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 || {{{#fff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 관련 둘러보기 틀'''}}}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include(틀:파산게임)] ||<-5><#cb413f> '''[[양띵TV|[[파일:양띵TV 로고.svg|width=20&height=20]] {{{#fff 양띵TV}}}]] [[양띵/대규모 콘텐츠|{{{#fff 대규모 콘텐츠}}}]] 진행 순서''' || || '''{{{-3 인생상가 초대 시즌}}}[br][[양띵/대규모 콘텐츠#인생상가 시즌2|[[파일:인생상가 시즌2 로고.png|width=130]]]]'''[br]{{{-2 2021. 4. 30}}} ||<#fafafa,#191919> {{{+1 →}}} ||<#fc8381,#b22222> {{{#000 '''{{{-3 파산게임 이벤트 시즌}}}'''[br][[파일: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 로고.png|width=130]][br]{{{-2 2021. 7. 6}}}}}} ||<#fafafa,#191919> {{{+1 →}}}|| '''{{{-3 파산게임 정규 시즌}}}[br][[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파산게임 시즌4|[[파일:파산게임 시즌4 로고.png|width=130]]]]'''[br]{{{-2 2021. 9. 10}}}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fff 양띵TV}}} [[양띵/대규모 콘텐츠|{{{#fff 대규모 콘텐츠}}}]]'''[br]{{{#ffffff {{{+1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 (2021)}}}}}} || ||<-3> [[파일: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 로고_배경.jpg|width=100%]] || ||<-2> '''생방송 시간''' ||금 23:00 ~ 토 01:30 || ||<-2> '''방송 기간''' ||[[2021년]] [[7월 16일]] ~ [[2021년]] [[8월 28일]] || ||<-2> '''방송 횟수''' ||6회차 || ||<-2> '''기획''' ||[[양띵]], [[양띵TV/콘텐츠 제작팀/닭껍질팀|닭껍질팀]], 애좀 || ||<-2> '''생방송''' ||[[트위치|[[파일:트위치 로고.svg|height=20]]]] || ||<-2> '''모작''' ||[[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파산게임 시즌2|[[파일:파산게임 시즌2 로고.png|height=30]]]] [[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파일: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로고.png|height=30]]]] || ||<-2> '''게임 유형''' ||멤버 팀전, 전략, 타이쿤, 경제 || ||<-2> '''제작팀''' ||[[양띵TV/콘텐츠 제작팀/닭껍질팀|닭껍질팀]], 애좀 || ||<-2> '''참가팀''' ||거울치료 팀[* [[삼식]](팀장), [[양띵]](팀원).], 꽃추회전 팀[* [[후추(인터넷 방송인)|후추]](팀장), [[눈꽃(인터넷 방송인)|눈꽃]](팀원).], 개돼지 팀[* [[콩콩]](팀장), [[루태]](팀원).], 조이스틱 팀[* [[다주]](팀장), [[서넹]](팀원).] || ||<-2> '''우승팀''' ||'''거울치료 팀'''[* [[삼식]](팀장), [[양띵]](팀원)] || ||<-2> '''스트리밍''' ||[include(틀:유튜브 표시)]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d1_qS4noIb1RBFkIxFKiapV2v73zNRhW|▶]] || [목차] [clearfix] == 개요 == || {{{#fff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 예고편'''}}} || || [youtube(k7wR2YiExcg)] || 2021년 7월 16일에 인생상가 시즌2 종료 이후 진행된 [[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의 파생작인 양띵TV 대규모 콘텐츠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을 서술하는 문서. 