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산진구의 고등학교]][[분류:부산광역시의 남자고등학교]][[분류:1987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무산학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울특별시에 있는 동명의 고등학교, rd1=양정고등학교(서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무산학원)]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cfs7.blog.daum.net/478ed30ecae95&filename=03.%EB%B6%80%EC%82%B0%EC%96%91%EC%A0%95%EA%B3%A003.jpg|width=100%]]}}}|| || 학교 전경 || ||<-2> '''양정고등학교[br]養精高等學校[br]Yangjung High School''' || ||<-2><#fff,#191919> [[파일:external/www.kimkoomuseum.org/%EB%B6%80%EC%82%B0%EC%96%91%EC%A0%95%EA%B3%A0.png|width=50%]] || ||<-2>{{{#!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양정고등학교(부산), 너비=100%, 높이=100%)]}}}|| || '''개교''' ||[[1987년]] [[1월 12일]] || || '''운영형태''' ||사립[br]학교법인 무산학원 || ||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남학교]] || || '''교장''' ||유흥재 || || '''교감''' ||이종호|| || '''교목''' ||소나무 || || '''교화''' ||영산홍 || || '''재학생 수''' ||432명[br](2023년 기준) || || '''교직원 수''' ||49명[br](2023년 기준) || || '''관할교육청''' ||[[부산광역시교육청]] || || '''소재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로(부산)|양정로]] 46 ([[양정동(부산)|양정동]]) || || '''플랫폼''' ||[[http://school.busanedu.net/yangjung-h/main.do|홈페이지]] [[https://yangjung.riroschool.kr/|리로스쿨]]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부산)|양정동]]에 위치한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재일교포]] 신길수 선생이 설립한 무산학원 산하에 소속학교이다.[* 현 이사장은 그의 아들 신길부이다.] == 연혁 == ||1987년 3월 2일||개교 및 87학년도 신입생 입학식[br](제1회 10학급 573명)|| ||1988년12월 6일||학급증설(36학급 인가:학칙변경 2학급 증설)|| ||1989년 2월 16일||신길부 이사장 취임|| ||1992년 2월 7일||제1회 양정학예제 개최|| ||1993년 7월 2일||일본 [[http://www.kaichi.ed.jp/|가이치(開智) 중·고등학교]] 자매 결연[* [[와카야마현]]에 있는 [[중고일관교]]이다. [[편차치]]가 60점대 후반~70점대 초반인 입결이 상당히 높은 고등학교이다.]|| ||1998년 12월 30일||학교법인 무산학원으로 법인명칭 변경|| ||1999년 1월 10일||무산 신길수 선생 10주기 추모제 거행|| ||2004년 3월 21일||디지털도서관(DLS) 재개관 운영|| ||2006년 3월 1일||학교 급식소 개소(양정고 560석, 진여고 620석)|| ||2011년 3월 1일||법무부 지정 [[학생자치법정]] 시범학교 운영|| ||2012년 3월 1일||교과부 선정 자율형창의경영학교 운영|| ||2013년 9월 1일||제7대 강문도 교장 취임|| ||2015년 3월 2일||제8대 권오준 교장 취임|| ||2017년 3월 2일||제9대 이승호 교장 취임|| ||2017년 3월 2일||시교육청 주관 영재학급 운영 학교 지정|| ||2017년 11월 ||2017학년도 학력신장 우수 10대 학교 선정|| ||2017년 12월 ||2017학년도 학교경영 우수학교 선정|| ||2018년 03월 2일||SW선도학교 지정|| ||2018년 10월 25일||신길부 이사장 국민교육발전 유공 국민포장 수상|| ||2018년 11월 29일||신길부 이사장 사학육성공로 봉황장 수상|| ||2019년 1월 10일||신길부 이사장 취임 30주년 기념식|| ||2020년 3월 2일||제10대 이성학 교장 취임|| ||2022년 3월 2일||제11대 유흥재 교장 취임|| ||2023년 2월 9일||제34회 졸업식(159명, 누계 14,306명)|| ||2023년 3월 2일||제37회 입학식(154명)|| == 상징 == === [[교표]] === 다섯 개의 잎사귀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 다섯은 오상(五常)을 상징한다. === [[교훈]] === >입지(立志)[* 뜻을 세우다라는 의미이다.][* 생활심사때 입지(立志)의 뜻은? 