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안남도의 시군)] {{{+1 陽德郡 / Yangdŏk County}}} |||| {{{+2 양덕군}}} [br] 陽德郡 / Yangdŏk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역시도 || [[평안남도]] || || 시간대 || UTC+9 || ||<-3><:> [include(틀:지도, 장소=Yangdŏk County)]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안남도]]에 있는 군으로 넓이는 1,395㎢(광복 직후) / 772㎢(현재). 현재 광복 직후 행정구역상 양덕군 지역의 인구는 9~10만 명 정도로 추측되며, 북한에서 쓰고 있는 행정구역을 기준으로는 인구가 6만 명 정도 되는 군이다. 군 남쪽으로는 산맥이 이어져서 [[황해도]] [[곡산군]]과의 경계선을 이어주고 있다(이쪽의 평균 높이는 대략 900~1,000m 정도). [[평라선]]([[평원선]])이 지나가며 중심지는 [[양덕역]]이 있는 양덕읍. 군청 소재지는 양덕읍과 동양면을 4번이나 오가다가 1921년 현재의 양덕읍으로 확정, 양덕읍을 신읍(新邑), 동양면을 구읍(舊邑)이라고 부른다. 대탕지, 소탕지, 석탕지 등 [[온천]]이 많아 김정은이 외화벌이용 치적사업으로 [[양덕온천문화휴양지]]를 세웠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 서북쪽의 5개 면을 잘라서 '[[신양군]]'을 신설했다. 참고로 이 신양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새로운 양덕군이라는 뜻이다.[* 남한 역시 [[전라남도]] [[신안군]]의 경우, 1969년 [[무안군]]에서 분리되면서 '새로운 무안'이란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하지만 정작 '신양군'의 소재지는 [[광복]] 당시 [[성천군]] 지역(대구면)에 있다.[* 다만 대구면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까지는 양덕군에 속하긴 했다.] 여담으로 이 지역은 [[함경남도]] 지방과도 인접해 있어 [[동북 방언]]이 많이 배인 [[서북 방언]]을 사용한다고 한다. 북한 제1의 간선인 평라선이 지나고[* 평라선이 막히면 북한의 동서를 연결하는 철도는 평라선보다 훨씬 열악한 상태의 [[북부내륙선]]과 [[청년이천선]]이 끝이다.] 현재 [[조선인민군]] 측이 보유한 전략 미사일 무기들이 다수 포진해있어, 전략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 역사 == [[고려시대]]에 현재의 동양면 지역에 양암성(陽巖城), 양덕읍 지역에 수덕성(樹德城)을 쌓았고 각각 양암진과 수덕진을 설치했다. [[조선]] 초인 1396년 두 고을을 합쳐 양덕현이 되었고 1895년 양덕군이 되었다.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대구면을 [[성천군]]으로 넘겨주었다.[* 대구면을 성천군에 넘겨준것 외에 면의 통폐합은 없었다. 부군면 통폐합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은 행정구역 중 하나.] 군청 소재지는 양덕읍과 동양면을 4번이나 오가다가 1921년 현재의 양덕읍으로 확정되었다. 광복 직후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전국의 모든 읍을 일괄적으로 면으로 강등하면서 양덕읍이 양덕면으로 강등되었다. 남북분단으로 [[북한]] 치하에 넘어갔고, 1952년 북한이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양덕군의 서북부 지역을 잘라 [[신양군]]을 신설해 면적이 축소되었다. 2019년 12월 7일 [[김정은]]의 치적사업인 [[원산]]•양덕관광지구의 일부인 [[양덕온천문화휴양지]]가 개장하였다. 기존의 온천장과 부대시설을 대대적으로 재건축하여 온천장과 휴양소, 스키장 등의 복합관광단지로 조성되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평안남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양덕군기.png|width=50%]] [[파일:양덕군.jpg]] 광복 당시 1읍 6면. 이후 7면. * '''양덕읍'''(陽德邑) * 관할 리 : __용계(龍溪)__, 봉계(鳳溪), 세동(細洞), 수덕(樹德), 용흥(龍興), 운니(雲泥), 인평(仁平), 지수(智水), 창(倉), 청송(靑松), 태평(太平), 풍전(豊田) * 군청 및 읍소재지는 용계리이며, 면적 322.2㎢로 이북 5도 행정구역상 전국에서 두번째로 넓은 읍이다.[* 가장 넓은 읍은 면적 772㎢의 [[경성군]] 주을읍.] 원래 구룡면(九龍面)이었으나 1929년 낙천면(洛川面)을 흡수하면서 군청소재지가 되었고 1941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리하여 '신읍(新邑)'이라고 한다. 양덕온천이 있다. * '''대륜면'''(大倫面) * 관할 리 : __사기(士基)__, 공진(孔眞), 괘송(掛松), 구룡(九龍), 수주(水注), 인흥(仁興), 통동(通洞) * 아호비령을 통해 [[함경남도]] [[문천군]]와 통하는 지역이다. * '''동양면'''(東陽面) * 관할 리 : __하석(下石)__, 상석(上石), 성북(城北), 수암(水巖), 신흥(新興), 용산(龍山), 지경(地境), 흘평(屹坪) * 원래 군내면(郡內面)이었다가 1917년 양덕면으로 개칭되고, 1921년 군청이 구룡면(양덕읍)으로 이전하면서 다시 동양면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군청이 4차례나 바뀌다가 1929년에 구룡면(현 양덕읍)으로 정착하였다. 이리하여 '구읍(舊邑)'이라고 한다. * '''쌍룡면'''(雙龍面) * 관할 리 : __평창(平倉)__, 관봉(冠峰), 반성(盤城), 북창(北倉), 용반(龍盤), 용봉(龍峰), 용전(龍田), 정옥(丁玉), 중(仲), 화락(化樂) * 1929년 상룡면(上龍面)과 하룡면(下龍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신양군]] 옛 소재지. 신양군 현 소재지는 이웃한 [[성천군]] 대구면에 해당된다. * '''오강면'''(吳江面) * 관할 리 : __창(倉)__, 등암(鄧巖), 봉암(鳳巖), 신봉(新峰), 신흥(新興), 쌍룡(雙龍), 연봉(蓮峰), 용담(龍潭), 월명(月明) * '''온천면'''(溫泉面) * 관할 리 : __온정(溫井)__, 거차(巨次), 상국(上菊), 상신(上信), 상청(上淸), 은우(隱牛), 일양(日陽), 진석(眞石), 창(倉), 평암(平巖), 하국(下菊), 하청(河淸) * 거차령을 통해 [[고원군]]과 이어진다. '온천'면이라는 이름답게 석탕온천이 있으며 이 자리에 김정은이 [[양덕온천문화휴양지]]를 세웠다. * '''화촌면'''(化村面) * 관할 리 : __백석(白石)__, 문암(文巖), 문흥(文興), 쌍평(雙坪), 여의(如意), 용흥(龍興), 장성(長星), 창개(昌介), 평곡(平谷), 풍계(楓溪), 화암(花巖) == 출신 인물 == * [[김홍도 목사]] [[분류:평안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