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양산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양산시 갑, top2=양산시 을)] [include(틀:경상남도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양산시|[[파일:양산시 CI.svg|height=25]]]] '''경상남도 양산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3> [[양산시 갑|{{{#ffffff 양산시[br]갑}}}]] || [[양산시 제1선거구|양산시 1]] ||물금읍(범어리) || || [[양산시 제2선거구|양산시 2]] ||물금읍(물금리, 증산리, 가촌리), 원동면 || || [[양산시 제3선거구|양산시 3]] ||중앙동, 삼성동, 강서동, 상북면, 하북면 || ||<|3> [[양산시 을|{{{#ffffff 양산시[br]을}}}]] || [[양산시 제4선거구|양산시 4]] ||양주동, 동면 || || [[양산시 제5선거구|양산시 5]] ||서창동, 소주동 || || [[양산시 제6선거구|양산시 6]] ||평산동, 덕계동 || === 도의원 === || [[경상남도|[[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width=20px]]]] [[경상남도의회|'''{{{#white 제12대 경상남도의회 양산시 도의원}}}''']]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양산시 제1선거구|{{{#ffffff 양산 1}}}]] || [[양산시 제2선거구|{{{#ffffff 양산 2}}}]] || [[양산시 제3선거구|{{{#ffffff 양산 3}}}]] || [[양산시 제4선거구|{{{#ffffff 양산 4}}}]] || [[양산시 제5선거구|{{{#ffffff 양산 5}}}]] || [[양산시 제6선거구|{{{#ffffff 양산 6}}}]] || || [[이용식(1960)|이용식]] || 이영수 || [[최영호(1961)|최영호]] || 권혁준 || [[박인]] || 허용복 || }}}}}}}}} || == 개요 == 인접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보다 다소 보수적인 편으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 정당]]이 3당 합당 이후부터 의석을 거의 차지해왔던 지역이다. 그러다가 부산의 위성도시로 성장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커진 2010년대부터는 민주당 지지세가 이전보다 높아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문재인 정부]] 초기까지는 [[부울경]] 전체에서 손꼽히는 양당의 [[경합지역]]이 되었다. 중선거구제 시절에는 거물 정치인이었던 [[신상우]]의 고향이자 그가 처음으로 야당인 [[신민당(1967년)|신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제12대 국회의원 선거|12대 총선]]에서 [[김영삼]]과 [[김대중]]이 후원한 [[신한민주당]] [[김동주(정치인)|김동주]] 후보가 2위로 당선되었고,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3대 총선]]에서도 김영삼이 이끄는 [[통일민주당]]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3당합당]]을 하면서 양산군민의 민심도 김영삼을 따라 보수 성향으로 '''완전히 선회'''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14대 총선]] ~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총선]]까지는 [[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의 [[나오연]] 전 의원이 3선을 했고,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17대 총선]]에서는 한나라당 [[김양수(1960)|김양수]],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총선]]서는 한나라당 [[허범도]]가 당선되었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무효화, [[2009년 재보궐선거]]로 한나라당 [[박희태]]가 당선되고 이 지역구를 바탕으로 국회의장까지 지녔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총선]]에서는 [[새누리당]] [[윤영석]]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는 2010년대 중반까지 이어졌는데, 대표적으로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18대 대선]]의 경우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이곳에 살고 있었음에도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58.90%를 득표하여 두 후보 간 차이가 '''18.14%'''로 벌어졌다. 양산은 부산 [[북구(부산광역시)|북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김해시]]와 함께 '''[[낙동강 벨트]]'''라는 용어로 자주 묶인다. 양산이 시로 승격되고 부산으로부터 인구가 유입되면서 보수 성향이 조금씩 완화된 덕분이다. 2004년 17대 총선 이후 양대 진영이 선거마다 5% 이내 접전을 자주 벌였다. 5연패의 전설에는 [[송인배]]가 있다. 그 시작인 17대 총선 당시 [[열린우리당]] [[송인배]] 후보가 출구조사를 이기고 개표 막판까지 '당선 유력'이 떴으나, 한나라당 [[김양수(1960)|김양수]] 후보가 1,091표차로 이를 가까스로 뒤집었다. 그는 2008년 18대 총선, 2009년 재보궐선거 연속으로 분전했으나 3,000여표 차로 졌다. 심지어 2009년 재보궐 선거는 [[남해군]] 출신의 5선 정치 거물 [[박희태]] 의원이 출마했음에도 송인배 후보가 불과 4.08% 차로 따라붙었는데, [[민주노동당]] 후보가 3.51%를 가져간 것을 고려하면 치열한 승부였다. 2012년 19대 총선에서도 새누리당의 [[윤영석]] 후보가 민주통합당의 [[송인배]] 후보를 5천표 차(4.61%)로 '''겨우 꺾었는데''', 심지어 그는 '''무려 47.69%'''를 득표하여 민주당 영남권 낙선자 중 [[김해시 을]]의 [[김경수]] 다음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 2016년 2월 28일 위원회를 통해 분구가 확정되어 20대 총선부턴 국회의원 2명을 뽑기 시작했다. [[양산시 갑]]에서는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서 홍순경 후보가 출마해 3자 구도로 치러졌고, 현역 의원이었던 새누리당 윤영석 후보가 46.42%로 재선에 성공했다. 국민의당 홍순경 후보는 본래 새누리당 출신으로 양쪽의 표를 모두 가져왔으며, 더불어민주당 송인배 후보는 거주지 및 기반이 을 지역구의 [[웅상]]이었기에 5번째 도전에서도 '''불과 4.8%''' 차로 석패했다. [[양산시 을]]에선 여권 후보들 사이에서 분열이 발생했다. 새누리당에서 [[이장권]] 후보를 공천하자 예비후보였던 황윤영, 박인이 공천에 불복해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해 보수 표심이 3갈래로 분산됐는데, 그 두 명이 도합 16.25%나 가져가는 바람에 이장권은 38.43% 득표에 그쳤고, 서형수 후보가 40.33%라는 낮은 득표율로 [[어부지리]]에 성공했다. 이 덕에 [[더불어민주당]]은 최초로 [[양산시]]에 의석을 배출하는데 성공했다. 20대 총선 직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몇 년 동안 민주당 독주 체제가 이어졌다. 첫 타자인 [[2017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도의원, 시의원 모두 승리하였고, 한 달 뒤인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41.94%,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29.57%로 민주당 진영이 12.37%차로 대승을 거두었다. 민주당이 두 자릿 수 격차로 승리한 배경에는 [[물금신도시]]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50% 가까운 득표율을 올리면서, 그 덕분에 [[제18대 대통령 선거|지난 대선]]에 비해 문재인 후보의 득표율이 더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가 탄생하고 첫 선거였던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선, 경남도지사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후보 57.03%, 자유한국당 [[김태호(1962)|김태호]] 후보 38.49%로 민주당이 '''무려 18.54%'''차로 꺾었다. 보수 강세 지역에서 민주당이 2년 연속 두 자릿 수 승리를 가져가면서 확실한 우위를 이어갔다. 그뿐만 아니라 시장, 도의원, 시의원 및 비례대표, 교육감까지 7개의 모든 선거에서 민주당 계열이 승리를 거두었다.[* 양산시장은 민주당 : 한국당의 양자 구도로 선거가 치뤄졌는데, 민주당 김일권 후보가 56.26%의 득표율로 한국당 나동연 후보(43.73%)를 12.54%차로 꺾고 '''첫 민주당 소속 양산시장'''이 되었다. 도의원에서는 민주당 3:1 한국당이었는데, 이전 6회 지방선거는 새누리당이 싹쓸이했으나 이 때는 1지역구[* 원도심(중앙동, 삼성동, 강서동) + 상북면, 하북면]만 262표, 0.8%차로 아슬아슬하게 지켜냈다. 정당 비례대표조차 민주당은 85,051표(51.73%)를 얻어 전체의 과반을 차지했다. 자유한국당은 55,876표(33.98%)에 그쳐 민주당과 '''무려 18%'''나 격차가 벌어졌다.] 민주당 독주 체제는 [[2020년]]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1석씩 나누어 가지면서 끝이 났다. [[양산시 갑]], [[양산시 을]] 모두 흥미로운 경선 결과로 양당 모두에게 주요 이슈 지역으로 부상했고, 결국 한 자리씩 가져갔다.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를 참고하기 바라며, 전국적으로 대패한 미래통합당 측은 이곳의 공천을 문제삼으며 한동안 잡음이 일었다. 총선 직후 [[오거돈 성추행 사건]],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으로 각각 부산시장 [[오거돈]], 경남도지사 [[김경수]]가 사직 혹은 구속되는 사태가 벌어지고, [[문재인 정부]]의 여러 실정이 겹치면서 양산도 주변 여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에서 그동안 민주당 텃밭으로 분류된 부산 [[북구(부산광역시)|북구]], [[사상구]],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김해시]]가 줄줄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승리로 나온 가운데, 양산에서도 '''윤석열 후보가 모든 읍·면·동에서 과반'''을 넘겼고 관외사전투표까지 승리하여 최종 116,904표(53.52%)를 얻었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 경기도의 강남이자 보수텃밭으로 불리는 분당에서 윤석열이 55%를 득표하여 1.48%차로 '''낮은 수치'''이다. 오히려 분당이 양산보다 민주당에 대한 비토가 더 심해졌다고 볼 수 있다.] [[이재명]] 후보는 읍·면·동 지역들 중 중앙동, 상북면, 하북면, 원동면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40%를 넘겼으나, 문재인 대통령 사저 이슈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하여 최종 92,137표(42.18%)에 그쳤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에 11% 이상의 큰 격차로 패해 향후 선거에서 전망이 어두워졌다.[* 그래도 다른 경남 지역보다는 높은 40% 이상을 받아서 여전히 낙동강 벨트로 분류된다.] 한편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불명예가 많다. 1대 시장 손유섭의 뇌물혐의 구속을 시작으로 2, 3대 시장 [[안종길]]은 뇌물로 시장직을 상실, 4, 5대 시장 [[오근섭]]은 뇌물혐의 조사 중 '''[[자살]]'''하였다. 