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캔터베리 대주교)] ||<-5> [[캔터베리 대주교|[[파일:200px-Angl-Canterbury-Arms.png|width=45]]'''{{{#fff 성공회의 캔터베리 대주교}}}''']] || ||<-5> [[파일:캔터베리대교구문장.svg.png|width=60]] || || 제12대 [[브레고위네|성 브레고위네]] || → || '''{{{#FFF 제13대 얜베르흐트}}}''' || → || 제14대 [[애델하르드]]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0%, #f9d537 20%, #f9d537 80%, #e6bd0e)" '''{{{#670000 '''제13대 캔터베리 대주교'''[br]'''{{{+1 얜베르흐트}}}'''[br]'''Jænberht'''}}}'''[* [[고대 영어]]에서는 알파벳 J가 쓰이지 않았으므로 Iænberht로 표기할 수 있다.]}}}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옌베르흐트동전.jpg|width=100%]][br]{{{-2 {{{#000,#fff 얜베르흐트의 이름이 새겨진 동전}}}}}}}}} || ||<-2><|2> '''{{{#670000 출생}}}''' ||<-4>미상 || ||<-4>[[파일:켄트국기.png|width=25]] [[켄트 왕국]] || ||<-2><|2> '''{{{#670000 사망}}}''' ||<-4>[[792년]] [[8월 12일]] || ||<-4>[[파일:켄트국기.png|width=25]] [[켄트 왕국]] [[캔터베리]] || ||<|2><-2> '''{{{#670000 재임 기간}}}''' ||<-4>[[캔터베리 대주교|{{{#000,#fff 제13대 캔터베리 대주교}}}]] || ||<-4>[[765년]] ~ [[792년]] [[8월 12일]] || ||<-2> '''{{{#670000 축일}}}''' ||<-4>[[8월 12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13대 [[캔터베리 대주교]]. 얜베르흐트는 [[켄트 왕국]]의 유복한 집안에서 자랐는데, 그의 친척은 당시 국왕 에지베르흐트 2세의 행정관이었다. 이로 인해 옌베르흐트는 에지베르흐트 2세와 좋은 관계를 다질 수가 있었다. 그는 캔터베리의 성 어거스틴 수도원에서 수도사제로 있다가 수도원장 직위까지 올라갔다. 765년 초에 [[캔터베리교구]]의 교구장으로 임명된 얜베르흐트는 같은 해 2월 2일에 대주교에 서임되었다. 서임식은 [[머시아]] 왕국의 국왕 오파(Offa)의 궁정에서 이루어졌다. 776년 켄트 왕국이 당시 자국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머시아 왕국에 대항해 결국 자유를 되찾았다. 이에 캔터베리교구에 대한 영향력마저 상실한 오파는 이에 맞서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리치필드교구]]를 대주교구로 승격시킴으로서 캔터베리교구가 지닌 권력을 상쇄하고자 했다. 오파의 요청에 당시 교황 [[하드리아노 1세]]가 787년 리치필드교구를 대주교구로 승격시키자, 얜베르흐트는 새로운 라이벌인 리치필드교구의 대주교 히예베르흐트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각주] [[분류:캔터베리 대주교]][[분류:792년 사망]][[분류:가톨릭 수도사제]][[분류:가톨릭 캔터베리 대교구장]][[분류:가톨릭 성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