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양현종)] [목차] == 양현종에 대한 말말말 == >에이스가 되기에는 키가 너무 작다고 했다. >프로 입단후 3cm가 컸다. 그래도 여전히 작다고 했다. > >불같은 빠른공을 뻥뻥 던지는데 심지어 그 공에 타자들이 헛스윙을 붕붕 돌려대는데 저렇게 높게 던지면 안된다고 했다. > >심지어 제구가 좋지 않다고 했다. > >슬라이더로 좋은 결과가 나오고 있는데도 저래선 안된다고 했다. 체인지업을 던져야 에이스가 된다고 했다. > >체인지업을 던졌다. 삼진을 산처럼 쌓아올려도 리그를 대표하는 에이스는 아니라고 했다. > >몸이 아파서 성적이 떨어졌는데, 군면제 받았더니 정신이 풀어졌다고 했다. > >멘탈이 약한 선수라고 했다. 단지 몸이 아파서 못던진 것 뿐인데 정신을 걸고 넘어졌다. > >많은 승수를 올렸더니 평균자책점이 높다고 했다. 여름이면 자책점이 올라간다고 했다. 자책점을 낮췄다. > >타고투저의 시대에 2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리그 평균자책점 1위가 됐다. > >그래도 리그 에이스는 아니라고 했다. 에이스라면 이닝을 더 소화해야한다고 했다. > >200이닝을 넘게 책임졌다. 그랬더니 이제는 또 좀 이기라고 했다. > >그래서 그는 20승을 했다. > >지금까지 서술한 이야기는 한 투수가 지난 11시즌 동안 수많은 선입견에 맞섰던 이야기다. > >'''그는 양현종이다.''' >---- > - 2017.10.02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아나운서 [[https://www.instagram.com/p/BZv2ToaAEY5/?igshid=hqfam275qfnv|인스타그램]] > Yang Hyeon-Jong, Tigers sensational Southpaw. (타이거즈의 놀라운 좌완투수, 양현종) >---- > - [[무키 베츠]]의 [[KBO 리그/2020년|2020년 KBO 리그]] [[https://www.youtube.com/watch?v=-qrbpuvPcrk|양현종 소개 멘트]] == 선행과 미담 == * 팬서비스가 아주 좋은 선수이다. 퇴근길에 다른 선수들은 그냥 쌩하고 가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적어도 손이라도 흔들어주고 인사를 해준다. 싸인 요청도 어지간해선 해주는데 안 해주더라도 최소한 모자 벗고 목례하는 예의는 보여준다. 오랜 [[KIA 타이거즈|KIA]] 팬이 싸인 받고 싶다하면 "[[KIA 타이거즈|KIA]]팬인데 아직도 제 싸인 없으신 분이 있나요?"라고 농담할 정도로 싸인을 잘 해준다. 2020년 홈 구장 마지막 경기에서 [[KIA 타이거즈|KIA]] 선수들이 팬들에게 인사를 하지 않아 논란이 되었을때도 국내 선수 중에서 '''양현종과 [[박찬호(1995)|박찬호]], 그리고 [[김태진(1995)|김태진]] 이렇게 세 선수만 팬들에게 예의를 갖춰 인사를 건넸다.''' * 모교인 [[광주동성고등학교]]에 1억 7천만 원대의 40인승 최신형 성능의 리무진버스를 기증하였다. 야구부 선수들이 인터뷰를 하면 모두 이 버스에 대해 양현종에게 감사를 표현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0707081000054|양현종 모교에 버스 기증]] * 2013년, [[KBO 리그]] 4월 월간 MVP를 수상하고 상금 500만원 중 50%의 해당하는 금액의 야구 용품을 모교인 [[광주동성중학교]]에 기부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108/0002216891|#]] * 2013년, 밝은안과 21 병원 4월 월간 MVP를 수상하고 상금 100만원 중 5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기부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396/0000081413|#]] * 2013년부터 일명 '88둥이'라고 해서 [[김광현]], [[이용찬]], [[김강]], [[이재곤]], [[이상화(1988)|이상화]], [[이준수(야구선수)|이준수]], [[임태훈(야구선수)|임태훈]], [[임익준]], [[이천웅]], [[이웅한]], [[김재율]], [[김남형]], [[김정후]], [[김선빈]], 전준수, 황인권 등 2006년 청소년 대표팀 멤버들과 함께 암환자 치료 기부금을 마련하는 일일호프 행사를 열기 시작했다. 사실 2012년부터 시작하기로 한 행사였지만 행사 전날 [[이두환]]이 세상을 떠나고 말았고 다음해인 2013년부터 기일 전날인 12월 20일에 맞추어 [[이두환]]을 기리며 선수들이 직접 서빙도 하고 자선경매도 하여 모인 수익금을 [[이두환]]의 부모님께 드리며 행사가 시작되었다.[[https://sports.khan.co.kr/sports/sk_index.html?cat=view&art_id=201412091546453&sec_id=510201&pt=nv|#]] 2013~2015년, 2017년에는 일일호프 행사를 열었고 2016년에는 연탄배달 봉사활동, 2018년에는 당진에서 야구레슨장을 운영하고 있는 2006년 청소년 대표팀 멤버였던 [[이웅한]]의 권유로 당진시에서 ‘프로야구 선수와 함께하는 야구재능기부 교실’을 열어 재능기부를 했다.[[http://www.idj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45371|#]] 2019년에는 행사를 잠시 쉬었고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다같이 모이지는 못했지만 88 멤버들 개인적으로 납골당을 찾고 메신저 등을 통해 서로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77/0000277368|#]][[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76/0003814691|#]] 10주기인 2022년에는 다시 한번 모일 수 있었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76/0003952443|#]] * 2014년, 최동원상을 수상하고 상금으로 야구공을 기부했다. 본인의 모교인 광주학강초등학교, [[광주동성중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에 100박스, 폐교 위기를 이겨내고 전국대회 우승까지 차지한 양산 원동중학교에 30박스, [[최동원]]의 모교인 [[경남고등학교]]에 40박스, 총 170박스, 2040개를 기부했다. 본인은 조용히 기부했으나 학교 측에서 감사 인사를 전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109/0002948206|#]] * 2015년, 밝은안과 21 병원 3·4월 월간 MVP를 수상하고 상금 100만원 중 5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기부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311/0000470999|#]] * 2016년, 밝은안과 21 병원 4월 월간 MVP를 수상하고 상금 100만원 중 5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기부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109/0003322095|#]] * 2017시즌 FA로 해외진출을 추진했고 실제 [[일본프로야구|NPB]]에서 좋은 오퍼가 들어왔다는 썰도 있었으나[* 아예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 계약이 확정됐다는 오보까지 뜰 정도였다.][[KIA 타이거즈|KIA]] 잔류를 결정했다. 