여기에 더해 18대 국회의원 허범도, 박희태 등도 모두 뇌물비리, 선거법 위반 등으로 임기 도중에 불명예 퇴장했다. == 역대 선거 결과 == || [[양산시|[[파일:양산시 CI.svg|height=25]]]] '''역대 양산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wiki style=" margin: -16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10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3> 양산군 || || [[제13대 국회의원|13대]] || [[통일민주당|{{{-2 {{{#ffffff 통일민주당}}}}}}]] || [[김동주(정치인)|김동주]] || {{{-2 재선}}} || || [[제14대 국회의원|14대]] || [[민주자유당|{{{-2 {{{#ffffff 민주자유당}}}}}}]] || [[나오연|나오연]] || {{{-2 초선}}} || || ||<-3> [[양산시(선거구)|양산시]] || || [[제15대 국회의원|15대]] || [[신한국당|{{{-2 {{{#ffffff 신한국당}}}}}}]] ||<|2> [[나오연|나오연]] || {{{-2 재선}}} || || [[제16대 국회의원|16대]] || [[한나라당|{{{-2 {{{#ffffff 한나라당}}}}}}]] || {{{-2 3선}}} || || [[제17대 국회의원|17대]] ||<|3> [[한나라당|{{{-2 {{{#ffffff 한나라당}}}}}}]] || [[김양수(1960)|김양수]] || {{{-2 초선}}} || ||<|2> [[제18대 국회의원|18대]] || --[[허범도|허범도]]-- || --{{{-2 초선}}}--[* 09.06.23.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 || || [[박희태|박희태]] || {{{-2 6선}}}[* 09.10.28. 재보궐선거] || || [[제19대 국회의원|19대]] || [[새누리당|{{{-2 {{{#ffffff 새누리당}}}}}}]] || [[윤영석|윤영석]] || {{{-2 초선}}} ||}}} {{{#!wiki style="margin: -33px -1px -17px" || || [[양산시 갑]] || [[양산시 을]] || || [[제20대 국회의원|20대]] || [[새누리당|{{{-2 {{{#ffffff 새누리당}}}}}}]] [br] [[윤영석|{{{#ffffff 윤영석}}}]] {{{#ffffff 재선}}} || [[더불어민주당|{{{-2 {{{#ffffff 더불어민주당}}}}}}]] [br] [[서형수|{{{#ffffff 서형수}}}]] {{{#ffffff 초선}}} || || [[제21대 국회의원|21대]] || [[미래통합당|{{{-2 {{{#ffffff 미래통합당}}}}}}]] [br] [[윤영석|{{{#ffffff 윤영석}}}]] {{{#ffffff 3선}}} || [[더불어민주당|{{{-2 {{{#ffffff 더불어민주당}}}}}}]] [br] [[김두관|{{{#ffffff 김두관}}}]] {{{#ffffff 재선}}} ||}}}}}} || ---- {{{#!wiki style="min-width:300px" ||<-5> [[양산시|[[파일:양산시 CI.svg|height=25]]]] '''역대 [[양산시장|{{{#000000,#dddddd 양산시장}}}]] 선거 결과''' || || {{{-2 양산군수}}} ||<-4> {{{-2 양산시장}}}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2'''}}}]] || [[2004년 재보궐선거|{{{#ffffff '''2004''' {{{-2 재보궐}}}}}}]]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6'''}}}]] || ||<-2> [[무소속|{{{#ffffff {{{-1 무소속}}}}}}]] ||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무소속|{{{#ffffff {{{-1 무소속}}}}}}]] || || [[손유섭]] ||<-2> [[안종길]][* 03.07.08. 시장직 상실 (뇌물수수)] ||<-2> [[오근섭]][* 09.11.27. 작고 (뇌물수수 혐의로 조사 중 자살][*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5> {{{-2 양산시장}}}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22'''}}}]] || || ||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새누리당|{{{#ffffff {{{-1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1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1 국민의힘}}}}}}]] || || ||<-2> [[나동연]] || [[김일권(정치인)|김일권]] || [[나동연]] ||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구분'''}}} || {{{#ffffff '''주요 후보 득표율'''}}} || ||<-2> '''양산군수'''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무소속)] [[손유섭]] 36.64%'''[br]2위: [include(틀:민주자유당)] [[안종길]] 31.21%[br]3위: [include(틀:무소속)] 전종태 16.03% || ||<-2> '''양산시장'''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무소속)] [[안종길]] 26.46%'''[br]2위: [include(틀:무소속)] [[오근섭]] 25.36%[br]3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주철주]] 23.58%[br]4위 : [include(틀:무소속)] [[손유섭]] 18.35%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안종길]] 47.04%'''[br]2위: [include(틀:무소속)] [[오근섭]] 41.31%[br]3위: [include(틀:무소속)] [[성홍룡]] 11.64% || || [[2004년 재보궐선거#s-2|2004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오근섭]] 57.17%'''[br]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주철주]] 29.02%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무소속)] [[오근섭]] 48.73%'''[br]2위: [include(틀:한나라당)] 윤장우 33.71%[br]3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정병문 11.47%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나동연]] 42.30%'''[br]2위: [include(틀:민주당(2008년))] 정병문 31.52%[br]3위: [include(틀:무소속)] [[김일권(정치인)|김일권]] 16.66%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나동연]] 54.44%'''[br]2위: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김일권(정치인)|김일권]] 37.74%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김일권(정치인)|김일권]] 56.26%'''[br]2위: [include(틀:자유한국당)] [[나동연]] 43.73%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국민의힘)] [[나동연]] 59.82%'''[br]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김일권(정치인)|김일권]] 35.70% ||}}}}}}}}} ||}}} === 지선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3> {{{#ffffff {{{+1 '''양산군'''}}}}}}[br]{{{#ffffff 양산군 일원}}} || || '''정당'''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 '''후보''' || [[김혁규(정치인)|{{{#ffffff '''김혁규'''}}}]] || [[김용균(정치인)|{{{#ffffff '''김용균'''}}}]] || || '''득표수''' || '''47,616''' || 21,924 || || '''득표율''' || '''68.47%''' || 31.52% || || '''순위''' || '''1위''' || 2위 || ||<|5> '''계''' || || '''선거인 수''' || 103,366 || || '''투표 수''' || 71,967 || || '''무효표 수''' || 2,427 || || '''투표율''' || 69.63% || ===== 양산군수 ===== ||<-4> {{{#ffffff {{{+1 '''양산군수'''}}}}}}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안종길|{{{#373a3c,#dddddd 안종길}}}]](安鍾吉) || 21,866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1.21% || 낙선 || ||<|2> {{{#ffffff {{{+5 '''2'''}}}}}} || '''[[손유섭|{{{#373a3c,#dddddd 손유섭}}}]](孫柳燮) ''' || '''25,666'''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36.64%''' || {{{#000000,#ffffff '''당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이만희}}}(李滿熙) || 4,445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6.34%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전종태}}}(全鍾泰) || 11,22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03%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정대근}}}(鄭大根) || 6,838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9.7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3,366 ||<|3> 투표율[br]69.63% || || 투표 수 || 71,972 || || 무효표 수 || 1,929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4>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김혁규(정치인)|{{{#ffffff '''김혁규'''}}}]] || [[강신화|{{{#ffffff '''강신화'''}}}]] || [[허문도|{{{#ffffff '''허문도'''}}}]] || || '''득표수''' || '''43,312''' || 9,453 || 9,575 || || '''득표율''' || '''69.47%''' || 15.16% || 15.35% || || '''순위''' || '''1위''' || 3위 || 2위 || ||<|4> '''계''' ||<-2> '''선거인 수''' || 116,306 || ||<-2> '''투표 수''' || 63,995 || ||<-2> '''무효표 수''' || 1,655 || ||<-2> '''투표율''' || 55.03% || ===== 양산시장 ===== ||<-4> [[양산시|{{{+1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30px]]}}}]] [[양산시|{{{#ffffff {{{+1 '''양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주철주|{{{#373a3c,#dddddd 주철주}}}]](朱喆周) || 14,773 || 3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3.58% || 낙선 || ||<|2> {{{+5 {{{#FFFFFF '''4'''}}}}}} || {{{#373a3c,#dddddd 김용범}}}(金容梵) || 3,908 || 5위 || || [include(틀:국민신당)] || 6.23% || 낙선 || ||<|2> {{{#ffffff {{{+5 '''5'''}}}}}} || [[손유섭|{{{#373a3c,#dddddd 손유섭}}}]](孫柳燮) || 11,49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8.35% || 낙선 || ||<|2> {{{#ffffff {{{+5 '''6'''}}}}}} || '''[[안종길|{{{#373a3c,#dddddd 안종길}}}]](安鍾吉)''' || '''16,580'''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26.46%''' || '''당선''' || ||<|2> {{{#ffffff {{{+5 '''7'''}}}}}} || [[오근섭|{{{#373a3c,#dddddd 오근섭}}}]](吳根燮) || 15,88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5.3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6,306 ||<|3> '''투표율'''[br]55.03% || || '''투표 