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語]][[幹]] == '''stem''' 굴절하는 단어에서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이르는 말. 굴절하는 단어는 보통 한 단어의 개념적 의미를 갖는 어간과 문법적 기능을 표시하는 어미로 구성된다. 어미는 문법적 기능에 따라 변화하지만 어간은 한 단어의 개념적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로 변화하지 않고 고정된 요소로 나타난다. 한 단어의 어형변화표(paradigm)에서 굴절어미가 제외되고 남은 고정된 요소가 어간이다. 어미와 마찬가지로 곡용어간과 활용어간으로 이루어진다. === 곡용어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언)] 한국어 문법에서는 [[체언]]의 문법적 기능을 표시하는 요소를 어미가 아닌 [[조사(품사)|조사]], 즉 단어로 보기 때문에 곡용어간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체계를 갖는 문법에서는 보통 '체언'으로 부르며, '어간'이란 활용어간을 의미한다. === 활용어간 === 보통 [[어근]]에 [[접미사]], [[접두사]], [[접요사]]가 붙어 형성되는 것들을 의미한다. ==== 한국어 ==== 모든 단어의 어간은 형태소의 개수 및 [[어근]]·[[접사]]에 따라서 [[단일어]](어근만), 복합어인 [[합성어]](어근+어근)와 [[파생어]](어근+파생접사)로 이루어져 있다. 어간 뒤의 '-다'는 [[어미]]이다. *[[단일어]](어근=어간) *먹다: 먹- *웃다: 웃- *자다: 자- *[[합성어]](어근+어근=어간) *돌아가시다: 돌아가시- *못하다(능력 부족): 못하- *앞서다: 앞서- *지나가다: 지나가- *지나치다: 지나치- *[[파생어]](어근+파생접사=어간) *덜그럭덜그럭하다: 덜그럭덜그럭하- *못하다(부정 표현): 못하- *앙증맞다: 앙증맞- *어떠하다(어떻다): 어떠하-(어떻-) *어찌하다(어쩌다): 어찌하-(어쩌-) *웃기다: 웃기- *자랑스럽다: 자랑스럽- *잠수하다: 잠수하- *태우다: 태우- ===== 어간이 바뀌는 [[불규칙 활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어/불규칙 활용)] == [[於]][[間]] == 북한 [[문화어]]로, 시간이나 공간의 일정한 사이. == [[魚]][[肝]] == 물고기의 간. == [[御]][[間]] == 절의 법당이나 큰방의 한복판. [[분류:동음이의어]][[분류:문법]][[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