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중화민국의 군벌, rd1=양위팅)] ||<-2> '''{{{#ffffff {{{+1 양우정}}}[br]梁又正}}}'''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우정_정치인.jpg]]}}} || || '''초명''' ||양창준(梁昌俊) || || '''호''' ||우정(雨庭)|| || '''본관''' ||[[남원 양씨]][* 문양공파-봉사공파 29세 재(在) 항렬. 족보명은 양재정(梁在正).]|| ||<|2> '''출생''' ||[[1907년]] 음력 [[11월 15일]][* 양력 12월 19일. 남원양씨 문양공파 인터넷족보에는 11월 9일생으로 오기되어 있다.]|| ||[[경상남도]] [[함안군]] 산내면 북촌리[br](現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 서촌마을)[*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22755|#]]] || ||<|2> '''사망''' ||[[1975년]] [[10월 11일]] (향년 67세) ||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 자택 || || '''학력''' ||함안보통학교[* 지금의 함안초등학교.] {{{-2 (졸업)}}}[br][[경북고등학교|대구고등보통학교]] {{{-2 ([[제적]])}}}[br][[와세다대학]] 전문부 {{{-2 ([[정치경제학]] / 중퇴)}}}|| || '''의원 선수''' ||'''1'''|| || '''의원 대수''' ||[[제2대 국회의원|'''2''']]||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시인(문학)|시인]], 언론인, [[정치인]]. == 생애 == 1907년 음력 11월 15일 [[경상남도]] [[함안군]] 산내면 북촌리(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 서촌마을)의 중농가에서 아버지 양한익(梁漢益, 1887. 10. 5 ~ 1946. 5. 2)과 어머니 [[김해 김씨]] 김이춘(金二春, 1885. 1. 29 ~ 1943. 1. 6)[* 김환규(金桓圭)의 딸이다.] 사이의 4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찍이 아버지로부터 한문을 배우다가 함안보통학교(현 함안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고등학교|대구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4학년 재학 중 반일 학생사건에 연루되어 퇴학당했다. 그 뒤 [[일본]]으로 건너가 2년간 방황하다가 [[와세다대학]] 전문부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했으나, 이마저도 중퇴하고 곧 귀국하였다. 귀국 후 [[신간회]]에 가입하여 지방 지부에서 활동하기도 하고 농민소작쟁의에 참여하는 등 실제 항일운동에 투신하였으며, 1926년 2월에는 [[동아일보]] 함안지국에 [[http://db.history.go.kr/id/npda_1926_02_02_v0006_1500|기자로 채용되어]] 잠시 동안 활동하기도 했다. 그리고 1927년 대산보통학교에서 1년간 교원촉탁으로서 [[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3&totalCount=3&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F%A5%BA%E6%98%8C%E4%BF%8A&brokerPagingInfo=SnUpYrZZuHIxMzHLMdPQRSi0k0mUUpCDsHuCGHyKLMNd0f0h&selectedTypes=&selectedSujectClass=&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F%A5%BA%E6%98%8C%E4%BF%8A&searchKeywordConjunction=AND|교원생활을 하기도 했다]]. 이 무렵 [[공산주의]] 사상에 경도되어 1928년경 [[카프]] 중앙위원을 역임하는 한편, 중외일보에 수십 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1920년대 후반부터는 본격적으로 문단에서 [[카프]] 시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1930년 1월 10일 [[밀양 박씨]] 박덕련(朴德連, 1911. 12. 12 ~ ?)[* 본명 박열자(朴悅子). 박춘성(朴春成)의 딸이다.]과 결혼하였으며, 그해 9월에는 「음악(音樂)과 시(詩)」의 발행인 겸 편집인에 취임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카프 [[개성]]지부 기관지인 「군기(群旗)」 주간에 취임하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양우정(1931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양우정(1932년).png|width=100%]]}}} || || 좌측·중간 : 1931년 12월 8일, [[서울중부경찰서|경성부 본정경찰서]]에서 촬영된 사진. || 우측 : 1932년 1월 1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 그러다가 1931년 국내공작위원회사건 및 반제동맹사건에 연루되어 그해 12월 7일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서울중부경찰서|경성부 본정경찰서]]에 유치되었다가, 같은 달 14일 [[http://db.history.go.kr/id/ia_3051_2352|석방되었다]]. 그러나 다시 체포되어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4년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으며, 특히 복역 중에 [[조선공산당]] 공작위원회 조직 및 활동 혐의로 재차 기소되어 1934년 6월 25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6개월형을 [[http://db.history.go.kr/id/su_010_1934_06_25_1430|선고받기도 했다]]. 그리고 1936년경 경남문학청년동맹사건에 연루되어 또다시 1년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얼마간 기와 및 숯을 구워 시장에 파는 것으로 생계를 잇다가, 결국 친일로 전향하여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친일단체 녹기연맹(綠旗聯盟)의 기관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69536&cid=60550&categoryId=63763|녹기]](綠旗)'''에 관계하기도 했다. [[8.15 광복]] 후 [[우익]] 언론인으로 정치에 뛰어들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선전부장으로 [[신탁통치]] 반대 운동에 참여했고, [[이승만]]의 독립운동 경력과 정치 이념을 홍보하는 저서를 남겼다. 1949년 연합신문사(聯合新聞社)를 창립하고 연합신문을 창간, 이승만의 일민주의 홍보에 앞장섰다. 그는 [[조선민족청년단]]에서 일민주의의 체계화에 앞장서면서 "가족국가론"을 제시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함안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이범석]]의 족청계에 몸담았다. 자유당에서 정무국장, 국민부장, 경남도당부 위원장 등을 지냈다. 1952년 4월 20일에는 대한통신사(大韓通信社)를 인수하여 동양통신(東洋通信)을 창설했으며, 같은 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외무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1953년 연합신문 주필인 정국은(鄭國殷)이 간첩혐의로 체포되자 당시 [[2대 국회]]에서 역대 최초로 체포동의안을 통과시킴으로써 구속되어 범인은닉 등으로 징역 7년형의 유죄판결을 받았다. 1953년 12월에 자유당에서 다른 족청계 인사들과 더불어 제명되었으나 1954년에 대통령 특별[[사면]]으로 풀려났다. 이후 1954년 4월 의원직을 사퇴한 후 칩거생활을 하다가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중당(1967년)|민중당]]으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1967년)|신민당]] [[조윤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https://news.joins.com/article/1120717|#]] 1975년 10월 11일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11110032920702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11-11&officeId=00032&pageNo=7&printNo=9269&publishType=00020|별세했다]].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함안군]] || [include(틀:무소속)] || 8,801 (19.93%) || '''당선 (1위)''' || '''초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성북구 갑]] || [include(틀:민중당(1967년))] || 905 (1.34%) || 낙선 (4위)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남원 양씨]][[분류:함안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1907년 출생]][[분류:1975년 사망]][[분류:동아일보 관련 인물]] == 둘러보기 == [include(틀:한국 보수진영 관련 문서)] ----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경상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