수''' || 63,988 || || '''무효표 수''' || 1,340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4>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후보''' || [[김혁규(정치인)|{{{#ffffff '''김혁규'''}}}]] || [[김두관|{{{#ffffff '''김두관'''}}}]] || {{{#ffffff '''임수태'''}}} || || '''득표수''' || '''52,942''' || 11,049 || 6,207 || || '''득표율''' || '''75.41%''' || 15.73% || 8.84%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140,020 || ||<-2> '''투표 수''' || 71,640 || ||<-2> '''무효표 수''' || 1,442 || ||<-2> '''투표율''' || 51.16% || ===== 양산시장 ===== ||<-4> [[양산시|{{{+1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30px]]}}}]] [[양산시|{{{#ffffff {{{+1 '''양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안종길|{{{#373a3c,#dddddd 안종길}}}]](安鍾吉)''' || '''33,04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7.04%''' || '''당선''' || ||<|2> {{{#ffffff {{{+5 '''3'''}}}}}} || [[성홍룡|{{{#373a3c,#dddddd 성홍룡}}}]](成洪龍) || 8,18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64% || 낙선 || ||<|2> {{{#ffffff {{{+5 '''4'''}}}}}} || [[오근섭|{{{#373a3c,#dddddd 오근섭}}}]](吳根燮) || 29,020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1.3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31,648 ||<|3> '''투표율'''[br]51.17% || || '''투표 수''' || 100,996 || || '''무효표 수''' || 1,510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4>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열린우리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후보''' || [[김두관|{{{#000000 '''김두관'''}}}]] || [[김태호(1962)|{{{#ffffff '''김태호'''}}}]] || [[문성현(정치인)|{{{#ffffff '''문성현'''}}}]] || || '''득표수''' || 19,427 || '''56,004''' || 8,191 || || '''득표율''' || 22.93% || '''66.10%''' || 9.66% || || '''순위''' || 2위 || '''1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162,544 || ||<-2> '''투표 수''' || 86,355 || ||<-2> '''무효표 수''' || 1,634 || ||<-2> '''투표율''' || 53.12% || ===== 양산시장 ===== ||<-4> [[양산시|{{{+1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30px]]}}}]] [[양산시|{{{#ffffff {{{+1 '''양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373a3c,#dddddd 정병문}}}(鄭秉文) || 9,754 || 3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11.47% || 낙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윤장우}}}(尹章宇) || 28,667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3.71% || 낙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김영태}}}(金永泰) || 1,354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59% || 낙선 || ||<|2> {{{#ffffff {{{+5 '''7'''}}}}}} || [[손유섭|{{{#373a3c,#dddddd 손유섭}}}]](孫柳燮) || 3,817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48% || 낙선 || ||<|2> {{{#ffffff {{{+5 '''8'''}}}}}} || '''[[오근섭|{{{#373a3c,#dddddd 오근섭}}}]](吳근燮)''' || '''41,433'''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8.73%'''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62,544 ||<|3> '''투표율'''[br]53.13% || || '''투표 수''' || 86,366 || || '''무효표 수''' || 1,341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3> [[양산시(선거구)|{{{#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이달곤|{{{#ffffff '''이달곤'''}}}]] || [[김두관|{{{#ffffff '''김두관'''}}}]] || || '''득표수''' || 47,551 || '''53,195''' || || '''득표율''' || 47.19% || '''52.80%'''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190,214 || || '''투표 수''' || 102,673 || || '''무효표 수''' || 1,927 || || '''투표율''' || 53.98% || ||<:><-5> {{{#FFFFFF '''5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양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달곤|{{{#FFFFFF '''이달곤'''}}}]] ||<:> [[김두관|{{{#ffffff '''김두관'''}}}]]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47,551 [br] (47.19%)''' ||<:> {{{#FFFFFF '''53,195 [br] (52.80%)'''}}} ||<:> '''-5,644 [br] (▼5.61)''' ||<:> '''53.98%''' || || '''중앙동'''[*A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 북부동 · 다방동 · 명곡동. 양산시청이 있는 원도심] ||<:> {{{#0095DA 50.40%}}} ||<:> 49.60% ||<:> △0.80[* 단 '''41표''' 차였다.] ||<:> 50.57 || || '''양주동'''[*B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양산물금신도시]] 일부] ||<:> 39.11% ||<:> {{{#808080 '''60.89%'''}}} ||<:> ▼'''21.78''' ||<:> 56.69 || || '''삼성동'''[*C 법정동 신기동 · 북정동 · 산막동 · 호계동] ||<:> 44.46% ||<:> {{{#808080 55.54%}}} ||<:> ▼11.08 ||<:> 52.27 || || '''강서동'''[*D 법정동 교동 · 유산동 · 어곡동] ||<:> 42.27% ||<:> {{{#808080 57.73%}}} ||<:> ▼15.46 ||<:> 53.54 || || '''서창동'''[*E 법정동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46.76% ||<:> {{{#808080 53.24%}}} ||<:> ▼6.48 ||<:> 47.04 || || '''소주동'''[*F 법정동 소주동 · 주남동 · 주진동. [[영산대학교]]가 있는 동네] ||<:> 49.95% ||<:> {{{#808080 50.05%}}} ||<:> ▼0.10[* 단 '''6표''' 차였다.] ||<:> 47.36 || || '''평산동''' ||<:> {{{#0095DA 50.14%}}} ||<:> 49.86% ||<:> △0.28[* 단 '''29표''' 차였다.] ||<:> 49.63 || || '''덕계동''' ||<:> {{{#0095DA 51.04%}}} ||<:> 48.96% ||<:> △2.08[* 단 '''95표''' 차였다.] ||<:> 50.25 || || '''물금읍'''[*H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및 [[양산물금신도시]]가 있는 동네] ||<:> 44.46% ||<:> {{{#808080 55.54%}}} ||<:> ▼11.08 ||<:> 55.98 || || '''동면'''[*I [[양산물금신도시]]의 일부] ||<:> {{{#0095DA 51.07%}}} ||<:> 48.93% ||<:> △2.14[* 단 '''99표''' 차였다.] ||<:> 54.32 || || '''원동면''' ||<:> {{{#0095DA '''62.81%'''}}} ||<:> 37.19% ||<:> △'''25.62''' ||<:> 62.03 || || '''상북면''' ||<:> {{{#0095DA 51.71%}}} ||<:> 48.29% ||<:> △3.42 ||<:> 55.88 || || '''하북면''' ||<:> {{{#0095DA 56.26%}}} ||<:> 43.74% ||<:> △12.52 ||<:> 60.09 || || '''후보''' ||<:> [[이달곤|{{{#0095DA '''이달곤'''}}}]] ||<:> [[김두관|{{{#808080 '''김두관'''}}}]] ||<:> 격차 ||<:> || || '''부재자투표''' ||<:> 47.64% ||<:> {{{#808080 52.36%}}} ||<:> ▼4.72 ||<:> || ===== 양산시장 ===== ||<-4> [[|{{{+1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30px]]}}}]] [[양산시|{{{#ffffff {{{+1 '''양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나동연|{{{#373a3c,#dddddd 나동연}}}]](羅東淵)''' || '''41,890'''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2.30%''' || '''당선''' || ||<|2> {{{#ffffff {{{+5 '''2'''}}}}}} || [[정병문(1963)|{{{#373a3c,#dddddd 정병문}}}]](鄭秉文) || 31,223 || 2위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31.52%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서병세}}}(徐柄世)~~ ||<|2><-2> 사퇴 || || ~~[include(틀:무소속)]~~ || ||<|2> {{{#ffffff {{{+5 '''8'''}}}}}} || [[주철주|{{{#373a3c,#dddddd 주철주}}}]](朱喆周) || 5,00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5.05% || 낙선 || ||<|2> {{{#ffffff {{{+5 '''9'''}}}}}} || [[김일권(정치인)|{{{#373a3c,#dddddd 김일권}}}]](金一權) || 16,50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66% || 낙선 || ||<|2> {{{#ffffff {{{+5 '''10'''}}}}}} || {{{#373a3c,#dddddd 이철민}}}(李哲旻) || 4,40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4.4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0,214 ||<|3> '''득표율'''[br]53.98% || || '''투표 수''' || 102,679 || || '''무효표 수''' || 3,651 || ==== [[2012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3>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홍준표|{{{#ffffff '''홍준표'''}}}]] || [[권영길|{{{#ffffff '''권영길'''}}}]] || || '''득표수''' ||<:> '''89,031''' ||<:> 58,420 || || '''득표율''' ||<:> '''60.38%''' ||<:> 39.61%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207,374 || || '''투표 수''' || 158,306 || || '''무효표 수''' || 10,855 || || '''투표율''' || 76.58%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3>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 '''후보''' || [[홍준표|{{{#ffffff '''홍준표'''}}}]] || [[김경수|{{{#ffffff '''김경수'''}}}]] || || '''득표수''' ||<:> '''66,496''' ||<:> 46,611 || || '''득표율''' ||<:> '''56.52%''' ||<:> 39.62%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222,151 || || '''투표 수''' || 119,878 || || '''무효표 수''' || 2,236 || || '''투표율''' || 53.95% || ===== 양산시장 ===== ||<-4> [[|{{{+1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30px]]}}}]] [[양산시|{{{#ffffff {{{+1 '''양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나동연|{{{#373a3c,#dddddd 나동연}}}]](羅東淵)''' || '''64,213'''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4.44%''' || '''당선''' || ||<|2> {{{#ffffff {{{+5 '''2'''}}}}}} || [[김일권(정치인)|{{{#373a3c,#dddddd 김일권}}}]](金一權) || 44,523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37.74%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윤장우}}}(尹章宇) || 5,27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4.47%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이강원}}}(李江元) || 3,932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3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2,151 ||<|3> '''투표율'''[br]53.96% || || '''투표 수''' || 119,874 || || '''무효표 수''' || 1,929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4>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 '''후보''' || [[김경수|{{{#ffffff '''김경수'''}}}]] || [[김태호(1962)|{{{#ffffff '''김태호'''}}}]] || [[김유근(1974)|{{{#ffffff '''김유근'''}}}]] || || '''득표수''' || '''94,038''' || 63,463 || 7,376 || || '''득표율''' || '''57.03%''' || 38.49% || 4.47% || || '''순위''' || '''1위''' || 2위 || 3위 || ||<|5> '''계''' || || '''선거인 수''' ||<-2> 275,507 || || '''투표 수''' ||<-2> 167,459 || || '''무효표 수''' ||<-2> 2,672 || || '''투표율''' ||<-2> 60.81% || ||<:><-6> {{{#FFFFFF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양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경수|{{{#FFFFFF '''김경수'''}}}]] ||<:> [[김태호(1962)|{{{#FFFFFF '''김태호'''}}}]] ||<:> [[김유근(1974)|{{{#FFFFFF '''김유근'''}}}]]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94,038 [br] (57.03%)'''}}} ||<:> '''63,463 [br] (38.49%)''' ||<:> '''7,376 [br] (4.47%)''' ||<:> '''+30,575 [br] (△18.54)''' ||<:> '''60.81%''' || || '''중앙동'''[*A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 북부동 · 다방동 · 명곡동. 양산시청이 있는 원도심] ||<:> 42.07% ||<:> {{{#C9151E 53.53%}}} ||<:> 4.40% ||<:> {{{#808080 ▼11.46}}} ||<:> 54.26 || || '''양주동'''[*B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양산물금신도시]] 일부] ||<:> {{{#004EA2 59.04%}}} ||<:> 36.21% ||<:> 4.75% ||<:> △22.83 ||<:> '''65.28''' || || '''삼성동'''[*C 법정동 신기동 · 북정동 · 산막동 · 호계동] ||<:> {{{#004EA2 53.78%}}} ||<:> 41.89% ||<:> 4.32% ||<:> △11.89 ||<:> 55.77 || || '''강서동'''[*D 법정동 교동 · 유산동 · 어곡동] ||<:> {{{#004EA2 57.61%}}} ||<:> 38.44% ||<:> 3.95% ||<:> △19.17 ||<:> 58.59 || || '''서창동'''[*E 법정동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004EA2 55.42%}}} ||<:> 40.15% ||<:> 4.43% ||<:> △15.27 ||<:> 54.98 || || '''소주동'''[*F 법정동 소주동 · 주남동 · 주진동. [[영산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51.97%}}} ||<:> 43.31% ||<:> 4.72% ||<:> △8.66 ||<:> 53.51 || || '''평산동''' ||<:> {{{#004EA2 53.70%}}} ||<:> 42.54% ||<:> 3.75% ||<:> △11.16 ||<:> 55.69 || || '''덕계동'''[*M 법정동 덕계동 · 매곡동. [[문재인]] 대통령 사저가 있는 동네] ||<:> {{{#004EA2 51.03%}}} ||<:> 45.44% ||<:> 3.53% ||<:> △5.59 ||<:> 61.16 || || '''물금읍'''[*H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및 [[양산물금신도시]]가 있는 동네] ||<:> {{{#004EA2 '''62.47%'''}}} ||<:> 32.91% ||<:> 4.62% ||<:> △'''29.56''' ||<:> 59.21 || || '''동면'''[*I [[양산물금신도시]]의 일부] ||<:> {{{#004EA2 59.30%}}} ||<:> 36.73% ||<:> 3.97% ||<:> △22.57 ||<:> 56.35 || || '''원동면''' ||<:> 31.70% ||<:> {{{#C9151E '''64.84%'''}}} ||<:> 3.46% ||<:> {{{#808080 ▼'''33.14'''}}} ||<:> 60.60 || || '''상북면''' ||<:> 46.86% ||<:> {{{#C9151E 49.43%}}} ||<:> 3.71% ||<:> {{{#808080 ▼2.57}}} ||<:> 60.94 || || '''하북면''' ||<:> 38.80% ||<:> {{{#C9151E 57.01%}}} ||<:> 4.19% ||<:> {{{#808080 ▼18.21}}} ||<:> 60.77 || || '''후보''' ||<:> [[김경수|{{{#004EA2 '''김경수'''}}}]] ||<:> [[김태호(1962)|{{{#C9151E '''김태호'''}}}]] ||<:> [[김유근(1974)|{{{#00B4B4 '''김유근'''}}}]]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2.16%}}} ||<:> 39.86% ||<:> 7.97% ||<:> △12.30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5.30%'''}}} ||<:> 28.98% ||<:> 5.71% ||<:> △'''36.32''' ||<:> || ===== 양산시장 ===== ||<-4> [[|{{{+1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30px]]}}}]] [[양산시|{{{#ffffff {{{+1 '''양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일권(정치인)|{{{#373a3c,#dddddd 김일권}}}]](金一權)''' || '''92,238'''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6.26%''' || '''{{{#373a3c 당선}}}''' || ||<|2> {{{#ffffff {{{+5 '''2'''}}}}}} || [[나동연|{{{#373a3c,#dddddd 나동연}}}]](羅東淵) || 71,688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3.7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75,507 ||<|3> '''투표율'''[br]60.80% || || '''투표 수''' || 167,518 || || '''무효표 수''' || 3,592 || ||<:><-5> {{{#FFFFFF '''7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양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일권(정치인)|{{{#FFFFFF '''김일권'''}}}]] ||<:> [[나동연|{{{#FFFFFF '''나동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92,238 [br] (56.26%)'''}}} ||<:> '''71,688 [br] (43.73%)''' ||<:> '''+20,550 [br] (△12.53)''' ||<:> '''60.80%''' || || '''중앙동'''[*A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 북부동 · 다방동 · 명곡동. 양산시청이 있는 원도심] ||<:> 45.09% ||<:> {{{#C9151E 54.91%}}} ||<:> {{{#808080 ▼9.82}}} ||<:> 54.25 || || '''양주동'''[*B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양산물금신도시]] 일부] ||<:> {{{#004EA2 57.03%}}} ||<:> 42.97% ||<:> △14.06 ||<:> '''65.27''' || || '''삼성동'''[*C 법정동 신기동 · 북정동 · 산막동 · 호계동] ||<:> {{{#004EA2 52.57%}}} ||<:> 47.43% ||<:> △5.14 ||<:> 55.77 || || '''강서동'''[*D 법정동 교동 · 유산동 · 어곡동] ||<:> {{{#004EA2 '''60.98%'''}}} ||<:> 39.02% ||<:> △'''21.96''' ||<:> 58.55 || || '''서창동'''[*E 법정동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004EA2 56.93%}}} ||<:> 43.07% ||<:> △13.86 ||<:> 54.95 || || '''소주동'''[*F 법정동 소주동 · 주남동 · 주진동. [[영산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53.21%}}} ||<:> 46.79% ||<:> △6.42 ||<:> 53.51 || || '''평산동''' ||<:> {{{#004EA2 54.69%}}} ||<:> 45.31% ||<:> △9.38 ||<:> 55.68 || || '''덕계동'''[*M 법정동 덕계동 · 매곡동. [[문재인]] 대통령 사저가 있는 동네] ||<:> {{{#004EA2 51.85%}}} ||<:> 48.15% ||<:> △3.70 ||<:> 61.15 || || '''물금읍'''[*H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및 [[양산물금신도시]]가 있는 동네] ||<:> {{{#004EA2 60.05%}}} ||<:> 39.95% ||<:> △20.10 ||<:> 59.21 || || '''동면'''[*I [[양산물금신도시]]의 일부] ||<:> {{{#004EA2 57.41%}}} ||<:> 42.59% ||<:> △14.82 ||<:> 56.35 || || '''원동면''' ||<:> 32.06% ||<:> {{{#C9151E '''67.94%'''}}} ||<:> {{{#808080 ▼'''35.88'''}}} ||<:> 60.60 || || '''상북면''' ||<:> 47.03% ||<:> {{{#C9151E 52.97%}}} ||<:> {{{#808080 ▼5.94}}} ||<:> 60.94 || || '''하북면''' ||<:> 38.38% ||<:> {{{#C9151E 61.62%}}} ||<:> {{{#808080 ▼23.24}}} ||<:> 60.72 || || '''후보''' ||<:> [[김일권(정치인)|{{{#004EA2 '''김일권'''}}}]] ||<:> [[나동연|{{{#C9151E '''나동연'''}}}]]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1.03%}}} ||<:> 48.97% ||<:> △2.06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3.99%'''}}} ||<:> 36.01% ||<:> △'''27.98''' ||<:>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 ===== ||<-3>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양문석(정치인)|{{{#ffffff '''양문석'''}}}]] || [[박완수|{{{#ffffff '''박완수'''}}}]] || || '''득표수''' || 48,969 || '''83,209''' || || '''득표율''' || 35.92% || '''61.04%'''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294,411 || || '''투표 수''' || 138,401 || || '''무효표 수''' || 2,099 || || '''투표율''' || 47.00% || ||<:><-5> {{{#FFFFFF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양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양문석(정치인)|{{{#FFFFFF '''양문석'''}}}]] ||<:> [[박완수|{{{#FFFFFF '''박완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48,969 [br] (35.92%)''' ||<:> {{{#FFFFFF '''83,209 [br] (61.04%)'''}}} ||<:> '''-34,240 [br] (▼25.12) ''' ||<:> '''47.00%''' || || '''중앙동'''[*A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 북부동 · 다방동 · 명곡동. 양산시청이 있는 원도심] || 26.80% || {{{#E61E2B 70.14%}}} || ▼43.34 || 43.26 || || '''양주동'''[*B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양산물금신도시]] 일부] || 38.57% || {{{#FF6347 57.61%}}} || ▼19.04 || 53.32 || || '''삼선동'''[*C 법정동 신기동 · 북정동 · 산막동 · 호계동] || 32.21% || {{{#E61E2B 63.77%}}} || ▼31.56 || 41.36 || || '''강서동'''[*D 법정동 교동 · 유산동 · 어곡동] || 35.80% || {{{#E61E2B 61.00%}}} || ▼25.20 || 43.29 || || '''서창동'''[*E 법정동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34.81% || {{{#E61E2B 62.56%}}} || ▼27.75 || 42.90 || || '''소주동'''[*F 법정동 소주동 · 주남동 · 주진동. [[영산대학교]]가 있는 동네] || 33.96% || {{{#E61E2B 63.26%}}} || ▼29.30 || 43.53 || || '''평산동''' || 35.86% || {{{#E61E2B 61.40%}}} || ▼25.54 || 41.91 || || '''덕계동'''[*G 법정동 덕계동 · 매곡동] || 36.42% || {{{#E61E2B 61.03%}}} || ▼24.61 || 50.02 || || '''물금읍'''[*H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및 [[양산물금신도시]]가 있는 동네] || '''38.71%''' || {{{#E61E2B 58.46%}}} || ▼19.75 || 42.50 || || '''동면'''[*I [[양산물금신도시]]의 일부] || 37.70% || {{{#E61E2B 59.34%}}} || ▼21.64 || 41.81 || || '''원동면''' || 18.44% || {{{#E61E2B '''79.67%'''}}} || ▼'''61.23''' || '''56.55''' || || '''상북면''' || 25.83% || {{{#E61E2B 71.13%}}} || ▼45.30 || 50.27 || || '''하북면'''[*J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가 있는 동네] || 23.03% || {{{#E61E2B 74.57%}}} || ▼51.54 || 51.27 || || '''후보''' || [[양문석(정치인)|{{{#004EA2 양문석}}}]] || [[박완수|{{{#E61E2B '''박완수'''}}}]] || 격차 || || || '''거소투표''' || 32.43% || {{{#E61E2B 62.19%}}} || ▼29.76 || || || '''관외사전투표''' || 40.70% || {{{#E61E2B 55.82%}}} || ▼15.12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양문석(정치인)|{{{#FFFFFF 양문석}}}]] || [[박완수|{{{#FFFFFF '''박완수'''}}}]]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양산시 갑|{{{#E61E2B '''양산시 갑'''[*K 중앙동, 삼성동, 강서동, 물금읍, 원동면, 상북면, 하북면][*갑 지역구 국회의원: [[윤영석]]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 || 33.74% || {{{#FFFFFF 62.65%}}} || ▼28.91 || 43.92 || || [[양산시 을|{{{#004EA2 '''양산시 을'''[*L 양주동,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동면][*을 지역구 국회의원: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재선)]}}}]] || 35.62% || {{{#FFFFFF 60.51%}}} || ▼24.89 || 45.47 || ===== 양산시장 ===== ||<-4> [[|{{{+1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30px]]}}}]] [[양산시|{{{#ffffff {{{+1 '''양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일권(정치인)|{{{#373a3c,#dddddd 김일권}}}]](金一權) || 48,818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5.70% || 낙선 || ||<|2> {{{#FFFFFF {{{+5 '''2'''}}}}}} || '''[[나동연|{{{#373a3c,#dddddd 나동연}}}]](羅東淵)''' || '''81,804'''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9.82%''' || {{{#000 '''당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전원학}}}(全元鶴) || 6,10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4.4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94,411 ||<|3> '''투표율'''[br]47.00% || || '''투표 수''' || 138,399 || || '''무효표 수''' || 1,699 || ||<:><-5> {{{#FFFFFF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양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일권(정치인)|{{{#FFFFFF '''김일권'''}}}]] ||<:> [[나동연|{{{#FFFFFF '''나동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48,818 [br] (35.70%)''' ||<:> {{{#FFFFFF '''81,804 [br] (59.82%)'''}}} ||<:> '''-32,986 [br] (▼24.12) ''' ||<:> '''47.00%''' || || '''중앙동'''[*A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 북부동 · 다방동 · 명곡동. 양산시청이 있는 원도심] || 26.67% || {{{#E61E2B 67.89%}}} || ▼41.22 || 43.25 || || '''양주동'''[*B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양산물금신도시]] 일부] || 37.53% || {{{#E61E2B 57.37%}}} || ▼19.84 || 53.31 || || '''삼성동'''[*C 법정동 신기동 · 북정동 · 산막동 · 호계동] || 30.96% || {{{#E61E2B 62.16%}}} || ▼31.20 || 41.37 || || '''강서동'''[*D 법정동 교동 · 유산동 · 어곡동] || 37.55% || {{{#E61E2B 58.04%}}} || ▼20.49 || 43.29 || || '''서창동'''[*E 법정동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35.06% || {{{#E61E2B 61.17%}}} || ▼26.10 || 42.95 || || '''소주동'''[*F 법정동 소주동 · 주남동 · 주진동. [[영산대학교]]가 있는 동네] || 34.54% || {{{#E61E2B 61.40%}}} || ▼26.86 || 43.52 || || '''평산동''' || 35.55% || {{{#E61E2B 60.22%}}} || ▼24.66 || 41.91 || || '''덕계동'''[*G 법정동 덕계동 · 매곡동.] || 36.28% || {{{#E61E2B 60.00%}}} || ▼23.72 || 50.02 || || '''물금읍'''[*H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및 [[양산물금신도시]]가 있는 동네] || '''38.23%''' || {{{#FF6347 57.10%}}} || ▼18.87 || 42.50 || || '''동면'''[*I [[양산물금신도시]]의 일부] || 37.04% || {{{#E61E2B 59.86%}}} || ▼22.82 || 41.81 || || '''원동면''' || 19.83% || {{{#E61E2B '''75.21%'''}}} || ▼'''53.38''' || '''56.55''' || || '''상북면''' || 27.05% || {{{#E61E2B 68.39%}}} || ▼41.34 || 50.31 || || '''하북면'''[*J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가 있는 동네] || 23.46% || {{{#E61E2B 72 81%}}} || ▼49.35 || 51.28 || || '''후보''' || [[김일권(정치인)|{{{#004EA2 김일권}}}]] || [[나동연|{{{#E61E2B '''나동연'''}}}]] || 격차 || || || '''거소투표''' || 36.03% || {{{#E61E2B 58.84%}}} || ▼22.81 || || || '''관외사전투표''' || 40.72% || {{{#E61E2B 54.99%}}} || ▼14.26 || || === 대선 === ==== [[제13대 대통령 선거]] ==== ||<-5> {{{#ffffff {{{+1 '''양산군'''}}}}}}[br]{{{#ffffff 양산군 일원}}}[*S 당시 지금의 [[기장군]] 지역을 포함하였다.] || || '''정당'''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include(틀: 통일민주당)] || [include(틀: 평화민주당)] || [include(틀: 신민주공화당)] || || '''후보''' || [[노태우|{{{#ffffff '''노태우'''}}}]]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000000 '''김대중'''}}}]] || [[김종필|{{{#ffffff '''김종필'''}}}]] || || '''득표수''' ||<:> 35,578 ||<:> '''36,903''' ||<:> 3,964 ||<:> 2,214 || || '''득표율''' ||<:> 45.09% ||<:> '''46.77%''' ||<:> 5.02% ||<:> 2.80% ||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90,880 || ||<-3> '''투표 수''' ||<-2> 80,671 || ||<-3> '''무효표 수''' ||<-2> 1,768 || ||<-3> '''투표율''' ||<-2> 88.77% || ==== [[제14대 대통령 