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천사족]][[분류:유희왕 GX/등장인물]] ||<-3>
'''어니스트 베리에이션''' || ||<|2> '''어니스트''' || {{{-2 [[다크화|{{{#111 다크화}}}]]}}}[br]→ || [[다크 어니스트]] || || {{{-3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111 히어로화}}}]]}}}[br]→ ||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엘리멘틀 히어로[br]어니스티 네오스]]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원작]] == [[파일:Honest-JP-Anime-GX.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어니스트, 일어판명칭=オネスト, 영어판명칭=Honest, 속성=빛, 레벨=4, 공격력=1100, 수비력=1900, 종족=천사족, 효과1=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할 경우\, 이 카드를 패로 되돌릴 수 있다. 레벨 7 이상의 전사족 몬스터가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할 경우\,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그 턴 대상 몬스터 1장의 공격력에 전투하는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만큼의 수치를 더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다크니스 편|다크니스 편]]에 등장한 몬스터 카드이자 그 정령. [[성우]]는 [[호시노 타카노리]].[* 이후 [[잭 아틀라스]]를 맡았으며, 이 때문에 MAD에선 [[성우 개그]]로 둘이 엮일 때가 많다.] 본래는 [[후지와라 유스케]]가 아끼던 몬스터 카드로, 어니스트의 정령은 실종된 후지와라를 찾기 위해 그의 모습으로 변신한 뒤 주인의 행방을 찾았으나, [[유벨]]의 힘을 얻은 쥬다이에 의해 정체가 들통나고 쥬다이 일행을 공격하지만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네오스]]의 반격으로 막힌다. 이후 쥬다이를 인정하고 진짜 유스케를 찾기 위해 쥬다이에게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자신의 효과로 네오스와 레인보우 네오스를 강화하고, 후지와라 유스케 전에서 실제 소환되어 그를 다시 돌려놓는 등 여러 가지 활약을 했다. 사건 종결 후엔 [[유우키 쥬다이]]가 다시 원래 주인인 후지와라에게 양도했다.[* 정확히는 넘겨주는 장면은 나오지 않았으나 후지와라전 이후 더이상 쥬다이가 가지고 있다는 묘사가 없으며, 어니스트의 정령이 듀얼 종료 후 후지와라를 감싸는 모습을 보인다.] 공격명은 '어니스티 크라잉(オネスティ・クライング / Honesty Crying)'. GX 4기 오프닝에서 [[날개]]를 펼치고 날아가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날개는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어니스트의 효과를 받은 모습]]을 나타낸 것. 본편에서 어니스트의 효과를 받은 네오스가 오프닝의 장면을 재현했다. 이 모습은 [[애니버서리 팩]]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로 발매됐다. 이름의 본래 뜻은 'Honest[|ɑ:nɪst](정직한)'로, '오네스트'라 읽는 것은 [[재플리시]]. 여담으로 효과를 보아 후지와라가 사용한 원래 덱의 에이스는 레벨 7 이상의 전사족이었을 것으로 예상되나 진짜 덱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정확히는 알 수 없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include(틀:유희왕/OCG/5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파일:card10004448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어니스트, 일어판명칭=オネスト, 영어판명칭=Honest, 속성=빛, 레벨=4, 공격력=1100, 수비력=1900, 종족=천사족,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효과2=②: 자신의 빛 속성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부터 데미지 계산 전까지\,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전투를 실행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파괴의 빛]]의 커버 카드. 