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양산시)] [include(틀:양산시의 교통)] [목차] == 개요 == [[양산시]]의 교통 관련 내용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부산의 [[위성도시]]인 만큼 [[부산광역시]]로 가는 교통편이 잘 갖추어져 있다. [[울산광역시]]와의 왕래도 편리한 편이다. == [[철도]] == ===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 === 일반열차는 [[물금역]], [[원동역]]에서 [[경부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물금역]]에 정차하는 [[경부선]] 열차가 많지 않기 때문에 장거리를 갈 경우 [[KTX]]가 정차하는 [[울산역]]이나 [[구포역]]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퇴임후 양산 사저로 가기 위해 [[문재인]] 전 대통령이 KTX 울산역을 이용했다.] 다만 양산의 인구가 점점 늘어나면서 [[물금역]]에 정차하는 열차도 늘어나는 추세인데 [[2014년]]부터는 [[ITX-새마을]]이 물금역에 정차하고 있다. [[도시철도]] [[양산역]]은 있지만, 열차역 양산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역]]은 [[강변로(양산)|강변로]] 441 ([[중부동(양산)|중부동]])에 위치하고 [[물금역]]은 [[물금읍]] [[황산로(양산)|황산로]] 347 (물금리)에 위치한다.] 현재 물금역 KTX 정차를 추진하고 있다. ===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 [[1999년]] [[6월 30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때 같이 지어진 동면 소재의 [[호포역]]이 개통되면서 [[지방(지리)#s-2|비수도권]]에서 최초로 일반시가 [[도시철도]] 노선을 보유한 도시가 되었고 [[2008년]] [[1월 10일]]에는 [[양산역]]까지 연장되었다. 그 외 [[양산 도시철도|양산선]], [[부산 도시철도 신정선|신정선]], 양산-울산간 광역철도 등 3개의 [[경전철]]을 동시에 추진하고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10510000166|있다.]] 이 중 [[양산 도시철도|양산선]]이 2018년 착공, 2026년 개통예정이다.[* 다만 지반침하와 주민들와의 갈등이 계속되어 상당한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양산역]] 등에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타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그 외에도 [[경남고속]]과 [[천일고속]]의 차적지이기도 하다. === 노선 목록 === 일반철도 * [[경부선]]: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역]]),, → [[원동역]] → [[물금역]][* KTX 정차가 추진중이다 ]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역(경부선)|화명역]]),, * ~~[[양산화물선]]~~ (미운행): ,,(경부선),, → [[물금역]] → ~~[[양산화물역]]~~[* 이 노선과 역은 화물전용이라서 여객은 이용이 불가능하다.] 도시철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역(부산)|금곡역]]),, → [[호포역]] → [[증산역(양산)|증산역]]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 [[남양산역]] → [[양산역]] → [[양산종합운동장역]](미개통) * ~~[[양산 도시철도]]~~ (미개통):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역]]),, → [[사송역]] → [[내송역]] → [[양산시청역]] → [[양산종합운동장역]] → [[신기역(양산)|신기역]] → [[북정역]] 일반철도(계획)[* 양산시 및 양산시의회 계획 근거] * [[경부고속선]]: [[양산노포역]] 광역철도(계획)[*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근거] *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역]][* 경전선 환승 가능]),, → [[물금역]][* 경부선 환승 가능] → [[북정역]][* 환승 양산 도시철도 환승 가능] → 상북역 → 용언역→ 하북역→ ,,(울산광역시 삼남역),, → ,,(울산광역시 [[울산역]][* 경부고속선/부산-양산-울산 도시철도 환승 가능]),, *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부산광역시 [[노포역]][* 부산 1호선/양산 도시철도 환승 가능]),, → 월평역 → 덕계역 → 서창역 → 용당역 → 웅촌역 → ,,(울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울산역]][* 경부고속선/동남권순환 광역철도 환승 가능]),, == 버스 == === [[시내버스]] === [[양산시 시내버스]] 문서 참고할 것. [[웅상]] 지역의 경우는 양산시 버스는 한동안 [[마을버스]]만 다니다가 [[2010년대]] 들어서 웅상 쪽에 양산시 시내버스가 대거 신설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웅상 쪽을 지나다니는 버스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울산광역시 시내버스]]가 대부분이다.