선거]] ==== ||<-5> {{{#ffffff {{{+1 '''양산군'''}}}}}}[br]{{{#ffffff 양산군 일원}}}[*S 당시 지금의 [[기장군]] 지역을 포함하였다.] || || '''정당'''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include(틀: 신정치개혁당)] || || '''후보'''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정주영|{{{#ffffff '''정주영'''}}}]] || [[박찬종|{{{#ffffff '''박찬종'''}}}]] || || '''득표수''' || '''68,781''' || 9,602 || 9,496 || 6,454 || || '''득표율''' || '''71.88%''' || 10.03% || 9.92% || 6.74%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119,489 || ||<-3> '''투표 수''' ||<-2> 96,853 || ||<-3> '''무효표 수''' ||<-2> 1,177 || ||<-3> '''투표율''' ||<-2> 81.06% || ==== [[제15대 대통령 선거]] ==== ||<-4>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include(틀: 국민신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이인제|{{{#ffffff '''이인제'''}}}]] || || '''득표수''' || '''40,989''' || 12,207 || 35,020 || || '''득표율''' || '''45.54%''' || 13.56% || 38.91% || || '''순위''' || '''1위''' || 3위 || 2위 || ||<|4> '''계''' ||<-2> '''선거인 수''' || 115,115 || ||<-2> '''투표 수''' || 91,461 || ||<-2> '''무효표 수''' || 1,459 || ||<-2> '''투표율''' || 79.45% || ==== [[제16대 대통령 선거]] ==== ||<-4>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노무현|{{{#ffffff '''노무현'''}}}]] || [[권영길|{{{#ffffff '''권영길'''}}}]] || || '''득표수''' || '''61,399''' || 30,998 || 4,221 || || '''득표율''' || '''63.29%''' || 31.95% || 4.35%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144,970 || ||<-2> '''투표 수''' || 97,835 || ||<-2> '''무효표 수''' || 827 || ||<-2> '''투표율''' || 67.49% || ==== [[제17대 대통령 선거]] ==== ||<-6>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include(틀:창조한국당)]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정동영|{{{#ffffff '''정동영'''}}}]] || [[이명박|{{{#ffffff '''이명박'''}}}]] || [[권영길|{{{#ffffff '''권영길'''}}}]] || [[문국현|{{{#ffffff '''문국현'''}}}]] || [[이회창|{{{#ffffff '''이회창'''}}}]] || || '''득표수''' || 14,220 || '''55,734''' || 4,367 || 5,490 || 19,877 || || '''득표율''' || 14.13% || '''55.41%''' || 4.34% || 5.45% || 19.76% || || '''순위''' || 3위 || '''1위''' || 5위 || 4위 || 2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168,925 || ||<-3> '''투표 수''' ||<-2> 101,284 || ||<-3> '''무효표 수''' ||<-2> 704 || ||<-3> '''투표율''' ||<-2> 59.96% || ==== [[제18대 대통령 선거]] ==== ||<-3>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 '''득표수''' || '''93,167''' || 64,467 || || '''득표율''' || '''58.90%''' || 40.76%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207,478 || || '''투표 수''' || 158,887 || || '''무효표 수''' || 732 || || '''투표율''' || 76.58% || ||<:><-5> {{{#FFFFFF '''18대 대선 경남 양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93,167 [br] (58.90%)'''}}} ||<:> '''64,467 [br] (40.76%)''' ||<:> '''+28,700 [br] (△18.14)''' ||<:> '''76.58%''' || || '''중앙동'''[*A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 북부동 · 다방동 · 명곡동. 양산시청이 있는 원도심] ||<:> {{{#c01920 67.48%}}} ||<:> 32.24% ||<:> △35.24 ||<:> 70.62 || || '''양주동'''[*B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양산물금신도시]] 일부] ||<:> {{{#c01920 53.16%}}} ||<:> '''46.59%''' ||<:> △6.57 ||<:> '''81.96''' || || '''삼성동'''[*C 법정동 신기동 · 북정동 · 산막동 · 호계동] ||<:> {{{#c01920 58.62%}}} ||<:> 41.05% ||<:> △17.57 ||<:> 74.07 || || '''강서동'''[*D 법정동 교동 · 유산동 · 어곡동] ||<:> {{{#c01920 56.89%}}} ||<:> 42.89% ||<:> △14.0 ||<:> 75.66 || || '''서창동'''[*E 법정동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c01920 58.66%}}} ||<:> 41.02% ||<:> △17.64 ||<:> 73.88 || || '''소주동'''[*F 법정동 소주동 · 주남동 · 주진동. [[영산대학교]]가 있는 동네] ||<:> {{{#c01920 60.65%}}} ||<:> 38.96% ||<:> △21.69 ||<:> 73.15 || || '''평산동''' ||<:> {{{#c01920 59.08%}}} ||<:> 40.70% ||<:> △18.38 ||<:> 75.96 || || '''덕계동'''[*N 법정동 덕계동 · 매곡동. [[문재인]] 후보의 사저가 있는 동네] ||<:> {{{#c01920 61.08%}}} ||<:> 38.62% ||<:> △22.46 ||<:> 75.29 || || '''물금읍'''[*H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및 [[양산물금신도시]]가 있는 동네] ||<:> {{{#c01920 56.19%}}} ||<:> 43.47% ||<:> △12.72 ||<:> 78.24 || || '''동면'''[*I [[양산물금신도시]]의 일부] ||<:> {{{#c01920 60.26%}}} ||<:> 39.53% ||<:> △20.73 ||<:> 77.30 || || '''원동면''' ||<:> {{{#c01920 '''74.52%'''}}} ||<:> 24.90% ||<:> △'''49.62''' ||<:> 74.76 || || '''상북면''' ||<:> {{{#c01920 66.67%}}} ||<:> 33.00% ||<:> △33.67 ||<:> 75.84 || || '''하북면''' ||<:> {{{#c01920 69.38%}}} ||<:> 30.12% ||<:> △39.26 ||<:> 73.62 || || '''후보''' ||<:> [[박근혜|{{{#c01920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 격차 ||<:> || || '''국외부재자투표''' ||<:> 42.53% ||<:> {{{#ffd400 '''57.05%'''}}} ||<:> {{{#808080 ▼'''14.52'''}}} ||<:> || || '''국내부재자투표''' ||<:> '''47.94%''' ||<:> {{{#ffd400 51.07%}}} ||<:> {{{#808080 ▼3.13}}} ||<:>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6>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 || '''83,412''' || 58,811 || 30,945 || 14,055 || 10,705 || || '''득표율''' || '''41.94%''' || 29.57% || 15.55% || 7.06% || 5.38%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256,724 || ||<-3> '''투표 수''' ||<-2> 199,835 || ||<-3> '''무효표 수''' ||<-2> 954 || ||<-3> '''투표율''' ||<-2> 77.84% || ||<:><-8> {{{#FFFFFF '''19대 대선 경남 양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83,412 [br] (41.94%)'''}}} ||<:> '''58,811 [br] (29.57%)''' ||<:> '''30,945 [br] (15.55%)''' ||<:> '''14,055 [br] (7.06%)''' ||<:> '''10,705 [br] (5.38%)''' ||<:> '''+24,601 [br] (△12.37)''' ||<:> '''77.84%''' || || '''중앙동'''[*A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 북부동 · 다방동 · 명곡동. 양산시청이 있는 원도심] ||<:> 32.00% ||<:> {{{#C9151E 43.03%}}} ||<:> 14.38% ||<:> 6.06% ||<:> 4.07% ||<:> {{{#808080 ▼11.03}}} ||<:> 68.54 || || '''양주동'''[*B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양산물금신도시]] 일부] ||<:> {{{#004ea2 44.18%}}} ||<:> 26.18% ||<:> 15.64% ||<:> 7.53% ||<:> '''6.07%''' ||<:> △18.0 ||<:> '''82.69''' || || '''삼성동'''[*C 법정동 신기동 · 북정동 · 산막동 · 호계동] ||<:> {{{#004ea2 40.40%}}} ||<:> 29.87% ||<:> 15.93% ||<:> '''7.56%''' ||<:> 5.81% ||<:> △10.53 ||<:> 73.09 || || '''강서동'''[*D 법정동 교동 · 유산동 · 어곡동] ||<:> {{{#004ea2 41.56%}}} ||<:> 28.85% ||<:> 16.09% ||<:> 7.0% ||<:> 5.77% ||<:> △12.71 ||<:> 75.28 || || '''서창동'''[*E 법정동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004ea2 41.12%}}} ||<:> 30.26% ||<:> '''16.22%''' ||<:> 6.53% ||<:> 5.51% ||<:> △10.86 ||<:> 73.29 || || '''소주동'''[*F 법정동 소주동 · 주남동 · 주진동. [[영산대학교]]가 있는 동네] ||<:> {{{#004ea2 39.40%}}} ||<:> 32.65% ||<:> 15.87% ||<:> 5.97% ||<:> 5.52% ||<:> △6.75 ||<:> 71.77 || || '''평산동''' ||<:> {{{#004ea2 41.32%}}} ||<:> 32.26% ||<:> 14.86% ||<:> 6.19% ||<:> 4.90% ||<:> △9.06 ||<:> 74.46 || || '''덕계동'''[*N 법정동 덕계동 · 매곡동. [[문재인]] 후보의 사저가 있는 동네] ||<:> {{{#004ea2 39.78%}}} ||<:> 35.07% ||<:> 14.18% ||<:> 5.97% ||<:> 4.54% ||<:> △4.71 ||<:> 77.33 || || '''물금읍'''[*H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및 [[양산물금신도시]]가 있는 동네] ||<:> {{{#004ea2 '''45.81%'''}}} ||<:> 25.17% ||<:> 15.82% ||<:> 7.54% ||<:> 5.26% ||<:> △'''20.64''' ||<:> 78.96 || || '''동면'''[*I [[양산물금신도시]]의 일부] ||<:> {{{#004ea2 43.17%}}} ||<:> 29.71% ||<:> 15.51% ||<:> 6.79% ||<:> 4.50% ||<:> △13.46 ||<:> 76.28 || || '''원동면''' ||<:> 22.97% ||<:> {{{#C9151E '''57.95%'''}}} ||<:> 