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aPjkWfCFr5Q)] [[대한민국]]의 자동안내방송 기기 제작사이다. 본사는 서울 송파구 삼전로1길 2 양진빌딩 4층 안내방송은 [[전숙경]] 성우가 한국어를, [[제니퍼 클라이드]]가 영어를 담당한다. 서울 시내, 특히 역 근처에서는 광고가 상당히 많이 나오지만, 서울 시계만 벗어났다 하면 광고가 확 줄어든다. 차임벨이 굿모닝애드, [[본시스템]]과 비슷하나 음이 조금 낮은 편이며, 소리가 작다. === 사용 업체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990~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서울 시내버스 안내방송은 회사마다 안내방송 기기가 다양했었다.[* 비슷한 시기에 경기도 안내방송도 지역과 버스업체마다 안내방송이 제각각이었다가, 80%는 이비 안내방송으로 교체하였다.] 그러나 회사마다 안내방송이 달라 이질감이 들었고[* 각 회사마다 안내방송 효과음과 말투에서 차이가 컸다.], 안내방송 교체 비용도 많이 들었는지 양진텔레콤이 미리아, 가라뫼 등의 안내방송 회사들을 모조리 인수했다. 그리고 서울특별시 측에서도 하나로 통일하기 위해서 양진텔레콤을 제외한 모든 안내방송 업체들과 계약을 해지하였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양진텔레콤을 쓰지 않는 업체들이 있긴 하였으나,[* 대표적으로, 용림교통은 양진텔레콤을 안 쓰고 버스티브이를 썼으나, 2015년 파산 이후 [[보광운수]]가 노선들을 인수하면서 양진텔레콤으로 교체되었다. 최종적으로는 [[정평운수]]가 최후의 양진텔레콤 미사용 업체로, 4433번에서 버스티브이를 사용하였으나 2019년에 양진텔레콤으로 교체되었다. 동일 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보다 음질이 더 선명하다.] 2019년부터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모든 노선이 양진텔레콤을 사용한다. * [[마을버스(서울)|서울특별시 마을버스]]의 일부 업체가 쓰고 있다. 대부분의 업체에서 구버전을 사용하지만,[* 구버전이기 때문에 안내방송 속도가 시내버스에 비해 느린 편이다.] 신버전을 사용하는 업체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주로 [[광진구]], [[서초구]] 업체들이 사용하는 경향이 크다. 구버전을 사용하는 곳은 [[구민버스]], [[구의교통]], [[대운교통(서울)|대운교통]], [[범일운수]], [[삼청교통]], [[서애운수]], [[서일교통]], [[서초교통]], [[서초그린교통]], [[선흥상운]], [[연성운수]], [[웅산교통]], [[은곡운수]], [[인왕교통]], [[일원교통]], [[청록운수]], [[청암운수]], [[청진운수]], [[청진교통(서울)|청진교통]], [[청화운수]], [[합정운수]], [[홍제교통]]이며, 신버전을 사용하는 곳은 [[계현운수]], [[광일운수]], [[광장운수]], [[미봉운수]][* 2022년부터 버스티브이에서 교체하였다.], [[번창교통]], [[신오류운수]], [[태진마을버스]], [[한강운수]]이다.[* 계현운수와 신오류운수는 본래 버스티브이, 애드케이(본시스템 기기지만 애드케이 관리)를 사용하다가 최근에 교체되어서 신버전이며, 나머지는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전환된 노선들을 운행하는 업체이거나 새로이 도입하였기 때문에 신버전이다. 광일운수와 광장운수 등은 영어 방송이 송출되지 않는다.] 다만, [[서일교통]] 등 일부 노선에서는 음질이 개선된 신형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신형처럼 안내방송 속도가 빨라진 것은 아니고 구절 간격이 구형처럼 길지만, 단순히 '''방송의 음질'''이 선명하고 뚜렷해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 계도 안내방송 == >이 버스는 ○○번 노선입니다. 기사님, 오늘도 안전운행 하시기 바랍니다. >친절히 승차합니다, 편안히 이동합니다, 안전하게 하차합니다. '''서울시내버스.''' >새벽의 설레임부터, 한밤의 고단함까지 함께합니다. '''서울시내버스.''' >승객여러분의 안전을 위하여, 항상 손잡이를 꽉 잡고, 버스가 완전히 정차한 후, 하차하시기 바라며, 특히 버스에서 내리실 때, 우측 이륜차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승객 여러분,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석은 교통약자 배려 좌석입니다. 차내 좌측 교통약자석은 휠체어 이용 승객을 위해 우선 양보하시고, 노약자는 천천히 하차하시기 바랍니다. >내용물이 밖으로 흐르거나 샐 수 있는 음료나 포장되지 않은 음식물을 가지고 타지 맙시다. 주변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음식물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운송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정류소에서 출발하는 버스를 무리하게 뛰어 탈 경우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니 다음 차량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승객 여러분, 환승 시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미태그 시 추가 요금이 발생합니다. >환승을 하였거나 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차 시 단말기에 카드를 접촉하셔야 기본 요금이 추가로 부과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차하실 때에는 단말기에 미리 카드를 태그하시기 바랍니다. >차내 입구가 복잡할 때는 안쪽으로 들어가 주시기 바랍니다. >시내버스 부정승차 적발 시에는 운임의 30배가 부과됩니다. 감사합니다. >알려 드리겠습니다. 승차 직후 하차 단말기 접촉은 부정승차에 해당하오니 승객 여러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승객 여러분, 승하차 시 전화 통화는 삼가고 미리 준비하여 안전하게 승하차하시기 바랍니다. >승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잠시 후 터널을 통과하오니 건강을 위하여 창문이 열려 있으면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승객 여러분, 잠시 후 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에 진입 예정입니다. 안전벨트를 착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곳은 한양도성 녹색 교통구역입니다. 더 맑고 쾌적한 서울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하철 ○호선[*A 혹은 ○,○호선/○○선]을 이용하실 승객께서는 이번 정류소에서 하차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하철 ○호선[*A]/○○역을 이용하시려면 이 곳에서 하차하여 주십시오. >이 차의 회차지점입니다. >이번 정류소는 이 차의 종점입니다. 잊으신 물건 없이 안녕히 가십시오. >우리 버스는 현금없는 클린버스 시범 운행 노선입니다. 교통카드를 미리 준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현금없는버스 시범 운행 차량, 초창기에는 클린을 붙이지 않고 안내했으나 2023년 6월 중 현재와 같이 개정.] >버스 이용 시 백팩을 앞으로 매 주시거나 손에 들어 주시고 가방을 맨 채 갑작스러운 회전을 피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차 후 버스나 지하철 환승 시에는 30분 이내에만 환승할인이 적용되며 오후 9시부터 오전 7시까지는 60분 이내에 갈아타셔야 환승할인이 적용됩니다. >선불 교통카드에 잔액이 부족할 때는 결제가 되지 않습니다. 현금이나 다른 카드를 사용해 주세요. 또한 환승 시에는 250원 이상의 잔액이 있어야 환승이 가능합니다. >시민 여러분 버스가 정차하기 전에 일어서지 마세요. 위험합니다. 천천히 내리세요. [[분류:버스 안내방송]][[분류: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