[* 2016년 3월1일 노선 개편으로 양산역에서 출발하는 [[양산 버스 52]], [[양산 버스 57]]이 번갈아 30분마다 운행한다.] 참고로 2019년 초반부터 52번 노선에 현대 [[일렉시티]] 버스가 도입되었다. 추후에 58번 노선에 7대가 더 도입되었다. === 시외버스 ===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이나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에서 탑승 가능하다. 양산터미널에서 높은 지분을 차지하는 노선은 울산, 김해, 포항행이다. 참고로 시외 [[직행좌석버스]] 노선이 중소도시 치고는 꽤 많은데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의 [[위성도시]]인지라 영향을 받은 듯하다. == 택시 == ||<-2>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25]]{{{#ffffff '''경남 양산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4,000원(2km) || || 추가(병산제) 130원(31초/130m) || || 심야(22시~4시) 할증 20% / 시계 외 할증 30% || || 택시 호출료 1000원 || ||<-2>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다른 경남 지역 도시들에 비해 택시 요금이 비싼편이다, 거리와 시간 당 100원씩 오르는게 아닌 130원씩 오른다. == 도로 == [include(틀:양산시의 로)] 경상남도 내 다른 시군과의 교통은 굉장히 불편하다. 양산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는 경상남도 내 다른 지자체로는 [[밀양시]]와 [[김해시]]가 있는데 밀양시와 연결된 도로는 [[1022번 지방도]]와 [[1051번 지방도]]가 끝. 둘 다 선형이 극히 불량한데다 1051번 지방도의 [[어실로]] 구간은 대형 사망사고도 몇번 터진 죽음의 도로로 매우 악명높다. 김해시와의 연결은 더욱더 심각해서 [[중앙고속도로지선]]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직접 김해시로 갈 방법이 아예 없다! 통행료를 지불하기 싫으면 무조건 [[부산광역시]]를 통해야만 갈 수 있다.[* 그나마도 [[대동화명대교]]가 [[서낙동로]]랑 직결된 상태가 아니라 상당히 불편하다. 일단은 대동화명대교를 건넌 다음 [[공항로(부산)|공항로]]를 통해 [[강서구청(부산)|강서구청]]까지 내려와 [[낙동북로]]를 타는 게 최선의 루트다.] 현재 [[60번 지방도]]의 김해 매리 ~ 양산 화제 구간이 건설 중이다. 이 도로가 개통되면 통행료 징수가 없는 도로로 김해시와 연결된다. 양산 본 시가지와 웅상지역을 연결하는 관내도로가 없는 현재 [[60번 지방도]]가 두 지역을 잇는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를 경유하여 시외를 통과해야하나 현재까지는 양산시내와 웅상지역을 이어주는 가장 빠른 도로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양산시도)]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양산IC|양산 나들목]], [[통도사하이패스IC|통도사하이패스 나들목]][* [[통도사]]는 양산에 있지만 [[통도사IC|통도사 나들목]]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해있다.]), [[중앙고속도로지선]]([[남양산IC|남양산 나들목]], [[물금IC|물금 나들목]]), [[함양울산고속도로]]([[배내골IC|배내골 나들목]])를 이용할 수 있어 허접한 국도 및 지방도망을 커버해주고 있다. === 국도 === [[7번 국도]], [[35번 국도]]가 있다. * [[7번 국도]]: [[부산광역시]] [[금정구]]에서 넘어와 웅상지역을 관통하여 [[울산광역시]]로 넘어간다. 승용차, 상용차, 버스 가릴 거 없이 통행량이 많은 도로이다. 원래 [[웅상대로]]라고 하여 웅상 시가지 한복판을 관통하였으나, 웅상 시가지를 우회하는 [[통신사로]]가 개통되면서 시내구간의 숨통이 트였다. 전구간 왕복 4차로 이상. * [[35번 국도]]: [[부산광역시]] [[북구(부산광역시)|북구]]에서 넘어와 [[동면(양산)|동면]],양산시내,상북,하북을 거쳐 [[울산광역시]] [[울주군]]으로 넘어간다. [[물금신도시]]와 접속되고 부산으로 이어지다보니 부산 - 양산 구간은 통행량이 매우 많다. 양산시내 이북은 [[경부고속도로]]를 보조하는 역할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양산시, version=1385)] [[분류:양산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