원작에선 공격력 상승 효과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레벨 7 이상의 전사족 몬스터]]란 제한이 있었으나, OCG화되면서 단순 빛 속성 몬스터로 대폭 강화됐다. 한때 빛 속성 몬스터를 함부로 못 공격하게 만들었던 주범 중 하나다. 패에 있는 어니스트를 묘지로 보내면 상대 몬스터만큼 공격력을 올릴 수 있을 뿐더러 발동 조건이 '''공격할 때''' 뿐만 아니라 '''전투를 실행할 때'''이므로, 자신의 빛 속성 몬스터가 공격하는 상황은 물론이요 공격을 받는 상황에도 발동할 수 있다. 공격력이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라가므로 빛 속성 몬스터의 전투시 어니스트 1장을 쓰면 사실상 '상대 몬스터 파괴 + 직접 공격'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되며, 중복사용이 가능하므로 어니스트 3장을 묘지로 보내면 자신의 몬스터의 공격력+상대 몬스터의 공격력 2배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이걸로 올린 공격력은 엔드 페이즈까지 그대로 적용되므로, 만약 어니스트의 효과를 받은 몬스터가 [[더블어택]]이 가능할 경우 상대는 두 몬스터의 공격력을 합한 비상식적인 공격력으로 한대 더 맞게 된다. 이를 이용한 원턴킬 덱도 있다. 패에서 '버리는' 게 아니라 '묘지로 보내는' 텍스트이므로 [[차원의 틈]], [[매크로 코스모스]] 같은 제외 관련 카드가 발동됐다면 아예 쓸 수 없다. 또한 [[금지된 성전]]이 발동되면 다 씹히는 것도 주의. 한때 [[대행자(유희왕)|대행자]] 덱에서도 쓰였다. 공격력이 낮아 죽기 쉬운 [[신비의 대행자 어스]]를 1턴 버티게 만들어 비너스-신성한 구체-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테크를 타기가 좋았으며, 빛 속성 / 천사족이라 한번 쓰고 묘지로 간 이 녀석을 [[마스터 히페리온]]의 파괴 효과의 탄환으로 쓸 수 있었기 때문. 이로 인해 2010년 3월에 준제한, 2011년 3월에 제한 카드가 됐다. 현 환경에서는 어니스트가 출시된 당시와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에이스 몬스터들의 전개력이 높아졌으며, 이들 대부분이 파워 인플레로 인해 강력한 비트 다운 능력뿐만 아니라 기존의 마법, 함정 카드에 못지 않은 강력한 퍼미션을 지니는 것이 기본 소양처럼 상향 평준화되다 보니,[* 대놓고 비트다운 데미지로만 이점을 보는 덱이나 원턴킬덱도 아니라면 비트 다운에서의 데미지로 확실하게 이점을 보려는 것 보다 그를 통한 견제와 더불어 다음 턴에 들어올 상대 빌드의 압박을 미연에 차단하는 쪽이 훨씬 낫다. [[푸른 눈]]덱이 자연사한 원인이기도] 어니스트와 같은 단일 대상 견제 카드들의 입지는 매우 줄어들었다. 2019년 환경에서 어니스트의 자리는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이나 [[바렐스워드 드래곤]] 같은 더욱 강력한 카드들이 훌륭하게 이어가고 있다. 또한 점차 엑스트라 덱을 제 2의 덱처럼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트렌드에서 어니스트를 통한 견제 자체가 무의미할 때가 많고 무엇보다 카드군을 묶는 공통점이 속성보다는 명칭에 중점이 맞춰지는 현 트렌드에서 빛 속성덱을 포함한 일률적 속성덱의 존재 자체가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크게 줄었다. 따라서 현재는 환경에 밀려 어니스트가 자연사했다는게 중평, 그나마 '이론적인' 사용처를 찾아본다면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덱]]이나 [[푸른 눈]], [[갤럭시(유희왕)|갤럭시]] 덱 정도일 것. 서술들의 최신화가 들쑥날쑥인 탓에 아직도 대다수의 빛 속성 몬스터 문서에 어니스트를 현역인 것처럼 적혀있는 문서가 한 두개가 아니다. 특히 이 카드가 활약하던 5D's 당시 내지 이전의 카드들에서 이런 경향이 강하다. [[나락의 함정 속으로]]의 경우와 비슷하게 어니스트가 언급된 문서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현재 너무나 많은 카드와 전략전술이 난무하기 때문에 우선순위에서 한참 밀려났다. 다시 말해 수많은 카드들의 말로가 그랬듯이 이미 자연사한 카드다.] 하지만 유사 효과를 지닌 [[어니스티 네오스]]는 히어로 덱에서 간간히 보이면서 그나마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기존 어니스트와 달리 테마군으로 묶여있어서 서치가 쉽고, 효과가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리는게 아니라 그냥 공격시 2500을 올려주는 효과로 나와 직접 공격에도 활용할 수 있고 프리 체인이다. 2014년 2월, OCG에서 이 카드가 준제한으로 풀렸다. 