이때 [[KIA 타이거즈|KIA]]는 이미 100억 계약의 [[최형우]]와 40억 계약의 [[나지완]]과 계약한 상황으로 모기업의 돈을 다 쓴 상황이었다. 양현종은 놀랍게도 1년 22.5억으로 잔류하였다. [[김광현]]이 4년 계약이나 1년을 재활로 다 쉰다 합의했기에 사실상 3년 85억 계약을 한 시장 상황을 봤을 때 최소 100억, [[LG 트윈스]] 등이 참전하면 120억(실제로 [[LG 트윈스|LG]]는 양현종의 통산 성적의 절반 정도 밖에 안되는 [[차우찬]]과 95억 계약을 했다.) 얘기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홈 디스카운트로 헐값에 계약한 것이다. 이후 3년간 연봉 22.5억을 줬지만 선수들은 FA시 계약금을 많이 주는 것을 압도적으로 좋아한다. 금리가 아무리 낮아도 화폐 가치는 계속 낮아지고 혹여라도 부진 혹은 부상으로 2군에 갔을 시 연봉은 50%가 삭감되기 때문이다. * 2017년, 모교인 [[광주동성고등학교]]에 1억 7천만원 상당의 40인승 최신형 성능의 리무진버스를 기증했다. 야구부 선수들이 인터뷰를 하면서 모두 이 버스에 대해 양현종에 감사를 표현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0707081000054|#]] * 2017년, 밝은안과 21 병원 7월 월간 MVP를 수상하고 상금 100만원 중 5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기부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8/0002636370|#]] * [[2017년 한국시리즈]] 우승 당시 자신이 사는 아파트 같은 동에 있는 모든 집을 직접 돌며 싸인볼을 나눠주었다. * 2017년, [[KIA 타이거즈]] 장내 아나운서인 [[MC이슈]]가 진행하는 소외계층을 위한 나눔활동에 연탄 1000장을 기부했다.[[https://sports.khan.co.kr/sports/sk_index.html?art_id=201711300932013&sec_id=510201&pt=nv|#]] * 2018년, 소아당뇨 환자가 본인과 [[이범호]]의 팬이라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청와대의 요청에 싸인 글러브와 아동용 특별 제작 글러브까지 선물했고 대통령에 의해 전달되었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71913507663247|#]][[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68/0000451514|#]] * 2018년, 모교인 광주학강초등학교에 야구장 전광판을 기증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1/2018112100375.html|#]] * 2018년, [[최동원]] 야구교실에 야구공 300개를 기부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11/0000534529|#]] * 2018년, [[MC이슈]]와 함께 또 한번 연탄 1000장과 50만원 상당의 식료품을 나누는 행사를 열었다.[[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12913201152976|#]] * 2019년, 밝은안과 21 병원 6월 월간 MVP를 수상하고 상금 100만원 중 5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기부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77/0000193587|#]] * 2019년, 위아자 나눔장터에 싸인 유니폼을 기증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25/0002944484|#]] * [[맷 윌리엄스]] 감독이 2020시즌 주장을 정할 때 이례적으로 투수인 양현종을 지정한 이유로, 본인의 훈련이 끝나면 투수조의 훈련을 보며 조언을 계속해주고 투수조의 훈련이 끝날 때 야수조의 훈련이 진행 중이면 본인도 피곤할 텐데 집에 가지 않고 지켜보며 화이팅 하는 모습을 보며 '이 선수는 항상 팀을 위하는 선수구나' 라는 생각을 해 지명했다고 한다. * 2020년, [[KIA 타이거즈]] 선수단 상조회와 [[이화원(기업인)|이화원]] 대표이사가 함께 코로나 19 극복 성금으로 [[대한적십자사]] 대구지사에 3000만원을 기부했고 양현종은 개인적으로도 1000만원을 더 기부했다.[[http://www.spo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7783|#]] * 2020년, 밝은안과 21 병원 8월 월간 MVP를 수상하고 상금 100만원 중 5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기부했다.[[http://m.jndn.com/article.php?aid=1600253554305851104|#]] * 2020년, 위아자 나눔장터에 아이싱 티셔츠를 기증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043824?sid=102|#]] * 미국 생활을 마치고 귀국하기 전, [[텍사스 레인저스]]와 [[라운드 락 익스프레스]]의 모든 코칭 스태프, 트레이너, 프런트, 구단 직원, 선수단에게 손편지를 전했다. 또한 선수단과 코칭 스태프에게는 개개인의 등번호와 이름이 한글로 마킹되어있는 [[KIA 타이거즈]] 유니폼을 선물했고 트레이너, 프런트 및 구단 직원에게는 한글로 이름이 새겨진 모자를 선물했다.[[https://m.youtube.com/watch?v=rb3_-B1VtcA|#]] 양현종의 공을 주로 받던 포수 [[호세 트레비노]]는 후에 선물받은 유니폼을 입고 인스타그램 라이브를 하기도 했다. == 여담 == === 야구 관련 === * 야구를 시작한 계기는 초등학생 시절 [[급식]]을 빨리 먹기 위해서.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56&aid=0000000396|양현종 "급식 빨리 먹으려고 야구 시작"]] * [[KIA 타이거즈]]의 새 야구장인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의 첫 등판 투수이자 승리 투수이다. 그리고 [[2017년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완봉승을 하면서 포스트시즌 1호 승리 투수 + 완봉승이라는 기록도 세우게 되었다.[* 포스트시즌 1호 등판은 [[헥터 노에시]]였지만 그 경기에서 패했다.] 그리고 [[무등 야구장]]의 마지막 선발 투수이기도 했다. * 2019년 시즌 초반 부진했을 당시에 양현종 선수가 관련 인터뷰를 진행하다가 혹사 등을 포함한 여러 논란이 발생한 적이 있다. 선배 투수와 비교하여 혹사 의혹을 부정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인터뷰에서 외부인 간섭은 삼가달라고 이야기 했다가 여론이 안 좋아져 팬들에게 비난을 받았던 적 있다. 이 논란은 인터뷰 이후에도 부진이 이어짐에 따라 양현종에 대한 비난이 더욱 심해지는가 싶더니, 반등을 하고 역대급 투구를 선보이자 언제 그랬냐는 듯 모두가 비난을 멈추고 칭찬 일색이었다. * 2008시즌 [[KIA 타이거즈]]가 센터 내야수를 보강하려고 이리 뛰고 저리 뛰고 할 때 [[두산 베어스]]에서 [[이대수]]를 제시하면서 양현종을 내놓으라고 한 적이 있었다. 당시 양현종은 부진했지만 젊고 2차 1라운드로 뽑은 핵심 유망주였기 때문에 당연히 [[KIA 타이거즈]] 프런트와 구단은 펄쩍 뛰며 거절하였다. 물론 [[두산 베어스|두산]]이 꼭 이걸 성사시키려고 했다기보단 아쉬운 놈이 손해 봐야지란 마인드로 혹시나 해서 찔러본 거겠지만. 