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 '''{{{#ffffff {{{+1 Jan van Riebeeck}}}}}}''' || ||<:><#000000>'''{{{#white 본명}}}'''||Jan Van Riebeeck[br]얀 반 리베크 || ||<|2><:><#000000>'''{{{#white 출생}}}'''||[[1619년]] [[4월 21일]] || ||[[네덜란드 공화국]] [[헬데를란트]] [[퀼렘보르흐]] || ||<|2><:><#000000>'''{{{#white 사망}}}'''||[[1671년]] [[1월 18일]] (51세)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자카르타]] || ||<:><#000000>'''{{{#white 국적}}}'''||[[네덜란드]] || ||<:><#000000>'''{{{#white 직업}}}'''||상사원, 항해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얀 반 리베크'''(Jan Van Riebeeck)는 네덜란드의 식민지 책임자이자, 케이프 식민지를 건설한 인물이다. == 생애 == 반 리베크는 [[퀼렘보르흐]]에서 수술의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스히담]]에서 자라 그곳에서 1649년 3월 28일 마리아와 결혼했다. 163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서 들어가 여러 교역소에서 일하며, [[동인도]]의 [[바타비아]] 지역에서는 수술의 보조로도 일했었다. 1643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일본 교역소가 있는 [[나가사키]] 데지마로 파견되었다. 이후, 1645년 [[인도차이나]] [[통킹]]에서 무역 책임자로 역임했다. 그러나, 이 당시에 부정 축재한 것이 걸려 해임당했다. 1651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남아공]]에 네덜란드 정착지를 만들기 위해 반 리베크를 지도관으로 파견하였고, 1652년 4월 6일 2개의 선박과 함께 [[케이프타운]] 지역으로 이주했다. 4월 7일에 3번째 선박이 도착하여, 총 82명의 남자와 8명의 여자들과 함께 이곳에서 자리를 잡으며 무역 항로의 중계지를 건설하였다. 1652년부터 1662년까지 케이프 식민지의 지도관으로 지내면서 요새[* 해당 요새는 반 리베크가 케이프 식민지를 떠난 이후 1666년에서 1679년 Castle of Good Hope라는 요새가 지어지며 대체되었다.] 를 지었으며, 곡물, 과일, 채소등을 재배하였다. 1659년에는 괴혈병 퇴치를 목적으로 케이프 식민지에 포도밭을 만들어 와인을 생산했다. == 혜성 == 반 리베크는 1652년 12월 17일 남아공에서 C/1652 Y1 혜성을 목격했다고 기록했다. 이 혜성은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혜성이다. 이후 1997년 5월 3일에 발견된 소행성 (9249) 반 리베크가 해당 인물의 이름에 따서 명명되었다. == 여담 == 많은 [[아프리카너]]들이 반 리베크를 건국의 아버지로 여겨 1940년에서 1994년까지 반 리베크의 초상화를 우표와 화폐에 새겨 사용했다. 또한 4월 6일은 반 리베크의 날[* 1952년부터 1973년까지의 명칭] 또는 건국일로 기념되었다가 1994년 폐지되었다. [[분류: 1619년 출생]][[분류: 1677년 사망]][[분류: 네덜란드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