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어강주}}}'''[br]'''魚康柱'''}}}}}}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어강주.jpg|width=100%]]}}} || || '''본관''' ||[[어(성씨)|함종 어씨]][* 사직공파(司直公派)-웅천(熊川) 문중 28세 윤(允) 항렬. 족보명은 어윤주(魚允柱).] || ||<|2> '''출생''' ||[[1907년]][* 함종어씨세보 하권 597쪽에는 1900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8월 9일]] || ||[[경상남도]] [[창원시|창원군]] 중면 [[경화동|경화리]][br](현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 || ||<|2> '''사망''' ||[[1943년]] [[5월 13일]][* 함종어씨세보 하권 597쪽에는 4월 30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 ||[[경상남도]] [[창원시|창원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788호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5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07년 8월 9일 경상남도 창원시 중면 경화리(현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에서 아버지 어찬우(魚酇愚, 1878 ~ 1926. 8. 14)와 어머니 [[김녕 김씨]](1873 ~ 1912. 9. 30) 김석주(金碩柱)의 딸 사이의 3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일찍이 [[일본]] [[가나가와현]]으로 건너갔는데, 1933년 9월 중순 [[반제국주의]] 전쟁대책위원회 [[가나가와]]지구 구성대책위원회의 책임자가 되어 대책위원회 조직부원 함기철(咸璣徹)과 함께 그해 [[일본군]]에 입영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반군국주의]]·[[반전주의]]의 선전 및 선동을 계획했다. 그래서 그해 11월 초부터 함기철과 함께 [[가와사키시]]와 [[요코하마시]] [[츠루미구(요코하마)|츠루미구]] 관내 각 정(町)의 일본군 입영 예정인 병사들에 대해 현지조사를 한 뒤, 반전주의 운동에 관한 격문의 원고를 작성·인쇄하여 같은 달 21일부터 병사들 앞으로 보냈다. 비슷한 방식으로 반전주의 운동에 관한 격문을 요코하마시 츠루미구 석견교통 우편함에 5통 넣은 것을 비롯해 가와사키시 가와사키우편국 구내 우편함 등지에 총 100여통을 넣었다가 1933년 12월 6일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 뒤 그는 1934년 6월 8일 요코하마형무소에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구류되었으며, 미결수로 옥고를 치르다가 1935년 1월 30일 [[보석(법)|보석]]으로 석방되었다. 석방된 후에는 조선으로 귀국하여 은거하다가 1943년 5월 13일 창원군에서 별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1995년 어강주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그리고 2008년 4월 28일 당초 [[창원시]] [[진해구]] [[자은동]] 하구마을 선영에 안장되어 있던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이장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함종 어씨]][[분류:진해구 출신 인물]][[분류:1907년 출생]][[분류:1943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