이라는 질문으로 자주 나온다.], 성실(誠實), 봉사(奉仕) === [[교가]] === [[http://school.busanedu.net/yangjung-h/ss/schulSong/selectSchulSongView.do?mi=1006677|교가]] 교가 작곡을 음악 교사가 하였다. 작사는 신길수 前이사장이 하였다. == 학교시설 == 강당이 없어서 강당을 사용해야할때면 부산진여자고등학교의 강당을 빌려서 사용했고, 비가 오면 체육활동을 못했다. 2018년 11월 정부로부터 다목적 강당 증축을 위한 교육부 특별 교부금 16.2억을 받아냈다.[* 원래는 2019 체육대회 이후 착공 예정이었으나 교육부 지원과 더불어 이사장님의 지원을 받아도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https://m.blog.naver.com/hykim0417/221392750909|관련 보도자료]] 그리고 2021년도부터 완공[* 완공식은 2023년도에 하였다.]되어 사용중이다. 운동장은 인조잔디[* 원래 쓰던 인조잔디의 수명이 다해 2022년 말~ 2023년 초 새롭게 잔디를 깔게 되었다.]를 ----깔아서 외부에서도 많이 사용한다----가 깔려있지만 현재는 외부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 --목요일 저녁시간때면 학교 교사와 외부학교 교사들간의 축구경기가 열린다-- 현재는 열리지 않는다.] 점심시간에 개방을 해주고, 저녁시간[* 라이트가 있지만 학교에서 잘 틀어주지 않는다.]에도 개방을 해준다. 원래 스탠드에 지붕이 없었으나 2021년 지붕이 설치 되었다. 2020년에 학교 화장실을 전부 뜯어 고쳤다. 양정고 1기 동문이 비데를 기증하여 현재 거의 모든 화장실에 비데가 설치되어 있다. 동편 화장실도 공사가 끝났으며 굉장히 깨끗한 상태. 부산형 블렌디드 러닝 연구학교로 지정되면서 2021학년도에 모든 교실에 전자칠판[* 선생님들도 처음엔 전자칠판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어떨땐 선생님보다 학생이 전자칠판 활용을 잘하는 경우도 두루있다.]이 설치되었다. 2022년 1학기가 시작될때 정문으로 들어오면 바로 보이는 주차장 허물고 시청각실[* 시청각실에서는 음악수업이 진행되고, 초청 강의 또는 학부모를 상대로한 입시 설명회도 한다. ]로 만들었다. 2022년, 2학기가 시작될때 새 사물함이 들어왔고 교체되었다. 2022년 물리실, 기술실[* 원래 매점 옆이던 지하 1층에서 4층으로 올라왔다.], 미술실, 사회과실, 수학과실, 온-고잉실[* 원래 음악실이던 자리를 리모델링하여 방송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 시켰다.] 음악실[* 음악실=시청각실 ] 등이 새롭게 리모델링 되어 마련되었다. 2023년 1월 방학기간 동안 1~3학년 모든 반의 내부 인테리어를 바꿨다.[* 당시 2학년은 예비 3학년이라는 이유로 학교가 공사중인 상황에서도 덜 만들어진 1학년 교실을 활용하여 방학 보충을 시행했다.] 2023년 학생휴게실[* 그러나 학생휴게실에서 학생들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너무 많이 나왔다는 것을 인식하고 학생휴게실을 잠시 폐쇄하게 되었다. 현재 아무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 도서관[* 5층에 있는 자습실이 도서관으로 바뀌었고 도서관이 있던 자리는 학생들이 자습하기 편하게 책상과 의자, 쇼파등이 놓아졌고 또 다른 수업실이 마련되었다.]이 리모델링 되었다. == 특징 == [[운동부]]로 골프부가 있어서 체육특기생을 뽑기도 한다. 김도훈 선수가 여기 학생일 때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사장의 관심인지 진여고에도 골프부가 있는데, 여기는 땅콩으로 유명한 [[김미현]] 선수가 진여고 출신이다.] 같은 재단 산하에 부산진여자고등학교가 있는데 양정고등학교와 같은 부지 안에 나란히 있다. 교사간 인사상 당연히 교류하며, 급식실을 공유하고[* 과거에는 체육관도 공유했으나, 급식실 위에 새로 체육관을 지으면서 공유할 일은 없게 되었다.] 급식실 2층은 양정고, 3층은 부산진여고가 이용한다. 교문에 경비실은 진여고와 공유한다. 2학년부터 제2외국어를 가르치므로 1학년 2학기 말에 선호외국어를 조사를 한다. 한문/중국어/일본어를 고르라고 하나[* 예전에는 선택이었지만 이제는 반 강제적으로 일본어를 배운다.], 대개 일본어를 선택하므로 나머지는 개설이 되지 않는다. 제2외국어가 대입 수능 과목이 아니던 1학년때에만 제2외국어를 배우던 시기에는 독일어 수업만 있었다. 여름방학 개학을 하고난 2주뒤 또는 3주뒤에 진로박람회를 개최하여 부산에 있는 대학을 초청하거나 입시결과가 좋은 졸업생을 초청하여 학생들에게 강의한다. 부산형 블렌디드 러닝 연구학교로 지정되면서 2021학년도부터 모든 학생에게 [[LG gram ]]을 대여해주기 시작했다. == 위치 및 교통 == 부산의 지리적 특성상 학교의 위치는 '''당연하게''' 산중턱에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양정역(부산)|양정역]]에서 거리가 직선거리상으로는 700m 가량이나 언덕에 위치해 있기에 체감거리는 상당하다. 