결국 [[윌슨 발데스]]라는 용병을 데려왔지만 이마저도 실패했고, 다음 해인 2009시즌에는 2루수는 당시 고졸 루키였던 [[안치홍]]이 노쇠화가 명확했던 [[김종국(야구)|김종국]]을 밀어내고 주전을 차지했고, 유격수는 3루를 보던 [[이현곤]]을 유격수로 돌려 해결했다. 1루수는 [[우주의 기운]]을 받은 [[최희섭]]이 완벽히 부활해 부진했던 [[이재주]]를 밀어내고 [[홍세완]]이 백업으로 활약해 메꾸게 되었다. 남은 3루수는 현대 유니콘스의 [[정성훈]]을 FA로 영입해 찬밥이 된 LG 트윈스의 [[김상현(1980)|김상현]]을 [[강철민]]과 트레이드하는, [[김상현, 박기남 ↔ 강철민 트레이드]]로 수혈해오면서 메꾸게 되었다. [[강철민]] 자체도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병역면제를 받고 계약금을 5억을 받을 정도로 유망주였기 때문에 [[KIA 타이거즈]]에서도 부상이 있고 현재 재활 중인데 괜찮겠냐?며 살짝 돌려 말했지만 [[LG 트윈스]]는 내야가 부족한 [[KIA 타이거즈]] 사정을 저격하듯 [[박기남]]까지 얹어주겠다는 제안을 해 트레이드 성사. 그리고 이후 결과는 다들 알다시피 [[탈쥐효과]]가 제대로 터져 [[사랑해요 LG(야구)|사랑해요 LG]]. [[LG 트윈스/2009년]]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 [[김상현, 박기남 ↔ 강철민 트레이드]]가 없었으면 [[KIA 타이거즈]]는 2009년 정규시즌과 [[2009년 한국시리즈]] 우승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이후 일본에서 복귀한 [[이범호]]까지 영입해 한동안 내야 걱정은 사라졌다. * 2017년 경기에서 급소를 맞은 적이 있다. 다행히 보호대를 착용해서 [[윤희상|누구]]처럼 되진 않았다. 이닝이 끝나고 확인해 보니 타구가 강해 보호대가 찌그러질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면서 양현종은 번거롭다고 보호대 착용을 하지 않는 후배들이 많다며 보호대 착용을 권장했다. * 2017시즌부터 새롭게 선보인 얼터 유니폼(러브투게더 2번째 버전, 광복절 기념 유니폼, 홈 최종전 유니폼, 카네이션 유니폼) 첫 번째 이벤트 경기에서 모두 선발 투수로 나섰다. 그리고 해당 얼터 유니폼을 입고 나섰던 경기에서 첫 경기인 러브투게더 데이를 제외한 나머지 세 경기에서 내리 연승을 거두었다. * [[KIA 타이거즈|KIA]] 팬덤 사이에서의 인기도는 그야말로 타 선수들과 비교불가능한 수준인데,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igers_new&no=5404002&exception_mode=recommend&page=1| 구단이 밝힌 2019년 유니폼 판매 순위]]에서 무려 3만장으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2위부터는 천 단위에서 노는 마당에 혼자서 자릿수가 다르다. * [[KIA 타이거즈]] 유튜브에서 나온 인터뷰 영상에서 은퇴 후의 자신의 이미지가 '''정말 열심히 던지고, 지기 싫어하던 선수'''로 기억에 남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해당 인터뷰는 여태까지 양현종의 대외적 인터뷰들과는 다르게 양현종이 정말 편안하게 임한 것이 느껴진다. 양현종의 팬이거나 [[KIA 타이거즈|KIA]]팬이라면 꼭 한번 보도록 하자 [[https://www.youtube.com/watch?v=29rvOfTbC94|영상]][* 은퇴 후 자신의 이미지 이야기는 4분 8초에서 언급된다.] * [[http://mlbpark.donga.com/mp/b.php?m=search&p=31&b=kbotown&id=201907080033194276&select=sct&query=%EC%95%8C%EB%B0%94&user=&site=kakao.com&reply=&source=&sig=h4aRSY2A6h9RKfX@h-j9RY-AKmlq|가끔 구장 알바(...)를 뛰는 듯 하다.]] * 경기 중 후배들에게 투구 관련 조언을 하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 [[https://m.dcinside.com/board/tigers_new/5305551?recommend=1&page=2|(데이터 주의)[[전상현]]과 [[박준표]]에게 투구 조언을 하는 모습.]] 가장 많이 신경쓰는 후배는 [[김기훈(야구선수)|김기훈]]인 듯.[[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igers_new&no=5295338&exception_mode=recommend&page=10|#]]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igers_new&no=5294187&exception_mode=recommend&page=10|##]] 심지어 함평까지 가서 2군 투수 코치를 겸업하고 있는 장면까지 목격됐다.[[http://mlbpark.donga.com/mp/b.php?p=1&b=kbotown&id=201908290034924340&select=&query=&user=&site=&reply=&source=&sig=h4aRSg-1ihTRKfX@h-j9RY-AKmlq|#]] * 우타자에게 간혹 약한 면모를 보일때가 있으며 2011년과 2014년에 [[최준석]]한테 만루 홈런을 허용한 적이 있다. 이외에도 [[이원석(1986)|이원석]]과 [[최영진]]한테 약한 편이다. * [[류현진]], [[김광현]]과 좌완 트로이카로 불리고 있는데, [[류현진]]이야 당연히 [[김광현]]과 양현종보다 훨씬 우위라는 건 결론이 내려진 상태라 언제부터인가 [[김광현]]과 양현종이 류현진의 뒤를 잇는 2인자 자리를 놓고 경쟁하였다. 국내 기준으로 양현종이 10의 능력을 18경기만큼 보여줄 수 있다고 하면, [[김광현]]은 15의 능력을 12경기만큼 보여줄 수 있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상위 리그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에서는 이닝 소화를 강점으로 발휘할 수 없기에 실력의 격차로 인한 차이가 드러나면서 [[김광현]]의 우위로 끝났다. * 이닝소화에 대한 책임감과 자부심이 상당하다. 예전부터 이닝을 많이 소화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왔고 실제로도 [[KBO 리그]]를 대표하는 이닝이터 중 한 명이 되었다. 이닝소화를 중요시하게된 계기로는 팀의 사정때문인 부분도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양현종이 [[KIA 타이거즈]]에서 우승을 두 번 하기는 했지만 그 외의 다른 시즌들은 전체적으로 중하위권에 가까웠다. 