약칭 '''파2리팀, 파이리팀''' 등으로 불린다. 진행은 모작인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의 운영자인 [[양띵TV/콘텐츠 제작팀/닭껍질팀|닭껍질팀]]과 개인 애좀이 맡았다. 파산게임2 리턴즈에서는 눈꽃이 군입대로 불참했으나 눈꽃이 복귀하면서 양띵크루 모두가 참여하게 되었다. == 방송 전 정보 == 6월 12일, 양띵의 유튜브에 예고편이 업로드되며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의 진행이 확정되었다.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가 큰 호평을 받고 성적도 좋았기에 많은 기대를 받았다. 이후 6월 17일 방송에서 7월 16일에 진행됨이 확정되었다. == [[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와의 차이점 == 우선 가장 큰 차이점은 '''아르바이트생 제도 삭제'''이다. 파산게임 시즌3 리턴즈처럼 팀전으로 진행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르바이트생 제도가 삭제되면서 원주민 제도도 삭제되면서 원주민 시스템이 자동 판매로 바뀌었다. 과수원의 개수도 4개에서 8개로 증가되었고 판매 물품 일부가 추가/삭제되었다. 컨셉도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와 달리 여름 컨셉이다. == 콘텐츠 규칙 == > [[https://cafe.naver.com/familyyd/2891643|콘텐츠 정보]]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은 매 일차마다 2시간 30분씩 플레이한다.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은 여타 파산게임 시리즈와 같이 다른 플레이어들을 파산시키고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팀장 / 팀원 === 0일차에 팀장과 팀원을 정한다. 팀장은 건물 등이 팀장의 소유로 건설되며 '''팀장 파산 시 팀 전체가 파산된다.''' 파산될 시 파산된 플레이어는 경매로 나가게 된다. 팀원은 파산 시 팀은 파산되지 않고 해당 팀원만 경매로 나가게 된다. 이 때, 파산되기 전의 팀에선 경매에 참가할 수 없다. === 파산시키기 === 상대방을 파산시키기 위해선 카지노에서 도박을 돌려야 한다. 이 도박 시스템의 다른 시즌과의 차이점은 '''특정 플레이어 지정 저격, 금액 지정'''이다. 랜덤 도박은 '''1.5배''', 저격 도박은 '''1.3배'''로 상대방의 돈이 차감된다. 돈이 '-(마이너스)'가 된 이후 10분 이내로 '+(플러스)'로 회복되지 않는다면 '''파산'''된다. === 유령돈 규칙 === 유령돈 규칙이란, '''차감 예정인 돈으로 저격 도박을 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에게 주는 등의 비매너 행위를 금지'''하는 규칙이다. 예를 들어 가지고 있는 돈이 100만 YD이고 130만 YD의 저격을 맞았다면 가지고 있는 100만 YD로는 저격 도박을 할 수 없고,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줄 수도 없다. 물론 비매너 행위를 금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복권 도박이나 판매권 구매 등의 생산적인 활동에 사용하는 것은 규제 대상이 아니다[* 간혹 멤버들조차 이 규칙을 헷갈려 아예 못쓴다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비매너 행위가 아니라면 사용 가능하다.]. === 아르바이트생 고용 === 아르바이트생은 기본적으로 일꾼과 같으나,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으며 1시간 동안 자신을 고용한 플레이어에게 고용된다. == 게임 요소 == === 상가 === 상가 자리는 총 8개가 존재한다. 상가는 구멍가게, 편의점, 마트, 백화점의 총 4단계가 존재하며 상가의 등급마다 등록할 수 있는 물품이 다르며 업그레이드 할 때마다 판매 시 보너스 금액이 추가된다. 처음 시작 시에는 기본 집이 부여되며, 기본 집의 위치는 파산게임 시즌2의 위치대로 정해졌다. 상가 내에는 상자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자의 위치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화로는 무제한 설치가 가능하지만 물품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모든 물품의 등록권은 3만 YD이다.