11.87% ||<:> 4.04% ||<:> 2.40% ||<:> {{{#808080 ▼'''34.98'''}}} ||<:> 71.65 || || '''상북면''' ||<:> 32.56% ||<:> {{{#C9151E 42.10%}}} ||<:> 15.01% ||<:> 5.57% ||<:> 4.04% ||<:> {{{#808080 ▼9.54}}} ||<:> 73.35 || || '''하북면''' ||<:> 29.32% ||<:> {{{#C9151E 47.22%}}} ||<:> 13.49% ||<:> 5.81% ||<:> 3.45% ||<:> {{{#808080 ▼17.90}}} ||<:> 72.02 || || '''후보'''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004ea2 37.16%}}} ||<:> '''20.69%''' ||<:> '''28.10%''' ||<:> 7.10% ||<:> 4.08% ||<:> △9.06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6.02%}}} ||<:> 20.48% ||<:> 16.0% ||<:> '''9.37%''' ||<:> 7.50% ||<:> △25.54 ||<:> || || '''재외투표''' ||<:> {{{#004ea2 '''61.20%'''}}} ||<:> 6.0% ||<:> 16.63% ||<:> 4.75% ||<:> '''10.97%''' ||<:> △'''44.57''' ||<:> || || '''국회의원 선거구'''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투표율 || || {{{#ffffff '''양산시 갑'''}}}[*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윤영석]]][* 관할 동 : 중앙동, 삼성동, 강서동, 물금읍, 원동면, 상북면, 하북면] ||<:> {{{#004ea2 '''40.98%'''}}} ||<:> 31.05% ||<:> 15.44% ||<:> 7.04% ||<:> 5.0% ||<:> △9.93 ||<:> 75.81% || || {{{#ffffff '''양산시 을'''}}}[*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서형수]]][* 관할 동 : 양주동,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동면] ||<:> {{{#004ea2 '''41.91%'''}}} ||<:> 30.25% ||<:> 15.48% ||<:> 6.64% ||<:> 5.29% ||<:> △11.66 ||<:> 76.31%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박근혜]]가 파면되면서 조기 대선이 치러졌다. [[더불어민주당]]에선 지난 [[제18대 대통령 선거|18대 대선]] 때 박근혜를 상대로 3.53% 차로 근소하게 석패했던 [[문재인]] 후보가 경선 끝에 승리하며 최종 후보로 낙점되었다. 정권을 재창출해야 할 [[자유한국당]]에선 경선 끝에 [[홍준표]] 전 [[경상남도지사]]가 후보로 출마했다. 그리고 [[새누리당]]에서 갈라져 나간 [[바른정당]]에서도 [[유승민]] 대표가 출마했고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선 지난 대선 때 문 후보와 단일화를 하며 불출마했던 [[안철수]] 후보가 출마했다. 그리고 마지막 [[정의당]]에선 [[심상정]] 대표가 출마했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때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를 상대로 46.77% : 45.09%로 득표율 1.68%, 득표 수 1,325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승리한 이후 양산시에서 민주 정당 출신 대선 후보가 보수 정당 후보를 상대로 승리한 사례가 단 한번도 없었다. 그나마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때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31.95% 득표율을 올리며 선전했지만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게 더블스코어 차로 패배했다. 그리고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 때엔 비노계 호남 출신 [[정동영]]이 출마하자 도로 원위치 되며 14.13%라는 바닥을 기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이명박]]에게 거의 4배 가까운 격차로 대패했다. 하지만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때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비록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상대로 40.76% 득표율을 기록해 김영삼 후보가 46.77% 득표율로 승리한 이후 '''무려 25년''' 만에 민주정당 소속 대선 후보로선 처음으로 양산시에서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또 1년 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 때 [[양산시 갑]]에선 [[새누리당]] [[윤영석]] 후보가 야권 표 분산이란 호재에 힘입어 4.8% 차 [[어부지리]] 당선됐고, 반대로 [[양산시 을]]에선 [[더불어민주당]] [[서형수]] 후보가 여권 표 분산이란 호재에 힘입어 1.9% 차 [[어부지리]] 당선을 했다. 즉,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부터 양산시의 표심은 보수세가 많이 약해졌던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양산신도시]] 개발로 인해 외지 출신 청년층 인구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양산시의 표심도 많이 바뀌었다. 전국 개표 결과 41.1% : 24%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득표율 17.1%, 득표 수 557만 951표 차로 역대 최다 표차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로 당선되었다. [[경상남도]] 전역에선 36.73% : 37.24%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득표율 0.51%, 득표 수 10,760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지만 이곳 양산시는 41.94% : 29.57%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득표율 12.37%, 득표 수 24,601표 차라는 큰 격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양산시에서 민주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승리한 것은 앞서 말했듯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때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승리한 이후 '''무려 30년''' 만의 일이었다. 이 결과가 특히 중요한데 이번 대선은 지난 18대 대선과 달리 다자 구도로 이루어졌기에 문재인 후보의 득표율이 지난 대선 대비 7% 정도 하락해 대부분의 지역에선 득표율이 지난 대선보다 더 낮았다. 그러나 이곳 양산시에선 40.76%에서 41.94%로 오히려 지난 대선보다 '''소폭 더 상승'''했다.[* 비슷하게 [[부울경]] 지역에서 지난 대선 대비 득표율이 더 증가한 곳으로는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기장군]], [[경상남도]] [[거제시(선거구)|거제시]], [[진주시]], [[사천시]] 등이 있다. 공통점은 대부분 [[신도시]] 개발로 인해 청년층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곳이란 점이다.] 이러한 배경으로는 [[물금신도시]]를 비롯한 [[양산신도시]]가 있다. 이곳 양산시 외에도 신도시 개발이 진행 중인 곳에선 문재인 후보의 득표율이 양자 구도였던 지난 대선보다 다자 구도인 이번 대선에서 오히려 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도시 개발로 인해 청년층 인구가 급증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이전보다 많이 강해졌기에 비록 안철수와 심상정이 일정 부분 표 분산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득표율이 더 상승했던 것이다. 양산시 역시 김해시와 마찬가지로 도농복합도시여서 지역별로 득표율 편차가 매우 심한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위 문재인 후보는 대체로 신도시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이 문서에 해당하는 지역구인 [[양산시 갑]] 한정으로 살펴보면 먼저 문재인 후보는 신도시 개발이 진행 중인 [[물금읍]]에서만 무려 '''10,075표''' 차라는 '''엄청난 격차'''로 홍준표 후보를 깨버렸다. 그 밖에 삼성동에서 1,136표 차, 강서동에서 692표 차로 승리했다. 그 밖에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109표 차, 관외사전투표에서 4,720표 차, 재외투표에서 488표 차로 승리하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반대로 2위 홍준표 후보는 대체로 농촌 지역과 구도심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그는 원동면, 상북면, 하북면, 중앙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모두 [[양산시 갑]] 지역구다. 홍준표 후보는 원동면에서 684표 차, 상북면에서 818표 차, 하북면에서 971표 차, 중앙동에서 740표 차로 승리했다. 하지만 이 4곳의 표 차를 모두 다 합쳐도 3,213표 차에 불과해 물금읍 1곳에서 발생한 표 차의 1/3도 채 상쇄하지 못했다. [[양산시 을]]에 속한 읍, 면, 동 어느 곳에서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구 [[웅상읍]] 지역에서도 단 1곳에서도 이기지 못했다. 그나마 위에서 본대로 웅상읍 지역인 소주동과 덕계동에서 수백 표 차 접전을 벌인 것이 그가 거둔 최고의 성적이었다. 그리하여 홍준표 후보는 "''30년 만'''에 양산시에서 패배한 보수 정당 소속 대선 후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3위 안철수 후보는 모든 읍, 면, 동을 통틀어 15% 내외의 일관적인 득표율을 보였다. 하지만 득표율의 격차가 적어서 잘 드러나지 않았을 뿐 그 역시도 신도시 지역인 물금읍 등에서 득표율이 높았다. 특이하게도 신도시 지역보다는 구 웅상읍 지역에서 득표율이 더 높았다. 4위 유승민 후보 역시 모든 읍, 면, 동을 통틀어 7% 내외의 고른 득표율을 보였다. 하지만 그 역시도 대체로 신도시 지역에서 득표율이 높았다. 5위 심상정 후보 역시도 구도심보다는 신도시 지역에서 높은 득표율을 보였지만 본래 이곳은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한 곳일 뿐 진보 정당 지지세가 강한 편은 아니어서 별 좋은 성적을 거두진 못했다. ==== [[제20대 대통령 선거]] ==== ||<-3> [[양산시|{{{#ffffff {{{+1 '''양산시'''}}}}}}]][br]{{{#ffffff 양산시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 '''득표수''' || 92,137 || '''116,904''' || || '''득표율''' || 42.18% || '''53.52%'''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294,133 || || '''투표 수''' || 220,501 || || '''무효표 수''' || 2,103 || || '''투표율''' || 74.96% || ||<:><-5> {{{#FFFFFF '''20대 대선 경남 양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92,137 [br] (42.18%)''' ||<:> {{{#FFFFFF '''116,904 [br] (53.52%)'''}}} ||<:> '''-24,767 [br] (▼11.34)''' ||<:> '''74.96%''' || || '''중앙동'''[*A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 북부동 · 다방동 · 명곡동. 