불펜이 약했던 적이 많기 때문에 중간계투들의 부담을 줄여주고 최대한 팀을 승리로 이끌기 위한 이유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오히려 무리해서 이닝을 소화하려고 하다가 추가 실점을 하는 등, 이런 부분이 좋지 않게 작용할 때도 분명히 있긴 하다. * 2019년 말 [[이광용의 옐로우카드|이광용의 옐카3]]에 출연해 상대하기 쉬워 팀에 오지 않았으면 하는 선수로 당시 [[NC 다이노스|NC]]의 [[나성범]]을 뽑았다. [[https://youtu.be/-U3GqUI-orE?t=1109|해당영상 18:29~]] 그러나 2022 시즌 나성범이 FA로 [[KIA 타이거즈|KIA]]로 이적하고, 양현종은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복귀함에 따라 [[KIA 타이거즈/2022년/스토브리그와 스프링캠프#s-1.2|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 반대로 까다로운 상대로는 [[SK 와이번스|SK]]의 [[김성현(1987)|김성현]]을 뽑았는데 프로에서의 상대 전적은 양현종이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타석에 들어서면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 시절의 모습이 떠올라서 그렇다고 한다. * 미국 시절, 이전에 [[KBO 리그]]에서 뛰었던 [[조쉬 린드블럼]], [[크리스 플렉센]], [[브룩스 레일리]]가 먼저 다가와 한국어로 인사를 하며 반겨주었다고 한다. * 양현종이 귀국한 후 친하게 지내던 포수 [[호세 트레비노]]가 양현종의 2차 FA 계약 소식을 보고 한국에서 부자냐고 물어봤다고 한다. * 한국인 어머니를 두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 투수 [[데인 더닝]]의 집에 초대되어 식사를 같이 한 적이 있다, 같이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 출전하길 희망한다고 한다. [[데인 더닝]]은 SNS로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며 양현종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데뷔를 축하해 준 바 있다. * 미국에서 싸인볼을 수집해왔다. [[텍사스 레인저스]], [[라운드 락 익스프레스]]의 모든 선수들은 물론, 원정길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 다른 팀 선수단의 싸인도 받았다고 한다. 추가로 [[아드리안 벨트레]], [[스즈키 이치로]], [[이반 로드리게스]]의 싸인까지 받았다고 한다. * 팀이 좌완 투수를 많이 지명하면서 [[김기훈(야구선수)|김기훈]], [[이의리]], [[최지민]], [[윤영철]] 등 후계자 후보가 늘어나고 있다. === 인간관계 === * 양현종은 2008~2009시즌 동안 [[칸베 토시오]] 코치의 가르침을 받았는데, 2년 가까운 시간 동안 원정 경기 호텔에서까지도 경기가 끝난 후 옥상으로 올라가 훈련을 했다는 사실을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 후로도 [[칸베 토시오]] 코치와 인연은 이어져 현재까지도 자주 연락하는 사이로 알려져 있다.[* [[칸베 토시오]] 코치는 아직도 호사방등의 [[KIA 타이거즈]] 커뮤니티의 팬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데 이 시기에 꽃을 피웠던 투수진이 가히 엄청나다. [[유동훈]], [[곽정철]], [[손영민]], [[이범석]] 등등.] 2017년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칸베 전 코치를 초대해 122구 완봉승을 거두며 성장한 자신의 모습을 스승에게 제대로 보여줬다. 2023년에도 여행겸 칸베 토시오 자택에 방문한것으로 보인다. 기아 유니폼과 양현종 본인이 같이 찍은 사진을 선물한걸 본인 인스타에 올렸다. * 2008년 외국인 투수 [[호세 리마]]가 방출되었을 때 매우 아쉬워하며 울기도 하였으며 2010년 5월 23일 [[호세 리마]]가 사망하자 미니 홈페이지에 [[호세 리마]]와 같이 찍었던 사진을 올리며 그를 애도했다. 시간이 꽤나 흐른 2017년도에도 100승을 거두자 고인인 [[호세 리마]] 이야기를 꺼냈다. 정말로 친하게 지냈던 모양. 양현종은 [[호세 리마]]에게서 마운드에서의 운영과 자신감, 야구 외적인 행동가짐에 대해서 배우게 되었고 잘할 때도 있고 못할 때도 있다며 다독여줬다고 회고했다. 게다가 양현종은 2008시즌 부진한 성적으로 인해 팬들에게 정신없이 까이는 등 굉장히 힘든 시기를 보낼 때인지라 더욱 그런 듯하다. * [[호세 리마]]를 각별하게 여겼던 또 다른 사례로 그가 [[KIA 타이거즈|KIA]]에 있었을 때 서로 아버지 아들 할 정도로 친했다고 한다. 양현종이 2010년 6월 2일에 완봉승을 기록했을 때, 인터뷰 중 가장 떠오르는 사람이 누구냐는 질문에 그가 '얼마 전 세상을 떠난 [[호세 리마]]가 생각난다'고 답변했을 정도.[* 양현종은 이 답변을 하면서 눈물을 흘렸다.] [[http://sports.media.daum.net/sports/baseball/newsview?newsId=20150526090113137|2015년 5월 23일 삼성전에서 134구 선발승을 거두면서 [[호세 리마]]를 기리면서 세레모니를 펼치기도 했다.]] * 지금 쓰는 등번호 54번도 원래 입단 동기였던 친구 [[이준수(야구선수)|이준수]]의 번호였는데, 2008시즌이 끝나고 [[이준수(야구선수)|이준수]]가 방출당하자 친구를 위해서 달았다.[* 양현종이 최고의 투수로 성장한 후, 54번은 28, 29, 47번과 함께 좌완 투수를 상징하는 번호가 됐다.] * [[KBO 퓨처스리그|퓨처스리그]] 경기를 TV로 시청하던 도중 고등학교 동기였던 [[롯데 자이언츠]]의 문양식이 등판하자 경기를 중계하던 해설자에게 기뻐하는 마음을 전했다. * 2012시즌 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2차 드래프트]]로 이적해온 [[이두환]]이 [[KIA 타이거즈]]에서 뛰어보지도 못하고 암으로 세상을 떠나자 모자에 [[이두환]]의 이니셜인 DH를 써넣으며 그를 기억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2015년, 평균 자책점 타이틀과 2017년, 생애 첫 [[KBO 골든글러브|골든글러브]] 수상 후 친구 [[이두환]]을 기리는 소감을 남겼다.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이두환]]에게 보낸 [[http://gall.dcinside.com/tigers_new/2726547|쪽지는 덤.]] 그리고 2019년 시즌 개막을 앞두고 [[이두환]]의 생일인 3월 16일에 다시 쪽지를 남겼다. 2021시즌 3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진출을 향해 미국으로 가게 되었을 때도 다시 쪽지를 남겼다. 2023년에 한 [[두산 베어스]] 팬이 본인보다는 친구가 가지고 있는게 의미있을 것 같다면서 오래전 [[이두환]]에게 받았던 손목아대를 양현종에게 넘겨주며 훈훈한 상황이 연출되었고 양현종은 겨울에 잘 전달해주겠다고 답을 남겼다. * [[김기훈(야구선수)|김기훈]]에 대한 애정이 장난 아니다. 군 전역후 데뷔전에서 1사 만루를 KK로 막고 내려온 [[김기훈(야구선수)|김기훈]]을 보며 엄청 자랑스럽고 뿌듯한 표정을 지어보였다. 같은 좌완 영건인 [[이의리]]도 잘 챙겨주고 있지만 [[광주동성고등학교|광주동성고]] 후배에 대한 깊은 애정은 숨길 수 없는 듯 하다. * [[웨스 벤자민]]과 매우 친하다. 미국 시절에 롱릴리프, 대체 선발 등 맡는 보직이 비슷해 콜업과 강등이 자주 겹쳐 함께 있는 시간이 길었다보니 친분이 두터워진 듯 하다. 휴식일에 통역과 함께 셋이서 시간을 보냈을 정도로 가까운 사이이다. 한국에서 재회하게 되면서 여전히 우정을 이어가고 있다. === 모자의 이니셜들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60123|[오!