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상점 업그레이드}}}}}}'''}}} || || '''상점명''' || '''업그레이드 가격''' || '''상자 수''' || '''등록 제한 개수''' || '''등록 가능 품목''' || '''물품 판매 보너스''' || || 집 || 기본 제공 || 2개 || 0개 || 없음 || - || || 구멍가게 || 200,000 YD || 4개 || 5개 || '''스낵류''' || - || || 동네슈퍼 || 500,000 YD || 10개 || 10개 || 스낵류 / '''면류''' || - || || 편의점 || 700,000 YD || 16개 || 20개 || 스낵류 / 면류 / '''제과제빵류''' || +100 YD || || 마트 || 1,000,000 YD || 24개 || 30개 || 스낵류 / 면류 / 제과제빵류 / '''가공식품류''' / '''냉동식품류''' || +200 YD || || 백화점 || 3,000,000 YD || 36개 || ∞ || 스낵류 / 면류 / 제과제빵류 / 가공식품류 / 냉동식품류 / '''주류''' || +400 Y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도시 상점 부지 배치}}}}}}'''}}} || || [[파일: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도시 상점 부지 배치.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상점 업그레이드 형태}}}}}}'''}}} || || [[파일: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 상점 업그레이드 형태.png|width=100%]]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상가 보유 현황}}}}}}'''}}} || || || {{{#red 양띵}}} || {{{#brown 삼식}}} || {{{#deeppink 서넹}}} || {{{#black 후추}}} || {{{#limegreen 콩콩}}} || {{{#purple 다주}}} || {{{#deepskyblue 루태}}} || || 1일차 || X || X || X || X || X || X || X || || 2일차 || 3번 || X || 6번 || 7번 || X || X || 2번 || || 3일차 || 3번 || X || 6번 || 7번 || O || O || 2번 || === 과수원 === 과수원 입장권은 5000YD에 구매가 가능하고, 매 회차마다 판매되는 입장권의 개수가 8개로 제한되어 있다. 개인 과수원은 15만YD로 구매 가능하고 개수가 8개로 제한되어 있으며, 15만YD로 2단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개인 과수원 보유 현황은 아래와 같다.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개인 과수원 보유 현황}}}}}}'''}}} || || || {{{#red 양띵}}} || {{{#brown 삼식}}} || {{{#deeppink 서넹}}} || {{{#black 후추}}} || {{{#limegreen 콩콩}}} || {{{#purple 다주}}} || {{{#deepskyblue 루태}}} || || 1일차 || 3번 || X || 1번 || X || X[*A 구매하였지만 등록하지 않은 상태이다.] || 4번 || X || || 2일차 || 3번 || X || 1번 || X || X[*A] || 4번 || X || || 3일차 || 3번 || X || 1번 || X || 2번 || 4번 || X || === 농장 === 농장은 작은땅, 큰땅 각각 7개가 준비되어 있으며, 작은땅은 10만YD, 큰땅은 50만YD이다. 농장은 매 회차마다 최대 증설 가능 한계가 완화된다. 1층 증설의 경우 흙 64개, 6만YD를 필요로 한다.