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양산 금조총 금동관.jpg]] [[http://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81122001133663#hedaer|사진 출처 : 두피디아 북정동 금조총 출토유물 (北亭洞金鳥塚 出土遺物)]]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양산시]]의 [[북정리 고분군]] 중 금조총(金鳥塚)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금동관. 현재 부산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양산 금조총 금동관2.jpg|width=300]] [[https://blog.naver.com/mallarmel/220003454939|사진 출처 : 양산 북정리 고분군, 신기리 고분군 유물]] 1990년 택지 조성 사업 중에 금조총이 발견되자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된 유물들로, [[황금]]으로 만들어진 새다리를 비롯한 금동관, 금제 귀고리 및 금팔찌, 은제 허리띠, 띠고리, 띠꾸미개, 띠끝장식, 청동제 자루솥, 철제품, 토기 같은 [[신라]]시대 유물 수십여점이 발견되었다. 제작 연대는 대략 5세기 후반~6세기 초반(서기 400~500년대)로 여겨지고 있다. 이 중 금제 태환식 귀걸이 2점, 금팔찌 1점, 황금새다리 장식 1점, 은제 허리띠 1점, 청동 초두 1점 등, 총 6종의 금조총 유물이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이란 명칭으로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금동관은 보물 지정을 받지 못했다. [[신라]]의 [[수도(행정구역)|수도]]인 [[경주시|경주]]에서 벗어난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 발견된 황금 유물들로, 유물의 수량과 무덤의 크기는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양산 부부총 출토 유물 일괄|금조총 근처에 있는 양산 부부총에서 발견된 금동관]]과 형태 및 양식이 흡사하다. 신라시대 수도 경주의 영향을 받은 양산의 고분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분류:신라의 금제유물]] [[분류: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품]] [[분류:양산시의 문화재]] [[분류:부산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