클릭] 양현종 모자에 새긴 특별한 이니셜…뭉클한 사연]] [[파일:H3JBYQFNYYUZBEWEUKHKTVORNA.jpg]] * DH : 2012년에 떠나 보낸 친구 [[이두환]]의 이니셜 'DH'를 모자 앞 부분에 새기고 있다. [[파일:1499498166338.jpg|width=600]] * Doo hwan : 모자 안쪽에도 [[이두환]]의 이름을 새기고 있다. * TRUST CCR : 2010년, 암으로 세상을 떠난 한 여성 팬의 이니셜을 새기고 있다. * DJ 87 : 2010년, 뇌졸중으로 쓰러져 투병 중인 前 [[KIA 타이거즈]] [[김동재]] 코치의 이니셜과 등번호를 새기고 있다. * LIMA TIME : 2010년에 세상을 떠난, 본인이 신인 시절에 거의 아버지처럼 따르며 우상으로 삼았던 [[호세 리마]]를 상징하는 문구를 새기고 있다. === 개인 관련 === * 마운드에서 표정변화가 거의 없이 진중한 이미지를 보여주어 평소 성격도 조용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애교도 많고 장난도 많은 편이다. 10살 넘게 차이나는 후배들과도 장난을 치며 잘 지낸다. * 모교인 [[광주동성고등학교]] 앞 동성분식에 가끔 출몰한다고 한다. * [[차우찬]]만큼이나 정이 많고 착한 [[http://bm.gametree.co.kr/Community/View.aspx?SearchArea=summary&Keyword=%uc57c%uad6c%uce5c%uad6c&BoardType=1&BoardNo=7436917|성격으로 유명하다.]] * 스포하는 걸 '''정말 엄청 싫어한다'''... * 야구를 안 했다면 우주과학자가 되는 게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129443&redirect=true|꿈이었다고 한다.]][* 3분 10초쯤에 나온다.] * [[키움 히어로즈]]의 내야수 [[최주환]]이 그의 초-중-고 1년 선배인데, 프로필상 생일은 [[빠른 생일|겨우 이틀 차이다]]. 그런데 사실 [[최주환]]은 '''[[2월 29일]] 출생'''이다. 하지만 부모님께서 아들의 생일을 4년에 1번씩 챙길 수는 없으니 출생신고를 [[2월 28일]]로 했다고 한다. 사실상 생일 하루 차이로 선후배가 갈린 것이다. * 일상 생활을 할 때에는 뿔테 안경을 쓰고 경기할 때는 무테 안경을 쓴다. [[조성환(1976)|조성환]]의 말을 빌리면, 무테 안경을 착용하면 시야에 방해를 받지 않아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 때 안경이 떨어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 끈으로 머리에 고정시키는데, 뒤통수에서 삐져나온 끈이 마치 꽁지머리같이 보이기도 한다. 색깔도 딱 검은색이라서. * [[파일:Yang_unglass.png]]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프로필 제출용 사진. 안경 착용 이유는 물론 시력이 좋지 않아서였지만, 라식 수술로 시력이 개선된 이후에도 여전히 일상생활이나 경기 중에도 안경을 쓰고 있다. 이유는 [[뽀로로|안경 안 쓰면 전혀 다른 얼굴이 된다고 해서...]] 2017 스프링캠프 인터뷰에서 소원 세 개[* 한국시리즈 우승, 좌완 투수 신기록, 둘째 아이]를 다 이루면 다음 시즌부터 안경을 벗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그리하여 2018시즌 시범경기에서 처음으로 안경을 쓰지 않고 던졌으나, 경기 내용과는 별개로 반응이 좋지 않아서 시도를 접었다. * 그리고 라디오볼에서 언급된 바로는 안경을 착용하고 썬크림을 과도하게 바르는 이유가 "스타성" 때문이라고 한다. 프로야구에서 선수를 상징하는 무언가가 필요한데 자신은 썬크림과 안경이 그 상징성이라고. 그 외에도 프로야구선수로서 팬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스타성에 대해 항상 진지하게 생각하는 선수 중 한 명이다. * 모르는 사람들이 많지만 의외로 오른쪽 어깨에 문신이 있다. * [[육전(요리)|육전]]을 매우 좋아하는 듯 하다. 구단 유튜브에서도 육전을 추천했고 심지어는 [[NC 다이노스]]의 유튜브 채널에 짤막했지만 두 번이나 출연해 광주 육전 부심을 드러내며 육전을 추천했다. === 기타 === * [[로만 콜론]]이 큰 손을 이용해서 공을 한 손으로 다루는 묘기를 해보면서 양현종에게 해보라고 했는데, 전혀 하질 못하자 [[로만 콜론]]이 때리려고 했다. 물론, 양현종은 정말 쫄았다. 참고로, [[로만 콜론]]은 [[KIA 타이거즈|KIA]]에 오기 전에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마이너 리그]]에서 제이슨 카너스를 폭행해서 당시에 뉴스에까지 나올 정도로 큰 폭력 사건을 일으킨 경험이 있다. 양현종이 위축되는 것도 당연하다. * 온라인게임 [[마구마구]]에 나오는 자신의 투구폼이 실제와 다르다는 이유로 개발진에 직접 수정을 요구해 2009년 10월 28일 업데이트 때 반영되었다.[[http://news.nate.com/view/20091102n09586|기사 보기]] * [[파일:양현종슬러브.png]] * 그리고 몇년 후, [[마구마구 2020]]에서도 똑같이 수정을 요구했는데, 이번엔 싱커 구종을 슬러브로 바꿔달라고 요청했다! [youtube(xzf3tmd0zXU)] * [[파일:rcjzBpD.jpg]] * 2010년 [[광주문화방송|광주MBC]]의 캠페인인 "[[무등산]]을 사랑하자"에 출연했다. '''마운드에서 혼신을 다할 수 있었던 것은 제 뒤에 무등산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대사가 인상적. * 2014시즌이 끝난 후 당시의 여자친구였던 지금의 아내와 함께 배구장에 관중으로 온 [[https://youtu.be/uAl7lx5Zn08|모습이 포착되었다.]] * 2015시즌이 끝나고 [[유부남]] 대열에 합류했다. 여자친구와 식만 올리지 않았을 뿐 이미 예비 신부와 신접 살림을 차렸고 9월 15일에 득녀를 했다. 이름은 '양지온'. 그리고 2017년 8월 23일에는 득남을 했다. 아들 이름은 '양시온'이라고 한다. 또 2018년 12월 4일에 득남을 했다. 셋째 이름은 '양태온'. * [[이범호]]에게 꽃을 만들어준 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jzsTyhJ6eo|#]] * 2017년에는 모교인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를 위해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1&aid=0009391393|버스를 기증했다.]] 차종은 [[기아 그랜버드|기아 뉴그랜버드 파크웨이]]. * 20억대 연봉을 받는 입장임에도 옷은 항상 중저가 브랜드만을 고집할 정도로 검소하게 입는다고 한다. 오죽하면 에이전트에게도 이보다 더 비싼 옷은 절대 사지 말라고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76&aid=0003196949|부탁을 할 정도라고.]][* 사실 이것도 와이프가 얘기해서 이 정도일 가능성도 있다. 즉 원래 옷에 전혀 관심이 없다가 결혼하고 어느 정도 신경쓰는 듯.] * [[파일:1576334036762.jpg]][br]2019시즌 후 아내와 함께 [[개그콘서트]]를 직관하러 갔다가 PD에게 정확히 잡혔다. * SBS 드라마 [[라켓소년단]]에 간접 출연했다. 작중 등장인물 중 한 명인 윤해강이 원래 야구부 출신으로 양현종이 우상이라는 설정. 해강의 방에도 양현종 유니폼이 걸려있다. 2021년 유니폼 버전. 후에 양현종 본인이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이 드라마의 감상평을 올리기도 했다.[[https://www.instagram.com/p/CR0pqSFg-wJ/|#]] * [[도구리]]의 매력을 알아본 모양이다. 2023 시즌 어린이날 주간에 [[창원 NC 파크]] 원정 3연전을 갔었는데, 아이들 어린이날 선물로 줄 목적으로 구장 샵에 들러서 [[도구리]] 인형을 포함한 물품들을 사 간 것을 올리기도 했다.[[https://m.dcinside.com/board/ncdinos/6388987|#]][* 해당 경기는 3연전 모두 우천취소되었다.] * 2023년 현재 [[대구고등학교 야구부]]에 동명이인의 선수가 존재한다. 