이 울산항역으로 이어진다. [[태화강]] 하구에서 [[울산대교]]를 통하여 [[동구(울산)|동구]]와 이어지며, 울산본항 및 울산신항을 중심으로 주변에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어 [[롯데정밀화학]], [[한화솔루션]], [[현대모비스]], 효성 울산공장 등 대기업 공장이 집중되어 있다. 남쪽에 자리한 장생포항을 중심으로 한 고래문화마을과 장생포고래박물관, 고래생태체험관,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등이 있다. == 관할 법정동 == === 여천동 === ||<-2> '''[[남구(울산광역시)|{{{#000000,#dddddd 남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여천동}}}'''[br]呂川洞 | Yeoche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구 여천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구 || || '''행정표준코드''' || 3114010700 || || '''관할 행정동''' || 야음장생포동 || || '''면적''' || 6.60㎢ || 마을 앞에 좋은 우물이 있어서 ‘여천(麗泉)’이라 하였다가 이후 ‘여천(呂川)’으로 한자가 바뀌었다고 한다. 현재 이 우물은 사라졌다. 대부분 지역을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가 차지하고 있어 한국[[바스프]] 울산화성공장, [[한화케미칼]] 울산공장, [[대한유화]] 울산공장, [[태광산업]] 석유화학공장 등의 공장 단지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울산항과 장생포항이 인접하여 물류 운반을 위한 여러 철로들이 개설되어 있다. 서쪽에는 [[동해선 광역전철]]이 지나가고, 장생포선과 울산항선이 여천동의 남단과 동쪽으로 분기되어 있다. [clearfix] === [[야음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야음동)] === 장생포동 === ||<-2> '''[[남구(울산광역시)|{{{#000000,#dddddd 남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장생포동}}}'''[br]長生浦洞 | Jangsaengpo-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구 장생포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구 || || '''행정표준코드''' || 3114011800 || || '''관할 행정동''' || 야음장생포동 || || '''면적''' || 0.74㎢ || 포경 기지의 중심지였던 장생포항이 있으며, 장생포치안센터, 장생포보건지소, 장생포우체국, 장생포문화지원센터 등이 있다. 서쪽 경계에 매암동의 고래문화마을, 장생포고래박물관이 있어 장생포항과 함께 고래를 상징물로 하는 콘텐츠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clearfix] === 매암동 === ||<-2> '''[[남구(울산광역시)|{{{#000000,#dddddd 남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여천동}}}'''[br]呂川洞 | Yeoche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구 여천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구 || || '''행정표준코드''' || 3114010700 || || '''관할 행정동''' || 야음장생포동 || || '''면적''' || 6.60㎢ ||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매호동의 매(梅)와 교암동의 암(岩)을 조합하여 지은 이름이다.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어 [[효성그룹|효성]] 울산공장, [[한온시스템]] 울산공장, [[삼양제넥스]] 울산공장 등이 있고 동북쪽에 [[울산항]]이 있다. 국내 유일의 장생포고래박물관과 고래생태체험관,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장생포 고래바다여행선, 고래문화마을 등 고래와 관련한 인프라가 구축된 특화 지역으로 새로운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공업 단지 배후 지역으로 교통 및 주거 환경이 열악하여 지역 인구는 점차 감소하고, 주민의 고령화 및 저소득화로 사회 복지 분야 행정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낙후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clearfix] == 주요 시설 == === 기관 === * 야음장생포동주민센터 * [[울산도서관]][*참고 사실상 [[삼산동]] 권역이다.] * 장생포동 우체국 * 야음1동 우편취급국 * [[남부소방서(울산)|울산남부소방서]] 여천, 장생포119 안전센터 * 울산해양경찰서 울산항파출소 * [[울산항만공사]] * [[울산지방해양수산청]], 울산항 해상교통관리센터 * [[한국교통안전공단]] 울산자동차검사소 * [[KT]] 남울산전화국 === 교육 === * 초등학교 * 여천초등학교 * 장생포초등학교 * 중학교 * 태화중학교[*참고] === 체육 === * 울산남구국민체육센터 == 교통 == === 버스 === 모든 노선은 법정동 야음동 권역을 경유하며, 이외의 권역을 경유하는 경우에 한해 해당 권역을 기재하였다. ==== 직행좌석 ==== * [[울산 버스 1421]] : 여천동 운행, [[울산대교]] 경유 ==== 일반 ==== * [[울산 버스 126]] * [[울산 버스 216]] * [[울산 버스 226]] : 야음본동, 여천동, 매암동, 장생포동 운행, [[울산항]] 부두 경유 * [[울산 버스 236]] : 용연동 (한국가스공사)까지 지원운행 * [[울산 버스 246]] : 여천동, 매암동, 장생포동 운행 * [[울산 버스 256]] : 여천동, 매암동, 장생포동 운행 * [[울산 버스 266]] : 용연동까지 운행 * [[울산 버스 406]] : 여천동, 매암동, 장생포동 운행 * [[울산 버스 426]] ==== 지선 ==== * [[울산 버스 976]] : 야음본동 운행 === 철도 === * ~~화물철도: [[야음역]] (폐역), [[울산항역]][* 운행중단 후 수소연료전지트램 실증사업용으로 사용중], [[장생포역]] (이상 운행중단)~~ [[분류:울산광역시의 동]] [[분류:남구(울산)의 행정구역]] [[분류:남구(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