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작은 땅 보유 현황}}}}}}'''}}} || || || {{{#red 양띵}}} || {{{#brown 삼식}}} || {{{#deeppink 서넹}}} || {{{#black 후추}}} || {{{#limegreen 콩콩}}} || {{{#purple 다주}}} || {{{#deepskyblue 루태}}} || || 1일차 || X || X || 4번 || 2번 || X || 1번 || 7번 || || 2일차 || X || - || 4번 || 2번 || - || 1번 || 7번 || || 3일차 || X || - || 4번 || 2번 || - || 1번 || 7번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큰 땅 보유 현황}}}}}}'''}}} || || || {{{#red 양띵}}} || {{{#brown 삼식}}} || {{{#deeppink 서넹}}} || {{{#black 후추}}} || {{{#limegreen 콩콩}}} || {{{#purple 다주}}} || {{{#deepskyblue 루태}}} || || 1일차 || X || X || X || X || X || X || X || || 2일차 || X || 4번, 5번 || X || X || X || 1번 || X || || 3일차 || 2번 || - || - || - || - || 1번 || - || === 목장 === 목장은 양, 소 스폰알을 판매하고 7개가 준비되어 있으며, 각각 15만YD이다. 목장에서는 닭 스폰알을 판매하지 않는다.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목장 보유 현황}}}}}}'''}}} || || || {{{#red 양띵}}} || {{{#brown 삼식}}} || {{{#deeppink 서넹}}} || {{{#black 후추}}} || {{{#limegreen 콩콩}}} || {{{#purple 다주}}} || {{{#deepskyblue 루태}}} || || 1일차 || 3번 || X || 1번 || 6번 || X || X || 7번 || || 2일차 || 3번 || - || 1번 || 6번 || - || 5번 || 7번 || || 3일차 || 3번 || - || 1번 || 6번 || - || - || 7번 || === 상점 === 상점에서는 각종 광물을 판매하고 기계, 요리기구, 씨앗 등을 구매할 수 있다.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BE2, #0075C3)" '''{{{+2 {{{#fff 상점}}}}}}'''}}} || || '''상점 분류''' || '''물품명''' || '''구입가''' || '''판매가''' || '''구매 제한''' || || 씨앗 상점 || 각종 씨앗 || 1,000 YD || - || - || ||<|33> 도시 공용 상점 || 조약돌 || - || 1 YD || - || || 자갈 || - || 1 YD || - || || 석탄 블록 || - || 500 YD || - || || 철 블록 || - || 1,300 YD || - || || 금 블록 || - || 2,000 YD || - || || 청금석 블록 || - || 1,200 YD || - || || 레드스톤 블록 || - || 1,100 YD || - || || 다이아몬드 블록 || - || 5,000 YD || - || || 에메랄드 블록 || - || 9,000 YD || - || || 호박 || - || 100 YD || - || || 수박 || - || 100 YD || - || || 밀 || - || 150 YD || - || || 감자 || - || 30 YD || - || || 당근 || - || 40 YD || - || || 깃털 || - || 150 YD || - || || 가죽 || - || 200 YD || - || || 달걀 || - || 20 YD || - || || 사탕수수 || - || 20 YD || - || || 씨앗 || - || 10 YD || - || || 모든 나무 || - || 23 YD || - || || 사과 || - || 200 YD || - || || 모든 나무 묘목 || - || 60 YD || - || || 수련잎 || - || 100 YD || - || || 모든 양털 || - || 100 YD || - || || 익히지 않은 돼지고기 || - || 300 YD || - || || 익히지 않은 소고기 || - || 300 YD || - || || 익히지 않은 닭고기 || - || 200 YD || - || || 익히지 않은 토끼고기 || - || 250 YD || - || || 익히지 않은 양고기 || - || 300 YD || - || || 날생선 || - || 100 YD || - || || 생연어 || - || 400 YD || - || || 흰동가리 || - || 400 YD || - || || 복어 || - || 400 YD || - || ||<|8> 요리기구 상점 || 도마 || 12,000 YD || - || - || || 스튜용 냄비 || 10,000 YD || - || - || || 절구와 절굿송이 || 2,000 YD || - || - || || 주스기 || 4,000 YD || - || - || || 냄비 || 10,000 YD || - || - || || 소스 냄비 || 10,000 YD || - || - || || 