포지션은 내야수. 2023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MVP로 선정된 바 있고, [[KBO 리그/2025년/신인드래프트|2025 신인 드래프트]]에 지명될 가능성이 있다. === 기행 === [[파일:/image/zoominusa/2009/06/02/20090531212723_thumbnail.jpg]] '''[[윤석민(투수)|윤석민]]을 노리는 날카로운 눈빛''' [[파일:attachment/양현종/yhj_06.jpg|width=600]] '''[[안치홍]]은 내꺼 우유빛깔 양현종'''[* 해당 사진에는 [[임태훈(야구선수)|임태훈]]이 작성한 글이 있는데, [[임태훈(야구선수)|임태훈]]과는 벨트를 빌려주는 등 상당히 막역한 사이다.] [[파일:attachment/양현종/yhj_08.gif]] '''[[아킬리노 로페즈|로페즈]]를 괴롭히는 양현종'''[* 참고로 당시 로페즈의 나이는 [[이대진]] 다음으로 나이가 많았다] [[파일:external/marumaru.in/8413cb170ae24982f706767707ce876b001314.gif]] '''두피 관리인 양현종''' [[파일:attachment/양현종/yhj_09.gif]] '''[[최희섭]] 혼삿길 막는 양현종'''(최희섭 옆에 있는 선수가 [[안치홍]]이다) [[파일:attachment/양현종/yhj_07.jpg]] '''[[이종범]] 앞에서 대놓고 [[이종범]]의 아들 [[이정후]]에게까지..'''[* 과거 리그베다위키 시절 이 항목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이 부분이 '이종범의 아들 정후군에게까지'라고 서술되어 있었다. 대략 '어린애한테 무슨짓이냐'는 느낌의 뉘앙스였는데, 그랬던 이정후가 저 양현종과 함께 태극마크를 달고 뛰는 국가대표 외야수로 성장한 것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격세지감.] ~~너가 바람의 손자냐??~~ [[파일:/image/311/2010/11/21/1290332811662.jpg]]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야구|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참가한 [[강정호]]에게. [[https://m.dcinside.com/board/tigers_new/5499404?recommend=1&page=2|약사님에게도]] [[https://youtu.be/xr48S7eEh5M|해맑은 현종이]] === 한때 열성 [[S♡NE|소덕]]에 탱빠 === 2009시즌 [[두산 베어스]]와의 개막전에서 공연하는 [[소녀시대]]의 [[태연]]을 보고 침을 질질 흘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찍혔고, 그 이후 기자를 통해 싸인을 받아달라고 요청했다. [[파일:attachment/양현종/yhj_04.jpg]] [[태연]]은 양현종에게 사인 외에 '''10승 달성~! 좋은 소식 기다릴게요^^ 파이팅!!'''이라는 문구를 써 주었는데, 이 사건이 기사로 나가자 [[이강철]] 투수코치에게 엄청나게 털렸다는 뒷이야기가 있다. 팀 선배들도 엄청나게 놀려댔다고. '''그리고 진짜로 10승을 달성했다.''' 무려 12승을 기록, 팀도 우승시켰다. 그해 다승왕은 아쉽게 놓쳤는데 다승왕이 된 사람은 동 시즌 14승 투수인 [[아킬리노 로페즈]]였다. 게다가 [[KBS N SPORTS]] 야구 프로그램인 야생야사에서는 '자신의 10승 달성과 팀 우승은 [[태연]] 덕분'이라고 [[http://news.nate.com/view/20091103n07397?tab=i21|발언하기까지 했다.]] 제대로 [[S♡NE|소덕]]에 [[태연|탱]][[빠]] 인증한 셈. 11월 9일에 열린 우승 축하행사에 [[소녀시대]]가 초대가수로 왔으나 막상 '''양현종이 감기 몸살을 앓는 바람에''' 병원에서 뒤늦게 와 선수들이 앉은 앞자리도 아닌 먼 발치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후 출연했던 [[출발 드림팀]]에서 "좋아하는 연예인이 누구에요?" 라는 질문이 나오자 태연을 언급한 후 [[태연]]에게 '''"언제 한번 밥이나 먹어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파일:attachment/양현종/yhj_05.jpg]] [[디시인사이드]] [[태연 갤러리]]와 [[국내야구 갤러리]]에 태연이 출연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열성적으로 시청하는 모습이 올라와 진성 탱빠 인증에 성공, 뭇 갤러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였다. 이런 건들로 인해 그에게 붙은 별명이 '''양[[S♡NE|소퀴.]]''' 이후 다른 인터뷰에서는 [[최희]]로 이상형이 바뀌었다고 하는데...? 그러나 본인은 가정을 꾸리고 가장이 된 이후로는 상기한 일들 모두를 스스로 상당한 [[흑역사]] 취급한다. 2017년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을 받았는데, 그게 언제적 일이냐면서 결혼도 했고 애도 있으니 이제는 그만 언급해 달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nwqkHEZdVUc|영상]] 해당 발언은 1분 42초부터. == 별명 == 한창 방화를 해대던 시절에는 숨만 쉬어도 별명이 양산되는 수준이였다. 에이스로 거듭난 지금은 대투수라는 가장 대중적인 별명과 야갤의 붉은청룡, 갸갤에서 부르는 붕개나 안쪼, 양쪼가 가끔 나오는 것 빼고는 거의 사장되었다. 이 당시 양산된 별명으로는 아래와 같다. * 대투수: 가장 일반적인 별명이다. 다만 양현종이 부진할 때는 타 팬들이 그들([[KIA 타이거즈|KIA]] 팬들)만의 대투수[* 양현종은 미국 진출 전까지는 오로지 [[KIA 타이거즈]]에서만 활동한 원클럽맨이었기 때문에 '''부진 여부와는 관계 없이''' 이런 관점에서 보면 [[KIA 타이거즈|KIA]]만의 대투수라는 말 자체는 맞는 말이다.] 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때는 반쯤 농담성의 별명이었으나, 23년 7월 기준으로 한국 프로야구 역대 다승 2위, 탈삼진 2위, 이닝 3위 등의 누적 기록을 쌓으며 실질적인 대투수의 반열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0년이 넘는 프로야구 역사에서 누적 기록이 역대 2-3위에 들어간다면 객관적인 지표로는 대투수라고 부를 수 있다. 허나 국내와 달리 국제 대회 등 해외에서는 잘 통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기에 대투수라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 의견도 꽤 있다. * 운현종: 2010 시즌의 폭발적인 타선 지원과 기록되지 않은 각종 행운으로 16승을 달성하며 붙은 별명이다. * 햄종이: 햄스터+현종이. 움짤로도 만들어졌다. 양현종 햄스터 드립이라 불린다. 이 때문인지 여러 야구만화에서는 햄스터로 묘사된다. * 막내딸: 아무리 방화를 해도 지역 프랜차이즈 출신에 팀 역사상 몇 안되는 좌완 선발형 파이어볼러였기 때문에 코칭스태프, 팬들 모두 애지중지해서 생긴 별명. 보통 모지리 막내딸로 불린다. * 양소퀴: 소덕이라서. * 퀄뭐: [[조범현]] 감독이 질책하자 그래도 [[퀄리티 스타트]]했다며 개드립 시전. 이에 열받은 조 감독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3&aid=0002024844|'퀄뭐?'라고 답해]] 그대로 양현종의 별명이 되고 말았다. * 안경쪼다: 이걸 줄여 안쪼라고 한다. * 양쪼: 안쪼의 파생형. * 붕괴: 2011년 4월 3일 광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양현종이 볼넷, 쓰리런 홈런을 기록하자 다음 중계에 '''양현종 붕괴'''라고 떠서 생긴 별명이다. * '''붕개''': 붕괴 + [[개새끼|X새끼]]. 