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 장편 연출 작품)]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50]] || ||<-5><:> [[칸 영화제/그랑프리|{{{#e5d85c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 ||<:> ''' [[제72회 칸 영화제|제72회]] [br] ([[2019년]]) ''' ||<:> {{{+1 →[* [[제73회 칸 영화제]]는 코로나-19로 취소되었다.] }}} ||<:> ''' [[제74회 칸 영화제|제74회]] [br] ([[2021년]]) ''' ||<:> {{{+1 → }}} ||<:> ''' [[제75회 칸 영화제|제75회]] [br] ([[2022년]]) ''' || ||<:>[[애틀랜틱스]] ||<:> {{{+1 → }}} ||<:>'''[[어떤 영웅]]''' / [[6번 칸]] ||<:> {{{+1 → }}} ||<:>[[클로즈(영화)|클로즈]] / 한낮의 별 || ||<-5> || ||<-2>
{{{#967552 '''{{{+1 어떤 영웅}}}''' (2021)[br]''قهرمان / A Her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어떤 영웅 국내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2> {{{#967552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이란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떤 영웅 이란 포스터.jpg|width=100%]]}}}}}}}}}}}} || ||<-2> {{{#967552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떤 영웅 해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감독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스가르 파르하디]]}}}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스가르 파르하디]], 알렉산더 말렛-가이}}}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미르 자디디, 모흐센 타나반데흐, 사리나 파르하디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리 가지}}}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하이데 사피야리}}}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메흐디 무사비}}}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네가르 네마티}}}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이란 국기.svg|width=20]] 아스가르 파르하디 프로덕션[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아르테 프랑스 시네마}}}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사 진진|[[파일:jinjin pictues.jpg|width=30]]]]}}}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메멘토 필름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아마존 스튜디오|[[파일:아마존 스튜디오 로고.svg|width=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사 진진|[[파일:jinjin pictues.jpg|width=30]]]]}}}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21년]] [[7월 13일]][br][[파일:토론토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21년]] [[9월 16일]][br][[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width=20]] [[2021년]] [[10월 8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3월 15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9 : 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2시간 7분}}} || ||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2,895,324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명}}}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의 2021년작 드라마 영화. [[제74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그랑프리|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수상작.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dOkQo4bCRA)]}}}|| || {{{#967552 '''▲ 국내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 '''"사람들이 날 존경해요"''' > > 빚을 갚지 않아 수감 중인 라힘은 > 주운 가방 속 금화를 팔아 보석금을 내려다 > 주인에게 돌려준 후 영웅 대접을 받는다. > 그의 평판이 높아질수록 주변의 의심은 깊어지고 >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라힘의 사소한 거짓말은 > 점차 커다란 파국을 몰고 오는데… > > 가장 길었던 이틀 간의 귀휴가 시작된다 == 등장인물 == * 아미르 자디디 - 라힘 솔타니 역 빚을 못 갚아서 수감 중이었는데, 귀휴 중에 주운 가방 속의 금화를 팔아서 보석금을 내려다가 양심껏 돌려줬고, 이 선행이 국가적으로 알려져서 갑자기 영웅이 되어버린 남자. * 모흐센 타나반데흐 - 바흐람 역 라힘 솔타니가 빚을 진 노년 남자이다. 그는 라힘 솔타니는 평생 남을 속이며 살았다고 주장한다. * 사리나 파르하디 - 나자닌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hero, critic=82, user=7.