믹싱 볼 || 5,000 YD || - || - || || 빵틀 || 4,000 YD || - || - || ||<|4> 유물 탐지기 상점 || 일반 유물 탐지기 || 50,000 YD || - || - || || 중급 유물 탐지기 || 100,000 YD || - || - || || 고급 유물 탐지기 || 200,000 YD || - || - || || 초고급 유물 탐지기 || 300,000 YD || - || - || ||<|3> 회생 쿠폰 상점 || 100 YD 조정 || 75,000 YD || - || - || || 300 YD 조정 || 150,000 YD || - || - || || 500 YD 조정 || 225,000 YD || - || - || ||<|3> 너를 망치겠어! 상점 || 100 YD 조정 || 27,000 YD || - || - || || 300 YD 조정 || 81,000 YD || - || - || || 500 YD 조정 || 135,000 YD || - || - || || 물품 등록 해제권 상점 || 물품 등록 해제권 || 10,000 YD || - || - || 위 표를 보면 낚시류들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낚시 관련 콘텐츠가 있음에도 관련 물품들이 주목을 받지 않자 후에는 낚시 관련 물품인 깐장새우장이 삭제되고 마약계란장이 추가되어 낚시는 아무도 하지 않게 되었다. === 차 === 자동차를 구매할 수 있으며 염색, 엔진, 바퀴 등을 착용하는 등의 튜닝이 가능하다. 자동차는 무단 절도가 금지된다. === 시청 === 매 회차 종료 시 보유 금액의 10%를 지불해야 한다. 여담으로 파산게임 시즌2에서는 "세금청" 이었다. === 전당포 === 은행에 위치하며 자신이 보유한 가게, 과수원, 농장, 목장 등을 맡겨 50%의 금액을 받을 수 있다. 다음 회차 종료까지 해당 금액을 갚지 않으면 전당포 소유의 경매로 넘어가게 된다. 최대 1개만 획득 가능한 물품을 2개를 획득[* 경매 등]한 회차에만 두 곳을 사용 가능하며, 회차 종료 시까지 둘 중 무엇을 사용할 것인지 정해야 한다. 선택하지 않은 물품의 가격은 돌려받지 않고 다음 회차에 판매된다. === 무역 === 무역 국가는 각각 계란파국, 애국, 드림국, 화려성국이 존재하며 국가마다 성공 확률, 판매 수익, 최대 적재량이 다르다. 무역 실패 시 적재량의 70%를 돌려받는다. 무역의 가격은 "너를 망치겠어"와 상가 물품 판매 보너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가격이 원가를 기준으로 책정된다는 것.] === 모델하우스 === 모델하우스에서 상가 및 개인 과수원을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 판매권 상점 === 3만YD로 물품 등록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게의 업그레이드 현황에 따라 등록할 수 있는 품목이 다르다. 물품 등록을 해제할 수 있는 물품 등록 해제권 또한 판매한다. == 물품 조합법 == == [[/진행 과정|진행 과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진행 과정)] == 결과 == ||<-2> {{{#fff '''최종 결과'''}}} || || {{{#red '''1등'''}}} || '''거울치료 팀'''[* 삼식(팀장), 양띵(팀원)] || || '''2등''' || 조이스틱 팀[* 다주(팀장), 서넹(팀원)] || || '''3등''' || 꽃추회전 팀[* 후추(팀장), 눈꽃(팀원)] || || {{{#blue '''4등'''}}} || 개돼지 팀[* 콩콩(팀장), 루태(팀원)] || ||<-8> {{{#fff '''재산 순위 Ver.1'''}}} || ||<-2> '''팀''' || '''1일차''' || '''2일차''' || '''3일차''' || '''4일차''' || '''5일차''' || '''6일차''' || ||<|2> {{{#994c00 '''거울치료'''}}} || {{{#994c00 '''삼식'''}}} ||<|2> - ||<|2> - ||<|2> - ||<|2> - ||<|2> - ||<|2> {{{#red '''1등'''}}}[br]{{{#red {{{-2 '''우승'''}}}}}} || || {{{#c41124 '''양띵'''}}} || ||<|2> {{{#202020 '''꽃추회전'''}}} || {{{#202020 '''후추'''}}} ||<|2> - ||<|2> - ||<|2> - ||<|2> - ||<|2> 3등[br]{{{-2 '''파산'''}}} ||<#ddd><|2> {{{-2 '''파산'''}}} || || {{{#e0e0e0 '''눈꽃'''}}} || ||<|2> {{{#80ff00 '''개돼지'''}}} || {{{#80ff00 '''콩콩'''}}} ||<|2> - ||<|2> - ||<|2> - ||<|2> - ||<|2> {{{#blue '''4등'''}}}[br]{{{-2 '''파산'''}}} ||<#ddd><|2> {{{-2 '''파산'''}}} || || {{{#99ccff '''루태'''}}} || ||<|2> {{{#660066 '''조이스틱'''}}} || {{{#660066 '''다주'''}}} ||<|2> - ||<|2> - ||<|2> - ||<|2> - ||<|2> - ||<|2> 2등[br]{{{-2 '''파산'''}}} || || {{{#ff66b2 '''서넹'''}}} || ||<-7> {{{#fff '''재산 순위 Ver.2'''}}} || || '''순위''' || '''1일차''' || '''2일차''' || '''3일차''' || '''4일차''' || '''5일차''' || '''6일차''' || || {{{#red '''1등'''}}} || - || - || - || - || - || {{{#994c00 '''거울치료'''}}}[br]{{{#red {{{-2 '''우승'''}}}}}} || || '''2등''' || - || - || - || - || - || {{{#660066 '''조이스틱'''}}}[br]{{{-2 '''파산'''}}} || || '''3등''' || - || - || - || - || {{{#202020 '''꽃추회전'''}}}[br]{{{-2 '''파산'''}}} ||<#ddd> {{{#202020 '''꽃추회전'''}}}[br]{{{-2 '''파산'''}}} || || {{{#blue '''4등'''}}} || - || - || - || - || {{{#80ff00 '''개돼지'''}}}[br]{{{-2 '''파산'''}}} ||<#ddd> {{{#80ff00 '''개돼지'''}}}[br]{{{-2 '''파산'''}}} || == [[/업로드된 동영상|업로드된 동영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팀전/업로드된 동영상)] == 사운드트랙 == ||<-3> {{{#fff '''파산게임 시즌2 사운드트랙'''}}} || ||<-3> [youtube(BpC823Ra53g)]|| 총 10곡으로, 장소에 따라 재생되는 BGM이 다르다. * 여름이 왔다! - 예고편 * Summer N Water - 트레일러 * La, Chica! - 메인화면 * Summer HoOK! - 스폰 * Summer Bang - 도시 * Bon voyage - 무역항 * Sun Shouting - 농장&목장 * 수장은 수장이랑 - 카지노 * 내가 죽을 것 같아? - 시청 * 여름이었다. - 엔딩 == 평가 및 반응 == === 긍정적 평가 === * '''모작의 정체성을 살린 리메이크''' 모작인 파산게임 시즌2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전반적인 시스템이 업그레이드 되었다. 자칫 잘못하면 아예 다른 콘텐츠처럼 보일 수 있었으나 단점으로 꼽혔던 원주민 시스템 등이 크게 보완되며 완벽한 업그레이드라는 호평을 받았다. * '''개선된 원주민 시스템으로 인한 밸런스 균형''' 모작인 파산게임 시즌2 당시에는 이 원주민 구매 시스템으로 인해 몇몇 특정 멤버들에게만 쏠린다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이 때문에 특정 멤버에게 쏠리지 않게 하기 위해 원주민이 등록된 모든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방향으로 패치가 진행됐으나, 이는 파산게임 시즌1의 자동 판매 시스템과 별반 다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원주민 구매 방식이 사전 서버에서 물품을 구매한 후 본 서버에서 랜덤적으로 판매되는 방식으로 변경되며 밸런스 문제도 잡을 수 있게 되었고 파산게임2의 정체성도 가져갈 수 있게 되었다. * '''짧은 진행 일차로 인한 높은 접근성''' 이전에 진행했던 파산게임 시즌3 리턴즈처럼 오래 진행하지 않다 보니 양띵TV 대규모 콘텐츠에 처음 입문할 때 파산게임3 리턴즈와 함께 추천되는 콘텐츠 중 하나이다. 모작인 파산게임2 리턴즈를 꼭 보지 않아도 이해에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접근성도 용이하며 첫 입문에도, 가볍게 보기에도 좋은 편이다. 요즘 영상 길이는 줄이고 핵심만 내보내는 것이 추세인 시대인 만큼 짧은 진행 일차는 호평받는 부분이다. === 부정적 평가 === * '''획일화된 돈벌이 수단''' 모작인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와 동일한 문제점이다. 