양산시청이 있는 원도심] || 35.22% || {{{#E61E2B 61.23%}}} || ▼26.01 || 71.56 || || '''양주동'''[*B 법정동 중부동 · 남부동 ([[양산대로]] 동쪽). [[양산물금신도시]] 일부] || 44.35% || {{{#FF6347 51.18%}}} || ▼6.83 || '''80.09''' || || '''삼선동'''[*C 법정동 신기동 · 북정동 · 산막동 · 호계동] || 40.26% || {{{#E61E2B 55.01%}}} || ▼14.75 || 69.15 || || '''강서동'''[*D 법정동 교동 · 유산동 · 어곡동] || 42.32% || {{{#E61E2B 52.67%}}} || ▼10.35 || 70.70 || || '''서창동'''[*E 법정동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42.67% || {{{#E61E2B 52.70%}}} || ▼10.03 || 71.01 || || '''소주동'''[*F 법정동 소주동 · 주남동 · 주진동. [[영산대학교]]가 있는 동네] || 41.09% || {{{#E61E2B 53.83%}}} || ▼12.74 || 70.84 || || '''평산동''' || 41.88% || {{{#E61E2B 53.76%}}} || ▼11.88 || 69.81 || || '''덕계동'''[*M 법정동 덕계동 · 매곡동. [[문재인]] 대통령 사저가 있는 동네] || 42.05% || {{{#E61E2B 53.84%}}} || ▼11.79 || 77.57 || || '''물금읍'''[*H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및 [[양산물금신도시]]가 있는 동네] || '''44.54%''' || {{{#E61E2B 51.57%}}} || ▼8.03 || 73.34 || || '''동면'''[*I [[양산물금신도시]]의 일부] || 43.74% || {{{#E61E2B 52.45%}}} || ▼8.71 || 70.68 || || '''원동면''' || 24.34% || {{{#E61E2B '''72.80%'''}}} || ▼'''48.46''' || 76.74 || || '''상북면''' || 34.07% || {{{#E61E2B 62.16%}}} || ▼28.09 || 74.83 || || '''하북면''' || 30.82% || {{{#E61E2B 66.34%}}} || ▼35.52 || 78.10 || || '''후보''' || [[이재명|{{{#004ea2 '''이재명'''}}}]] || [[윤석열|{{{#E61E2B '''윤석열'''}}}]]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7.85% ||<:> {{{#E61E2B 53.81%}}} ||<:> ▼15.96 ||<:> || || '''관외사전투표''' ||<:> 43.41% ||<:> {{{#E61E2B 51.59%}}} ||<:> ▼8.18 ||<:> || || '''재외투표''' ||<:> {{{#004ea2 '''60.56%'''}}} ||<:> 35.87% ||<:> {{{#808080 △'''24.69'''}}}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양산시 갑|{{{#E61E2B '''양산시 갑'''[*K 중앙동, 삼성동, 강서동, 물금읍, 원동면, 상북면, 하북면][*갑 지역구 국회의원: [[윤영석]]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 || 40.86% || {{{#FFFFFF 54.37%}}} || ▼13.51 || 72.76 || || [[양산시 을|{{{#004EA2 '''양산시 을'''[*L 양주동,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동면][*을 지역구 국회의원: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재선)]}}}]] || 42.53% || {{{#FFFFFF 52.62%}}} || ▼10.09 || 73.46 || === 총선 === ||<-10> {{{#FFFFFF '''21대 총선 양산시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양산시 갑)'''}}}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영(1964년 10월)|{{{#FFFFFF 이재영}}}]] || [[윤영석|{{{#FFFFFF '''윤영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42,260 [br] (42.03%)''' || {{{#FFFFFF '''57,301 [br] (56.99%)'''}}} || '''- 15,041 [br] (▼14.96)''' || '''101,497 [br] (66.15%)'''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중앙동'''[*A ] || 31.34% || {{{#EF426F 67.54%}}} || ▼36.20 || {{{#696969 60.17}}} || || '''삼성동'''[*C ] || 38.55% || {{{#EF426F 60.32%}}} || ▼21.77 || 62.01 || || '''강서동'''[*D ] || 41.07% || {{{#EF426F 57.78%}}} || ▼16.71 || 62.92 || || '''물금읍'''[*H ] || '''45.62%''' || {{{#FF7E9D 53.56%}}} || '''▼7.94''' || 64.48 || || '''원동면''' || {{{#696969 24.45%}}} || {{{#EF426F '''74.69%'''}}} || {{{#696969 ▼'''50.24'''}}} || '''71.07''' || || '''상북면''' || 32.76% || {{{#EF426F 66.22%}}} || ▼33.46 || 65.12 || || '''하북면''' || 28.35% || {{{#EF426F 70.71%}}} || ▼42.36 || 64.97 || || '''후보''' || [[이재영(1964년 10월)|{{{#004EA2 '''이재영'''}}}]] || [[윤영석|{{{#EF426F '''윤영석'''}}}]]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8.24% || {{{#EF426F 58.07%}}} || ▼19.83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1.24%}}} || 47.45% || △'''3.79''' || || || '''재외투표''' || {{{#004EA2 62.50%}}} || 37.50% || △25.00 || || }}}}}}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양산시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두관|{{{#FFFFFF '''김두관'''}}}]] || [[나동연|{{{#FFFFFF 나동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44,218 [br] (48.94%)'''}}} || '''42,695 [br] (47.26%)''' || '''+1,523 [br] (△1.68)''' || '''91,238 [br] (67.32%)'''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양주동'''[*B ] || {{{#004EA2 '''49.75%'''}}} || {{{#696969 46.47%}}} || '''△3.28''' || '''72.32''' || || '''서창동'''[*E ] || {{{#004EA2 48.81%}}} || 46.98% || △1.83 || 62.83 || || '''소주동'''[*F ] || {{{#696969 46.41%}}} || {{{#EF426F '''49.58%'''}}} || {{{#696969 ▼3.17}}} || 62.95 || || '''평산동''' || 47.37% || {{{#EF426F 49.25%}}} || ▼1.88 || 63.27 || || '''덕계동'''[*M ] || {{{#004EA2 49.20%}}} || 47.55% || △1.65 || 70.04 || || '''동면'''[*I ] || 48.12% || {{{#EF426F 48.83%}}} || ▼0.71 || {{{#696969 61.72}}} || || '''후보''' || [[김두관|{{{#004EA2 '''김두관'''}}}]] || [[나동연|{{{#EF426F '''나동연'''}}}]]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40.14% || {{{#EF426F 47.62%}}} || ▼7.48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5.34%'''}}} || 39.22% || △16.12 || || || '''재외투표''' || {{{#004EA2 '''76.19%'''}}} || 22.62% || △'''53.57''' || || }}}}}} || ||<-10>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include(틀:미래한국당)]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include(틀:국민의당)] || [include(틀: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73,822 [br] (40.06%)'''}}} || '''56,159 [br] (30.48%)''' || '''16,537 [br] (8.97%)''' || '''10,817 [br] (5.87%)''' || '''8,613 [br] (4.67%)''' || '''+ 17,663 [br] (△9.59)''' || '''192,750 [br] (66.69%)'''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중앙동'''[*A ] || {{{#EF426F 51.93%}}} || 23.66% || 6.43% || 3.96% || 3.54% || △28.27 || {{{#696969 60.17}}} || || '''양주동'''[*B ] || {{{#EF426F 37.64%}}} || 31.59% || 10.34% || 5.96% || 4.90% || △6.05 || '''72.32''' || || '''삼성동'''[*C ] || {{{#EF426F 43.65%}}} || 28.50% || 7.94% || 4.92% || 3.93% || △15.15 || 62.01 || || '''강서동'''[*D ] || {{{#EF426F 40.50%}}} || 30.05% || 9.10% || 5.40% || 3.72% || △10.45 || 62.92 || || '''서창동'''[*E ] || {{{#EF426F 39.84%}}} || 31.35% || 9.02% || 5.41% || 4.35% || △8.48 || 62.84 || || '''소주동'''[*F ] || {{{#EF426F 40.90%}}} || 29.83% || 8.88% || 5.25% || 4.42% || △11.07 || 62.95 || || '''평산동''' || {{{#EF426F 41.43%}}} || 30.35% || 8.56% || 4.95% || 4.79% || △11.08 || 63.28 || || '''덕계동'''[*M ] || {{{#EF426F 41.88%}}} || 30.94% || 8.66% || 4.69% || 4.27% || △10.94 || 70.01 || || '''물금읍'''[*H ] || {{{#FF7E9D 36.81%}}} || '''32.01%''' || 9.37% || 7.37% || 4.93% || {{{#696969 △4.81}}} || 64.48 || || '''동면'''[*I ] || {{{#EF426F 39.30%}}} || 31.87% || 9.45% || 6.01% || 4.61% || △7.43 || 61.71 || || '''원동면''' || {{{#EF426F '''62.45%'''}}} || {{{#696969 15.80%}}} || 5.18% || 3.32% || 2.61% || '''△46.65''' || 71.07 || || '''상북면''' || {{{#EF426F 51.86%}}} || 24.69% || 6.15% || 3.71% || 2.90% || △27.17 || 65.13 || || '''하북면''' || {{{#EF426F 57.26%}}} || 20.48% || 5.74% || 4.37% || 3.17% || △36.78 || 64.98 || || '''정당''' || [include(틀:미래한국당)]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include(틀:국민의당)] || [include(틀: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34.74%}}} || 25.16% || 7.62% || 5.19% || 3.73% || △9.58 || || || '''관외사전투표''' || 32.00% || {{{#006CB7 33.83%}}} || 10.53% || 6.16% || 6.72% || ▼1.83 || || || '''재외투표''' || 26.41% || {{{#006CB7 35.22%}}} || 10.06% || 1.88% || 18.23% || ▼8.81 || || }}}}}} || [[분류:양산시]][[분류:경상남도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