사람으로 거듭난 2013 이후로도 붕괴하는 기미가 보이면 갸갤은 '''붕개'''로 뒤덮힌다. 이후 [[KIA 타이거즈]]의 토종 프랜차이즈 투수 라인인 [[윤석민(투수)|윤석민]], 양현종, [[한승혁]]은 각각 석개, 붕개, 슝개의 개자 돌림 별명이 붙게 되었다. 익숙해진 나머지 잘할 때도 붕개로 불린다. 사실상 인터네장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별명. * 내이투: 2011년 7월 31일 광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 4이닝 4실점하자 스포츠조선에서 '''내가 이런 투수란 말인가'''라는 타이틀의 기사가 뜨면서 생긴 별명이다. * 어둠의 피쳐: [[SK 와이번스]]전 6이닝 2실점하자 어려운 팀을 구하는 어둠의 피쳐라는 기사가 뜨면서 생긴 별명이다. * 지온이: 양현종의 딸(첫째) 이름이다. 파생형으로는 '큰지온이'가 있다. * 양서운: 2021년 12월 14일 FA자격으로 [[KIA 타이거즈]]로 복귀하기 위해 구단과 협상하다가 첫번째 협상에서 결렬되고 양현종 측이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44/0000780863|'서운하다']]라고 언플하여 생긴 별명. 이후에도 열흘이 더 지난 24일이 돼서야 4년 총액 103억에 합의하여 도장을 찍어 복귀했다. 이런 답답한 행보에 '붕개'의 뒤를 잇는 새로운 부정적 별명이 생겼다. * 그 외에 양모지리, 양시구, 양삼밀, 볼넷쓰리런[* 하지만 모 팀에서 이를 뛰어넘은 '''[[LG 트윈스/2011년/6월/17일|볼넷 그랜드슬램]]'''이 터졌다.], 양볼넷, 붕개나이트, 양민폐, 양멸망, 양현종말, [[자외선 차단제|선크림]]귀신, 가부키 배우, 임동귀신, 양폭탄, 미백의 안경남[* 2019 프리미어 12 도중 일본에서 붙여준 별명.[[https://m.sports.naver.com/news.nhn?oid=477&aid=0000217603|#]]] 등. [[KIA 타이거즈 갤러리]]에서는 2013년 시범경기 직후부터 한 야갤러가 "양현종 대투수님 올해는 정말로 부활하실거 같지 않냐?" 식의 꾸준글을 도배하며 '''대투수님'''이란 별명을 밀었는데, 이후 양현종이 정말로 리그 최고의 토종 투수가 되면서 어지간한 [[KIA 타이거즈|KIA]] 팬 커뮤니티에서는 주로 대투수, 머투수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2017시즌 대활약과 함께 해설위원, 선수, 팬들의 대투수 언급이 잦아졌다. 못하면 비틀어서 '소투수'라 부르기도 한다(...) 사실 소투수는 약과고 더 비틀면 "대'''주는'''투수"라고 조롱당할때도 있다. 2021년 초반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호투할 시기에는 타팀 팬들도 긍정적인 의미에서 대투수라고 불러줬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 간 시점에서 [[KIA 타이거즈]] 팬 뿐만이 아닌 전국민의 응원을 받게 되었으니. 야구 관련 갤러리 계열 커뮤니티에서는 '''붉은청룡'''이라는 별명이 쓰인다. [[국내야구 갤러리]]에서 [[기린(던전 앤 파이터)|한 어그로]]가 관심을 끌 목적으로 유명 야구 선수들에게 오글거리는 억지 별명을 밀며 개념글을 주작했는데[* 사신 [[김광현]], 대부 [[최형우]], 마이스터 [[이용규]] 등등.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4&no=12942830&page=1&exception_mode=recommend|#]]] 그 중 거의 유일하게 흥한 별명. 당연하게도 청룡은 이름부터가 이미 푸른색인데 '''붉은''' 청룡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작명을 당당하게 밀어서 그 이상함에 오히려 유명세를 탔다.[* 공교롭게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진출 도전 후 입단한 팀인 [[텍사스 레인저스]]의 팀 상징색이 파란색과 빨간색이다.] 흔히 붉은청룡갑, 줄여서 청룡갑, 붉청갑 등으로 불리며 이젠 [[국내야구 갤러리]]에서 투수 떡밥이 돌 때마다 붉은청룡이 안 나오면 야갤러들이 댓글로 붉은청룡갑은 어딨냐며 아우성치는 수준이 되었다. 하도 인기가 좋아서 타자 관련 주작을 할 때도 꼭 사진이 들어가는 야갤스타. 2019년에는 아예 [[강백호(야구선수)|검은백호]], [[김현수(1988)|하얀현무]], [[김상수(타자)|푸른주작]] 병맛 사신도를 만들었다.[* [[김상수(타자)|김상수]]가 왜 주작이냐면 [[우디(가수)|동생]]이 음원 사재기로 차트를 주작했다는 의혹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윤성환]]에게 별명이 넘어갔다. 게다가 김상수는 상징색이 검정색인 kt로 이적해서 더 이상 푸른 주작이라는 드립을 칠 수가 없다.] [[야갤]]이나 해야갤 등 디시인사이드에서만 많이 쓰이고 디씨 밖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별명이었으나 [[비디오머그]]에서 [[https://youtu.be/6iuV0eNgw-s|이 별명을 인용하면서]] 대중들에게도 알려졌다. 이후 야갤의 야, 코를 붙이는 문화에 힘입어 야은코룡이라는 파생형도 간혹 쓰이는 편. 이에 몇몇 [[키움 히어로즈]] 팬들은 이 별명을 응용하여 [[양현(야구선수)|양현]]에게 붉은청, 대투 등의 별명을 붙여주었다. [* 반대로 [[양현(야구선수)|양현]]이 잘 하고 양현종이 부진했던 2020년 개막전에 한해선 대투수종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양지율|양기현]]은 대기투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양지율]]로 개명했다. 한 팬이 양현종 마킹 유니폼을 주문했는데 받아보니 양종현으로 잘못 마킹된 일이 있었다. 그리고 문제의 유니폼 사진을 올리자 대수투라는 드립이 쏟아져 나왔다. 타팀 팬들은 ‘대투수’라는 별명에는 그다지 공감하지 못한다. 과거 ‘국민타자’, ‘조선의 4번 타자’ 등 그 선수의 위대함을 드러내는 별명은 국제 대회에서 좋은 활약을 붙인 선수에게 가능했다. 단순히 한 팀의 선수가 아닌, 한국 야구를 대표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양현종은 [[2023 WBC]] 0이닝 3실점 등 최근 들어서는 국제 대회에서 영 힘을 못 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때문에 대투수라는 별명은 [[KIA 타이거즈 갤러리]] 등 양현종의 팬이 많은 곳에서 가끔 쓰이는 정도이며 타 갤이나 해야갤, 퓨마갤 등에서 쓰일 때는 보통 ‘그들만의 대투수’라는 식으로 조롱의 뉘앙스가 섞여있다. 물론 KIA팬들도 부진할 때는 이런 뉘앙스를 섞는다. 예를 들어 좀 좋지 못한 평균 자책점 or 실점을 기록할 땐 ‘(5점)대 투수’라는 식으로. 가끔씩 ‘대(주는)투수’로 불리기도 하나, 지나치게 모욕적이라 디시 분탕들이나 종종 쓴다. 보통 KIA 타이거즈 갤러리 등 인터넷상의 KIA 팬들이 양현종을 친근하게 부를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별명은 붕개이며, 비하 발언과 욕설이 난무하는 디씨 특성상 타 팀 갤러리에서는 안쪼라는 별명이 주로 쓰인다. 붉은청룡, 붉청갑은 인터넷상에서 중립적으로 부를 때 자주 쓰이며, 앞서 언급한 별명들이 방송에 쓰기엔 좀 진지하지 못한 뉘앙스인지라 방송 등 오피셜한 자리에서는 [[KIA 타이거즈|KIA]]의 대투수 같은 별명이 가장 자주 보인다. 양현종이 MLB를 가기 직전 경기에서 [[엠스플]]이 ‘대투수의 마지막 경기’라는 자막을 띄운 것이 그 예시.