양정역 4번 출구에서 [[부산 버스 부산진8|마을버스 부산진8번]]을 타던가 도보로 이동한다. 학교로 올라오는 양정로가 대단히 협소하므로 등하교시 교통체증이 심하다. 이 협소한 양정로도 20년 전쯤에 고 신길수 이사장이 사비로 확장을 한 것이라 [[카더라]]. 현재 캠퍼스 주변이 양정 1구역 재개발 지역이라 현재 학교 주변 주택지의 철거 작업이 진행중이다. 학생들의 등하교 시 안전문제로 현재 임시 보행자 통로가 만들어져 있다. 아파트가 지어지면서 단지 교통량을 해결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오르막길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사건사고 == 2012년 태풍 볼라벤이 왔을 때 건물 외벽([[드라이비트]])이 날라가서 교사 2명이 부상을 입고, 차량 세대가 파손되는 일도 있었다(...)[* 정상수업을 했다고 한다.][[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350360&plink=OLDURL|SBS뉴스 41초 확인]] [[2016년 경주 지진]] 당시 강도 5.1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교감이 1,2학년만 귀가시키고 당시 교감 자신도 귀가~~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학교측은 입시철이라서 담임과 면담하는 학생이 많아 상황을 지켜본 뒤 2차지진이 일어나자 교감이 귀가를 지시했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그 당시 3학년 대다수가 7시 55분 경에 교감이 귀가하는것을 목격했고 귀가조치도 2차지진중에 일어났기 때문에 교감이 지시했다고는 볼수없다.(사실 여담으로 이 당시 맨 마지막으로 나간 3학년이 혼자 부들부들 거려서 적은거라고 이미 소문이 다 나서 알고 있다 ㅋ)][[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453117&viewType=pc/|SBS뉴스보도]]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9/14/2016091400121.html|조선일보]] == 여담 == [[양정동(부산)|양정동]]에 소재해서 양정고일 것 같지만, 부산진구 양정동 한자와 양정고 한자는 다르다. [[파일:external/pds.joins.com/2015060120285117940_1.png]] '남학교 부지 선정 甲'이라는 짤로 유명세를 탄 적이 있다. 부지를 공유하는 [[부산진여자고등학교]], 바로 밑의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뒤의 [[부산여자대학교]], 근처에 [[부산성모여자고등학교]]...[* 그나마 동호여자정보고등학교(현 [[세정고등학교]])가 2003년 남녀공학으로 바뀌면서 1개 줄어들어 4개가 된 것이다. 이처럼 주위에 [[여자고등학교]]에 둘러싸여 있는데다 [[여대]]까지 붙어있으니 더더욱.. 2003년 이전 기준으로 학교 마크에서 "高" 자를 둘러싼 5개의 꽃잎이 여자학교를 의미(...)한다는 말이 있기도 했다.][* 하지만 [[부산진여자고등학교]]를 제외하곤 모두 입구가 정반대 방향이다.] 앨범선정업체의 부정이 있었는지, 모기수의 졸업앨범에는 교가 악보가 '''서울'''에 소재한 양정고 교가가 실린 적이 있었다(...)[* 졸업식 얼마동안 행정실로 오면 교환을 해주기는 하였다.] 학생수가 줄어들어 2018학년도 1학년부터 8학급으로 운영중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개학이 진행되었는데 학교의 원활한 온라인 수업 운영이 높은 평가를 받아 EBS 특집다큐멘터리 '교육은 멈출 수 없다'를 촬영하였다. [[https://www.ebs.co.kr/tv/show?prodId=6651&lectId=20290239|EBS 특집다큐멘터리]] 원격수업 발전 우수 기관으로 2020년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으로부터 표창장을 수상하였다. == 출신 인물 == * [[강경호(종합격투기)|강경호]] 종합격투기 선수 * [[강예찬]] * [[김철용(강사)|김철용]] 해커스공무원 영어과 강사 * [[채명성]] 변호사[*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대리인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탄핵심판 대리인을 자청하고 나서 모교로 부터 비난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 [[유재명]] 배우[* 이태원 클라쓰에 장가 회장으로 출연했다.] * [[백승현(배우)|백승현]] 배우[* 이태원 클라쓰에 출연했다.] * [[정일송]] 가수 [* 트롯신이 떴다2 - 라스트 찬스에 출연했다.] * [[빈센트블루]] 가수 * [[노정현]] [[진보당(2020년)|진보당]] 부산시당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