금제 개정에 맞춰 [[프라이멀 오리진]]에서 출범한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나, 비슷한 시기에 신 카드가 판매된 [[무사신]], [[사이버(유희왕)|사이버]] 등이 탄력을 받았다. 이후 2015년 10월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2017년 득세한 트릭스터 테마의 용병으로 잠깐 활약했지만, 트릭스터 자체적으로 타점을 보완할 수 있는 카드인 케로베인의 등장, 그리고 범용 링크 몬스터들의 대거 출현으로 사이드로 밀려났다. 이후 트릭스터 테마가 몰락하면서 함께 묻혔다. TCG에선 2015년 1월에 준제한, 2017년 9월 18일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에서 이 카드의 [[다크 어니스트|다크화 버전]]이 등장하였다. 전반적인 평가는 이 카드보다 약하다는 편. === 발동 타이밍에 대해(마스터 룰 2까지) === 스타트 스텝, 배틀 스텝, 데미지 스텝, 엔드 스텝 4단계로 나뉜 배틀 페이즈 중에서도 데미지 스텝은 9단계로 또다시 세분화됐는데 이 중 수축, 돌진 등 공격력 증감 퀵 효과가 발동가능한 타이밍은 2번 타이밍까지다. 하지만 이 카드는 데미지 계산이란 3단계에서까지 발동이 가능하다. 즉 데미지 스텝 때 아무리 공격력을 떨궈 100을 만들어 놓아도 어니스트 맞으면 결국 내 몬스터가 진다. 0까지 떨궜으면 전투하는 몬스터 양쪽 다 파괴되고 끝나겠지만.[* 서로 공격력이 0일 경우, 공격력 0 간의 몬스터는 전투시 서로 파괴되지 않는다. 공격력 0의 몬스터로 공격할 일이야 있을 수 있겠지만, 이 경우엔 이 카드를 던져도 공격력 상승폭이 0이라 묘지 자원을 쌓거나 하는 게 아닌 이상 던질 일은 없을 것이다.] 그나마 이 카드와 같은 타이밍에 발동되는 공수증감 효과로 같은 이 카드나 [[프라이드의 포효]], [[BF-달그림자의 카르트]] 등이 있는데, 설령 이들이 있다고 해도 상대의 해당 카드가 먼저 발동될 경우 대처할 수 없게 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일단 데미지 계산 도중에 카드의 효과가 발동될 경우, 체인 블록은 단 하나 밖에 만들 수 없다. 때문에 만약 상대가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시킬 때 이 쪽에선 상대의 효과 처리로 공격력이 올라갈 때까지 기다렸다가 이쪽에서 발동하는 건 불가능하다. 즉 이 카드에 이 카드로 대응한다면 필연적으로 체인을 거는 형식으로만 이뤄지게 된다. 이 경우 후에 발동한 쪽의 효과가 먼저 처리되므로 결과적으론 처리가 늦게 끝나는, 그러니까 먼저 발동한 쪽이 이긴다.[* 상대가 어니스트를 썼을 때 자신도 어니스트를 썼다면, 이 카드로 자신의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라가지만 [[체인 시스템]]의 원리로 상대의 어니스트 효과가 처리될 때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이 "자신 몬스터의 공격력 +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라가게 된다.] 결정적으로, 대미지 계산 도중엔 '''공격을 선언한 쪽이 우선권을 행사해 먼저 카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때문에 빛 속성 몬스터로 자기보다 약한 빛 속성 몬스터를 공격할 때, 혹여 상대가 이 카드를 쓸 경우를 대비해 자신이 미리 이 카드를 발동해 놓는 보험성 전략이 있다. [[라이트로드]] 덱끼리 [[미러전]]을 벌일 때 이런 상황이 가끔 일어난다. 어찌 됐든 요점은 [[사신 드레드 루트]], [[사신 아바타]], [[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처럼 데미지 증감이 이 카드보다 뒤에 들어가는 경우를 제외한 공수증감 카드로는 이 카드를 막는건 불가능하다. === 발동 타이밍에 대해(마스터 룰 3 이후) === 마스터 룰 3 개정으로 인해 데미지 스텝이 5단계로 정리되면서 이 카드도 수축, 돌진과 같은 타이밍에 발동된다. 룰 개정으로 인해 이 카드도 데미지 계산 전까지만 사용이 가능하고, "데미지 계산 전"에는 복수의 체인블록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대의 공수증감 카드 효과 처리가 끝난 후 이 카드를 던질 수 있다. 물론 상대도 마찬가지. 복수의 이 카드가 발동될 시에는 다소 주의가 필요하다. 초보자들을 농락할 때 쓰이는 수법 중 하나로, 상대가 이 카드를 발동하고 '체인 있으세요?' 라고 물었을 때, 무심코 자기도 이 카드를 내 버리면 체인의 역순 처리로 인해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이 올라가 자신이 이 카드를 발동한 효과가 있으나마나 하게 된다. 반드시 효과 처리 이후에 쓰자.