[* 정작 그 경기에서 대량 실점하며 웃음거리가 됐다.] 2020시즌에는 다른 선발 투수들이 3점대 ERA를 찍는 와중에도 아직 ERA가 4점대였을 때가 있어 5선발이라는 드립도 생겨났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5&aid=0003006695|본인도 이를 알고 있다]]. 사실 시즌 초만 해도 단순 농담으로 쓰는 말이었는데[* [[양현종/2019년|작년 시즌]]에 8점대 ERA를 기록했다가 점차 각성하여 평균자책점 1위를 기록한 적이 있다. 초반에 부진해도 어차피 후반에 살아날 것을 알고 있으니까 팬들도 5선발을 농담으로만 썼다.] 도저히 반등할 기미를 보이지 못하면서 팬들이 제발 좀 쉬라고 말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부진이 이어지자 [[KIA 타이거즈 갤러리]]에서는 아예 '대만 국적의 괴투수 야옹 후옌 주옹', '[[베인(리그 오브 레전드)|빨강 안경]]', '그 안경'으로 부른다. 대투수라는 별명에서 파생된 중투수, 소투수 등의 별명도 붙었다... 다행히 시즌 중후반 반등에 성공하며 이 별명은 사용 비율이 줄었다. 공교롭게도 어느 팬이 '문어지지마요 양현종'이란 플랜카드를 들고 오자마자 반등에 성공하면서 '문어좌'라는 별명도 추가. 특이하게도 일본 [[5ch]] 스포츠 스레에서는 '우호홍구'(ウホホング) 라는 별명이 있다. 2016시즌 FA 자격을 얻고 해외 진출을 추진할 때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입단이 유력해지자 "하필이면 요코하마라니 우헝헝"이라는 국내 반응이 일본으로 그대로 퍼졌기 때문. 훗날 요코하마 출신의 투수 [[조 윌랜드]]가 KIA로 입단하게 되자 [[http://gall.dcinside.com/tigers_new/4378842|"대신에 우호홍구 줘"]] 라는 반응도 나왔다. 참고로 선수들 사이에서는 '양양'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성이 양씨이기도 하고 중국의 前 쇼트트랙 선수 양양을 닮아서 그렇다.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첫 선발 등판 이후 현지 팬들로부터 ‘[[양갱]]’이라는 별명을 선사받았다. 성씨인 양(Yang)과 갱스터(Gang)를 결합한 별명으로, 영어로 성씨가 같은 [[앤드루 양]]의 지지층 이름 역시 Yang Gang이어서 이와 연관된 것 같다. == [[윤석민(투수)|윤석민]]과 원투펀치? == [[KIA 타이거즈|KIA]] 팬들이 가장 바라는 '''우완 에이스 [[윤석민(투수)|윤석민]]-좌완 에이스 양현종의 선발 원투펀치가 한 번도 이뤄진 적이 없다'''. 양현종의 포텐이 터진 [[2009년]]부터 살펴보면 양현종이 12승 투수를 하며 잘 나갈 때 [[윤석민(투수)|윤석민]]은 정작 [[2009년]]에 초반 부진했다가 후반부에 호투를 이어나갔다. 실상 이 시즌은 [[릭 구톰슨|구톰슨]]-[[아킬리노 로페즈|로페즈]]의 용병선발 듀오가 더 대활약해서 [[KIA 타이거즈|KIA]]를 우승까지 이끌고 갔으니. [[2010년]]에는 양현종이 나올 때마다 팀의 연패를 끊고 승리를 챙기면서 다승그룹에 이름을 올리는(!) 무려 16승을 거두었다. [[김광현]]이 17승을 기록해 다승왕은 놓쳤지만 팀의 에이스 역할을 수행했던 반면에 [[윤석민(투수)|윤석민]]은 [[SK 와이번스|SK]]전에서 승리가 날아가며 락커룸에서 [[자해]] 부상을 입어 2군행, 이후 복귀 후에는 불펜 투수로 뛰며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연속 사구 사건을 일으키며 바람잘날 없는 시즌을 보냈다. 결국 그 해 [[아시안 게임]]에서 국가대표에 뽑힌 양현종은 금메달로 병역면제를 받고 다음 시즌 기분 좋게 시작하나 했는데... [[2011년]], 둘의 처지는 정반대가 되는데 [[윤석민(투수)|윤석민]]이 무려 17승을 따냈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며 정규시즌 [[MVP]]까지 받는 등 완벽하게 부활하여 리그를 대표하는 오른손 선발투수로 이름을 날린 반면, 전해 다승 그룹에 있던 양현종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시즌을 대차게 말아먹었다. [[아시안 게임]] 이후 몸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투구 밸런스가 [[실종]]된 게 가장 큰 이유였다고 한다. [[2012년]]에는 [[윤석민(투수)|윤석민]]은 전년도의 특급 투수같은 면모는 보여주지 못했고 불운도 겹치긴 했으나 일반적인 A급 투수의 모습은 보여주었고, 양현종은 계속 부진한 모습을 이어갔다. [[2013년]]에는 양현종은 겨우내 단내나는 훈련으로 좌완 에이스의 면모를 회복하는 듯했으나 결국 후반기를 말아먹으면서 추락. 양현종은 부상 후 [[선동열]]의 무리한 복귀 앞당기기로 말아먹었다고 평가 된다. 그리고 [[윤석민(투수)|윤석민]]은 타이중 참사에 어깨 문제 등으로 최악의 한 해를 보내고 말았다. 특히 후반기에 [[윤석민(투수)|윤석민]]은 사실상 강제로 마무리로 전환하지만 마지막 경기까지 별 재미를 못 보았다. 결국 둘 다 사이좋게 안 좋은 한 해를 보내버려 반비례 징크스는 깨진 셈. 무엇보다 [[2014년]]부터 윤석민은 [[미국]]으로 건너가서 이 반비례 관계는 따지기도 애매해졌다. [[2014년]] [[윤석민(투수)|윤석민]]은 [[미국]]의 AAA에서 10경기 연속 피홈런 기록을 세우는 동안, 양현종은 팀의 토종 에이스로서 위엄을 보였다. [[2015년]] [[윤석민(투수)|윤석민]]이 [[KIA 타이거즈|KIA]]로 리턴한 후, 마무리를 하게 되며 두 투수가 함께 선발로 터지는 모습은 보기 힘들 전망이다. 사실상 둘 다 잘 해주는 시즌이라고 할 수 있다. 양현종, [[윤석민(투수)|윤석민]] 둘 이 각각 WAR 1, 2위다. FIP는 중간에 합류해서 표본이 적은 에반을 제외하고, [[윤석민(투수)|윤석민]]이 팀내에서 1위고 양현종은 선발 에이스로서 잘 해주고 있다. [[2016년]]에는 양현종은 200이닝을 돌파했으나 시즌 막판에야 10승 투수가 되는 등 불운의 에이스가 되었는데 마무리 알바를 마치고 선발 투수로 복귀한 [[윤석민(투수)|윤석민]]은 시즌 초부터 어깨 부상으로 드러누우며 얼굴도 거의 볼 수 없다가 2017년에는 수술로 사실상 전반기에는 출장을 하지 못하게 됐다. [[2017년]]에는 양현종은 그야말로 커리어 하이, 20승이라는 어마무시한 승수를 찍고 완봉승을 비롯해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큰 활약을 하고 '''리그 [[MVP]]'''까지 된 반면 [[윤석민(투수)|윤석민]]은 어깨 수술을 받은 뒤 재활하며 복귀를 기다리고 있었으나 결국 2017년 복귀에 사실상 실패했다는 기사가 나오며 먹튀의 정점을 찍었다. [[2018년]]에는 드디어 [[윤석민(투수)|윤석민]]이 복귀했으나 선발로 몇 경기 출장하여 거하게 털린 이유로는 계투 및 마무리로 전환하며 이번 해도 두 투수의 선발 공동 폭발은 보기 힘들게 되었다. [[2019년]]에는 [[윤석민(투수)|윤석민]]이 선발 투수로 복귀한다는 발표가 났으나 스프링캠프 기간 중에 어깨 통증이 재발하였고 결국 시즌이 끝날 때까지 나오지 못했다. 한편 양현종은 평균 자책점 2.29를 기록하여 리그 1위를 달성하였고 WAR 역시 투타 종합 리그 1위의 위엄을 달성하며 대활약을 보였다. 결국 [[윤석민(투수)|윤석민]]이 2019년 시즌 후 은퇴를 선언하면서 두 투수의 원투펀치는 이제는 이루어질 수 없는 꿈으로만 남게 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양현종, version=2690)] [[분류:양현종]][[분류:야구선수/기타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