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초한쟁패기/인물]][[분류:기원전 168년 사망]] ||||||||||<#c0c0c0><:> '''[[고조공신후자연표]](高祖功臣侯者年表第六) 후제(侯第)''' || || '''102위 두연장후 [[왕예(전한)|왕예]]''' || {{{+1 ←}}} ||<#000000> '''{{{#white 103위 적천장후 양희}}}''' || {{{+1 →}}} || '''102위 104위 열양장후 [[여승(전한)|여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0%, #A11 30%, #A11 80%, #A11)" {{{#ece5b6 '''{{{+1 [[적천장후|{{{#ece5b6 적천장후(赤泉莊侯)}}}]][br]양희[br]楊喜}}}'''}}}}}} || ||<-2> '''[[시호|{{{#ece5b6 시호}}}]]''' ||장후^^(莊侯)^^[* 이 시호는 항우의 [[양무(전한)|시체를 얻은]] [[여마동|다]][[왕예(전한)|섯]] [[양희(전한)|명]][[여승(전한)|이]] 공통으로 받았다.] || ||<-2> '''[[작위|{{{#ece5b6 작위}}}]]''' ||적천후^^(赤泉侯)^^[* 사마정의 《사기색은》에서는 남양군 단수현이 아닌가 추측했다.] || ||<-2> '''[[최종직위|{{{#ece5b6 최종직위}}}]]''' ||기사마^^(騎司馬)^^[* 관영 휘하에서 항우를 추적할 당시의 관직] || ||<-2> '''[[성씨|{{{#ece5b6 성}}}]]''' ||양^^(楊)^^ || ||<-2> '''[[이름|{{{#ece5b6 이름}}}]]''' ||희^^(喜)^^ 혹은 ^^(熹)^^ || ||<-2> '''[[자|{{{#ece5b6 자}}}]]''' ||유라^^(幼羅)^^[* 구양수 外, 《신당서》 권71하 제상세계1 下] || ||<-2> '''{{{#ece5b6 생몰 기간}}}''' ||? ~ 기원전 16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초한쟁패기 당시 한나라 휘하의 무장. 항우를 마지막까지 추적하여, 항우 사후 그의 시체를 [[양무(전한)|다섯]] [[여마동|등분한]] [[왕예(전한)|오]][[양희(전한)|인]][[여승(전한)|방]] 중 하나. == 생애 == 고제 2년(기원전 205년), 두(杜)[* 위남군(후의 경조윤 관할지.)의 속현.]에서 몸을 일으켜 낭중기(郞中騎)로 고제를 따랐고, 이후 한신에게 속했다. 기원전 202년, 한신의 군대를 이끌고 초나라를 공격한 관영에게 속해, 기장(騎將)으로서 해하 전투에서 진 서초패왕 항우를 추격했다. 그러나 동성(東城)에서 항우와 조우했을 때, '''[[패왕색|항우가 꾸짖자 사람과 말이 모두 놀라서 몇 리를 도망쳤다]]'''. 이후 다시 한나라 군대가 항우를 추적하여 오강에서 항우와 싸우는데, 항우가 옛 자기 사람인 기사마(騎司馬) 여마동을 만나자 여마동에게 덕을 베풀겠다고 자결했다. 그러자 왕예가 항우의 머리를 취하고, 이후 한나라 군대가 서로 죽이기까지 하며 항우의 시체를 다투니, 여마동·낭중 여승·양무와 함께 항우의 시체 일부를 얻었다. 다섯 명이서 그 시체를 맞추어보니 맞아서 함께 제후가 되었다. 기원전 200년 정월 기유일에 적천후(赤泉侯) 1,900호에 봉해졌다. 여후 원년(기원전 187년)에 죄를 지어 작위를 빼앗겼으나, 이듬해에 다시 봉해졌다. == 사후 == 문제 12년(기원전 168년)에 죽어 시호를 장(莊)이라 했고, 아들 양은이 뒤를 이었다. 《후한서》 양진전에 따르면, 전한의 승상 양창의 고조며 양진의 8세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