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파괴의 빛]] || LODT-KR001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골드 시리즈]] || GS01-KR009 || [[노멀]][br][[골드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잃어버린 성역]]- || SD20-KR020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닝 스타 || DS13-KRL22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SD25-KR016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로드 저지먼트 || DS14-KRL11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 SD27-KR014 || [[노멀]] || 한국 || || || [[애니버서리 팩|크로니클 팩 1st wave]] || 20AP-KR048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DT-JP001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 GS01-JP009 || [[노멀]][br][[골드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잃어버린 성역|ロスト・サンクチュアリ]]- || SD20-JP020 || [[노멀]] || 일본 ||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듀얼 터미널 13 -별의 기사단 세이크리드!!-]] || DT13-JP005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DUELIST EDITION Volume 2 || DE02-JP111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 GDB1-JP009 || [[골드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더블 유니온 || DS13-JPL22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닝 스타 || DS13-JPL22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青眼龍轟臨]]- || SD25-JP016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로드 저지먼트 || DS14-JPL11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히어로즈 스트라이크|HERO’s STRIKE]]- || SD27-JP014 || [[노멀]] || 일본 || || || [[애니버서리 팩|20th ANNIVERSARY PACK 1st wave]] || 20AP-JP048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R -[[신광의 파동|神光の波動]]- || SR05-JP018 || [[노멀]] || 일본 ||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DT-EN001 || [[얼티밋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Twilight Edition: Light & Dark || TWED-EN001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잃어버린 성역|Lost Sanctuary]]- || SDLS-EN020 || [[노멀]] || 미국 ||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7A || DT07-EN005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Saga of Blue-Eyes White Dragon]]- || SDBE-EN017 || [[노멀]] || 미국 || || || Premium Gold || PGLD-EN035 || [[골드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Realm of Light- || SDLI-EN016 || [[노멀]] || 미국 || || || [[성기사(유희왕)|Noble Knights]] of the Round Table Power-Up Pack || NKRT-EN014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히어로즈 스트라이크|HERO's Strike]]- || SDHS-EN014 || [[노멀]] || 미국 || || || Duelist Saga || DUSA-EN069 || [[울트라 레어]] || 미국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어니스트, version=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