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한강의 교량)] || {{{-2 {{{#555,#aaa 하류 방면}}}}}}[br]← [[양평대교]] ||<-2><#006fb9> '''[[남한강|{{{#fff 남한강의 교량}}}]]''' || {{{-2 {{{#555,#aaa 상류 방면}}}}}}[br][[양평교]] → || ||<-4><#004a8b> {{{#fff {{{+2 '''양근대교'''}}}[br]楊根大橋 | Yanggeundaegyo(Way Bridge)}}} || ||<-4><#ffbf00> {{{#black ▲ [[마유산로|{{{#black '''마유산로 (양평읍 방면)'''}}}]]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98)] }}} || || {{{-1 {{{#555,#aaa [[한강|{{{#555,#aaa 한강 하류}}}]] 방면}}}}}}[br]오빈IC[br]← - km ||<-2><#ae1932> [[양근로|{{{#fff '''양근로'''}}}]] || {{{-1 {{{#555,#aaa [[양평읍|{{{#555,#aaa 양평}}}]] 방면}}}}}}[br][[양평군청]][br]- km → || || {{{-1 {{{#555,#aaa [[퇴촌면|{{{#555,#aaa 퇴촌}}}]] 방면}}}}}}[br][[팔당댐 관리교]][br]← - km ||<-1><#ae1932> [[다산로|{{{#fff '''강남로'''}}}]][br][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88)] ||<-1><#ae1932> [[경강로|{{{#fff '''강남로'''}}}]][br][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88)]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98)] || {{{-1 {{{#555,#aaa [[금사면|{{{#555,#aaa 금사}}}]] 방면}}}}}}[br][[양평교]][br]- km → || ||<-4><#004a8b> {{{#fff ▼ [[중부내륙고속도로|{{{#fff '''중부내륙선'''}}}]] [[남양평IC|{{{#fff '''남양평 나들목'''}}}]] [[파일:Expressway_kor_45.svg|width=25]]}}} || ||<-4>{{{#!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양근대교, 너비=100%, 높이=225)]}}} || ||<-4><#c0c0c0,#3f3f3f> '''다국어 표기'''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중국어(간체) || 杨根大桥 || || 가타카나 || ヤンピョン大橋 ||}}}}}}}}} || ||<-4><#c0c0c0,#3f3f3f> '''위치''' || ||<-4>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북단) || ||<-4>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 (남단) || ||<-4><#c0c0c0,#3f3f3f> '''개통''' || ||<-4> [[1997년]] [[12월 23일]] || ||<-2> '''시공''' ||<-2> '''관리''' || ||<-2> [[한양건설|[[파일:한양건설 로고.svg|width=80]]]] ||<-2> [[서울지방국토관리청|[[파일:서울지방국토관리청.jpg|width=100%]]]] || ||<-4><#c0c0c0,#3f3f3f> '''길이 / 폭''' || ||<-4> 길이 765m, 폭 12m(왕복 2차선) || ||<-4> '''구조형식''' || ||<-4> PSC상자형 (상부)[br](main span bridge) || [목차] [clearfix] [[파일:211127양근대교.jpg]] 야간에 촬영한 양근대교이다. 건너편은 [[양평군/행정#s-1.2|강상면]]이다.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양평군]] [[양평군/행정#s-1.1|양평읍]]과 남쪽 [[양평군/행정#s-1.2|강상면]]을 잇는 길이 765m, 왕복 2차선의 교량으로 교량구간만 양근대교길로 지정되어 있다. 옆 교량 [[양평교]]의 노후화 해결과 제한되어있는 통행차량 [[무게]]를 해결하고, 양평교에 다니는 차량들을 분산하기 위해 [[1992년]] [[12월]] 착공하여 5년 후인 [[1997년]] [[12월 23일]]에 완공되었다. 양평군민들 중 일부는 제2양평교, 혹은 제2양평대교라고 한다. 이 다리의 이름은 양평읍 '양근리'가 시점이라서 양근대교로 지었다. 본래 1년 전인 [[1996년]] [[10월]] 완공 예정이었으나 번잡한 안전검사에 [[1993년]] [[한강]] [[홍수]] 때문에 1년 연기되었다. 무거운 [[화물차]]나 [[자동차]]는 이 양근대교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하며, 남한강 경치와 어울리게 하기 위하여 다리 중앙부에 [[용문산]]을 본땄다는 산 모양의 구조물을 세웠다. 교량 남단에 병산 회전교차로와 함께 [[중부내륙고속도로]] [[남양평IC]]가 생긴 후 양평읍의 관문으로 발돋움했고, 교통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경기도 당국은 기존 2차선 교량을 4차선으로 확장하는 계획이 있으며 2024년 준공 예정이다. [[http://m.kyeongin.com/view.php?key=20190516010006674|기사]] [[분류:남한강의 교량]][[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분류:1997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