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_hero, tomato=97, popcorn=82)]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777738, user=7.5)]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hero, user=3.8)]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81404, presse=4.0, spectateurs=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81118, user=3.8)]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97434,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4966906, user=7.6)]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X2Aa1, user=3.8)]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9353,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06653, expert=전문가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52004,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없음)] [include(틀:평가/TMDB, code=672208-a-hero, user=74)]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a-hero, user=6.8)] [include(틀:평가/RogeEbert.com, code=a-hero-movie-review-2022, user=3)]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영화코드, user=별점)] > A Hero finds writer-director Asghar Farhadi once again grappling with weighty themes -- with the audience emerging as the winner. >---- > '''<어떤 영웅>은 감독과 각본을 맡은 아스가르 파르하디가 또 한번 묵직한 주제를 다루면서 관객을 끌어당기는 그의 능력을 보여준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 아스가르 파르하디는 윤리적 딜레마를 집요하게 파고드는 영화작가다. 사소하고 평범한 일상의 틈을 통해 인간의 실체를 보여준다. 〈히어로〉는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2011)와 더불어 파르하디의 대표작으로 꼽힐 작품이다. 미처 깨닫지 못했던 삶의 진실을 경험할 때까지 파고 또 파는 파르하디 미학의 정점이다. 주인공은 돈을 갚지 못해 감옥에 간 남자다. 결혼을 약속한 여자친구가 우연히 금화가 든 가방을 주우면서 사건이 시작된다. 남자는 금화를 팔아 빚진 돈을 갚을 수 있다는 유혹에 흔들리지만 결국 가방을 주인에게 돌려주기로 결정한다. 남자의 선행은 뉴스가 되고 그는 영웅 대접을 받는다. 자선 행사에선 남자를 위한 모금까지 하게 된다. 하지만 문제가 생긴다. 가방을 가져간 사람이 진짜 주인인지 불확실하고 가방을 주운 사람도 남자가 아니라 여자친구인 것이 밝혀진다. 작은 거짓말이 큰 거짓말이 되고 영웅은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진다. > (남동철/2021년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북미]] === === [[중국]] === === [[일본]] === === [[영국]] === === 기타 국가 === == 논란 및 사건 사고 == [[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의 영화학 수강생 중 한 여학생이 이 작품이 자신의 다큐멘터리 'All winners all losers'를 표절했다고 고소를 하였다. [[https://m.yna.co.kr/view/AKR20220404126100009?section=international/all|#]] 2022년 4월 4일, 할리우드 리포터는 파르하디 감독이 표절 판정을 받아 유죄 판결을 받았고 이에 대해 항소할 수 없다고 잘못 보도했다.... 단지 그가 기소되었을 뿐이며 두 번째 재판을 받을 것이라고 정정 발표하였다. 물론 항소 또한 가능하다. 당연히 파르하디는 혐의를 부인하였다. 현재 두번째 판결을 기다리는 중인데 두번째로 나올 판결에서 파르하디에 대한 최종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표절로 판정 받는다면 최악의 경우에는, 파르하디는 히어로를 통해 극장이나 온라인 등을 통해 얻은 전체 수익을 전부 그 학생에게 주어야할수도 있고 감옥 징역형도 추가로 나올수 있다고 한다.~~ 이는 잘못된 정보인 것이 4월 5일 BBC의 보도에 따르면 아직 재판 진행 중인 것은 맞지만 파르하디의 변호인에 따르면 학생의 영화에 대한 수익 청구와 감옥수감자의 명예훼손소송은 기각되었다고 나와있다. 두 영화 모두 감옥수감자의 실제 실화를 바탕으로 진행된 영화라서 파르하디는 본인이 표절이 아니라는 입장이고 11월 보도에서도 아직 판결받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다수의 매체의 보도의 경우 1심이 학생에게 유리하게 갔다는 것은 맞는 거 같은데 판결에 대한 보도는 아직 없다. 이 사건으로 인해 한국 개봉이 미뤄졌다는 추측이 있다. == 외부 링크 == ## 해당 작품과 관련 있는 외부 사이트의 링크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아래 예시에 삽입된 주소와 문구를 연결을 원하는 사이트로 교체합니다. *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B%8C%80%EB%AC%B8|사이트 이름1]] - (설명) *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B%8C%80%EB%AC%B8|사이트 이름2]] - (설명) == 둘러보기 == ## 해당 작품과 관련된 둘러보기 틀을 배치하는 문단입니다. ## 최상단 둘러보기 틀은 최대 2개까지만 배치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둘러보기 틀을 넣길 원하면 본 문단에 배치하세요.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스가르 파르하디, version=27)] [[분류:이란의 드라마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2021년 영화]][[분류:칸 영화제 그랑프리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