파산게임 시즌3와 달리 초반에는 광질만 하고 후반에는 돈벌이 수단이 농장, 목장으로 획일화 되어있다. 양봉장 시스템도 있으나 이 양봉장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멤버는 없었고 사용하는 멤버조자 큰 이득은 없었다. 낚시 시스템도 있었으나 낚시가 워낙 불리하다보니 이후에는 아예 낚시를 이용한 물품이 다른 물품으로 대체되어 이 콘텐츠에서 낚시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파산게임2의 정체성을 위해 다양성을 희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아쉬운 부분. == 흥행 및 시청률 == * [[https://twitchtracker.com/yd0821|twitchtracker]] 사이트 기준. * '''{{{#blue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 '''{{{#red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 ||
'''{{{#ffffff 일차}}}''' || '''{{{#ffffff 방송일}}}''' || '''{{{#ffffff 평균 시청자수}}}''' || '''{{{#ffffff 최고 시청자수}}}''' || || '''0''' || 2021. 07. 16 || 13,514 || {{{#blue '''20,722'''}}} || || '''1''' || 2021. 07. 23 || 20,325 || 25,122 || || '''2''' || 2021. 07. 30 || 15,896 || 30,513 || || '''3''' || 2021. 08. 06 || 17,489 || 31,392 || || '''4''' || 2021. 08. 13 || 18,418 || 33,279 || || '''5''' || 2021. 08. 20 || 16,492 || 30,747 || || '''6''' || 2021. 08. 27 || 23,407 || {{{#red '''36,460'''}}} || * 최고 시청자수는 일차를 진행하면서 상승하며 7일차에 최고 시청자수 '''약 36,000명'''을 기록했다. * 전반적으로 성적이 상당히 잘 나왔다. 모작인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보다 시청률이 높게 나왔다. 유튜브도 모든 영상의 조회수가 10만을 넘었다. == 모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 앵커=파산게임 시즌2)]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 여담 == * 정규 시즌급의 규모로 진행된 [[양띵/대규모 콘텐츠/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와 달리 파산게임 시즌3 리턴즈와 같이 이벤트 시즌급의 규모로 진행되었다. *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는 기존에 1.7.10 버전으로 진행해왔던 다른 파산게임 시리즈들과 달리 1.12.2로 진행하기 때문에 왼손 사용, 인챈트 방식의 변화 등 기존 파산게임 시즌들과는 사뭇 다르다. 스마트무빙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으나, 파산게임은 컨트롤은 크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관없다는 의견이 많다. 실제로 스마트무빙의 부재로 인한 불편함은 없었고, 고버전이기 때문에 편리한 점들이 훨씬 많았다. *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의 [[/물품 조합법|물품들]] 중 일부는 실제 판매되는 상품을 패러디했고, 해당 상품에 멤버들의 마인크래프트 캐릭터가 들어가 있다. * 패러디한 물품 중 버터허니칩은 과거 [[허니버터칩#s-3|허니버터칩 대란]] 당시 양띵이 패러디한 콘텐츠인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d1_qS4noIb2Huk-P8WdDG8kWkvQ_huKX|버터허니칩 대결]]이라는 콘텐츠에서 먼저 쓴 적 있었다. * 멤버십 풀버전의 멤버별 퍼스널컬러 이모티콘은 양띵[🔴], 삼식[🟤], 서넹[🐙], 후추[⚫], 눈꽃[⚪], 콩콩[🟢], 다주[🟣], 루태[🔵] 이다. 다른 멤버들은 색깔 동그라미를 사용한 반면 서넹만 문어 이모티콘을 사용했다. [[분류:양띵TV 대규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