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물고기 포켓몬)] ||<-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76MS.png|width=40]] 976 [[가비루사]] || [[파일:977MS.png|width=40]] '''977 어써러셔''' || [[파일:978MS.png|width=40]] 978 [[싸리용]] || ||<-3> {{{#white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 [[파일:976MS.png|width=40]] 373 [[가비루사]] || [[파일:977MS.png|width=40]] '''374 어써러셔''' || [[파일:978MS.png|width=40]] 375 [[싸리용]]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모습|모습]][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77 어써러셔.png|width=50%]] || || 어써러셔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977MS.png|width=50]][br]'''어써러셔''' [br] ヘイラッシャ(헤이랏샤) [br] Dondozo || 전국: 977 [br] 팔데아: 374 || [include(틀:물타입)] || [anchor(앵커-특성)] ||<-2>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ㅊ#천진|천진]] || 상대의 능력 변화를 무시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ㄷ#둔감|둔감]] || 헤롱헤롱 상태에 걸리지 않는다. (6세대 이후)도발을 무시한다.[br](8세대 이후)위협을 무시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ㅅ#수의베일|수의베일]] || 화상 상태가 되지 않는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977 어써러셔 || 큰메기 포켓몬 || '''12.0m''' || 220.0kg || 2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 50% [br] 암컷 : 50% || 수중 2 || 10,240걸음 || 1,250,000 || [anchor(앵커-모습)] ||<-2> [[포켓몬스터/진화|{{{#ffffff 모습}}}]] || || {{{#ffffff 모습}}} || [[파일:977.png|width=120]] [br]977 어써러셔 || [anchor(앵커-방어 상성)] ||<-3>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977MS.png|width=50]][br]어써러셔 || '''{{{#red 150}}}''' || 100 || 115 || 65 || 65 || 35 || 53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77MS.png|width=50]][br]{{{#FFFFFF 어써러셔}}}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977MS.png|width=50]][br]{{{#ffffff 977 어써러셔}}} || || 스칼렛 ||대식가지만 먹이를 잡는 것이 서툴다. [[싸리용]]과 콤비를 이뤄 먹이를 사냥한다. || || 바이올렛 ||싸리용을 두목처럼 모신다. 힘 하나는 천하장사지만 머리는 그다지 좋지 못하다고 한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한판내기]] || == 소개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처음 등장한 새로운 포켓몬. 모티브는 [[유럽메기]] + [[초밥]] [[요리사]]다.[* 머리 부분을 자세히 보면 일본 요리사들이 주로 두르는 머리띠를 하고 있다.] == 스토리 및 포획 == 위룡의 주인 미션을 수행하는 호수에서 평균 레벨 50대의 어써러셔들을 조우할 수 있다. 경험치를 상당히 많이 주기 때문에 전기 타입이나 풀 타입을 키웠다면 경험치 노가다에 도움이 된다. 이 호수에서 갸라도스도 나오기 때문에, 전기 타입은 특히 쉽게 두 종을 쓸어버리면서 경험치 작을 할 수 있다. 특히 찌리비크를 키웠다면 스피드가 엄청나게 차이나므로 일렉트릭볼로 나름 편하게 잡아낼 수 있다. === 주인 포켓몬 === [include(틀:팔데아지방의 주인 포켓몬)] || 주인 포켓몬 || || [[파일:977.png|width=120]] || ||<#dcdcdc,#191919> '''어써러셔'''[br](Lv.56) || || __타입__:[br][include(틀:물타입)] || || __특성__ :[br]둔감 || || __지닌 도구__ :[br]없음 || || __기술배치__ : [br] [[아쿠아테일]][br][[누르기]][br][[탁쳐서떨구기]][br][[물의파동]] || || * 전투! 주인 포켓몬,,(포켓몬스터 SV),, [youtube(LEVxrzm5aGQ, showinfo=0&controls=2&autohide=0&vq=small, width=320, height=75)]|| 다른 주인과 달리 진짜 주인인 싸리용의 부하에 불과한 듯, 클리어 후 6U 고정 개체를 발견했다는 보고가 없다. == 대전 == 타입은 단일 물. 530이나 되는 종족값을 지녔으면서 분배가 매우 깔끔하다. 쓰지 않는 특공과 스피드를 65, 35로 낮추고 다른 능력치에 분배되었으며, 특히 HP가 150으로 매우 높다. 물방도 115나 되지만, 특방은 65로 낮은 편이다. 무보정 기준 물리내구는 '''73,905''', 특수내구는 46,532이다. 전반적으로 잠만보의 특방과 물방을 바꾼 듯한 스탯을 갖고 있어, 저주를 쌓는 물리막이로서는 잠만보 이상이지만 특수방어까진 커버가 안된다. 배우는 기술로는 자력으로 [[웨이브태클]][* 본 기술과 이판사판태클 같은 반동기술이 막이인 어써셔에게 안 맞을 거 같지만, HP가 워낙 높아 커버가 된다.], [[한판내기]], [[누르기]], [[헤비봄버]], [[이판사판태클]] 정도를 배우며 기술머신으로 [[폭포오르기]], [[스톤샤워]], [[지진]], [[바디프레스]], [[사념의박치기]], [[아쿠아브레이크]], [[깨물어부수기]], [[역린]] 등을 배운다. 유전기로 일격기인 [[땅가르기]]를 습득할 수 있으며, 변화기로는 [[잠자기(포켓몬스터)|잠자기]], [[물붓기]], [[저주(포켓몬스터)|저주]], [[하품(포켓몬스터)|하품]] 등을 배운다. 같은 세대에 나온 준전설 포켓몬 [[딩루]]와 종족값 배분이 비슷해 사용법도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딩루가 내구와 공격이 더 좋기에 딩루의 하위호환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이쪽은 특성이 천진이라 상대의 랭업을 무시한다는 장점이 있고, 약점도 딩루보다 적고 타입도 완전히 다르다.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은 천진 특성을 활용한 막이지만, 공격이 100으로 기본은 되기에 약점보험 달고 트릭룸 어태커로 사용 가능하다. 나머지 특성도 물리 딜탱에 맞게 좋다. 둔감은 위협을 무시하며 수의베일은 화상으로부터 안전하다. 하지만, 싱글 더블 상관없이 천진을 주로 사용하는 편. 전기에 2배를 맞는 점과 반피 회복기가 없다는 점 빼면 천진 [[누오]]의 강화판이라고 평가받고 있으며, [[타부자고]], [[콜로솔트]], [[위유이]]등과 함께 9세대 포켓몬들 중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콜로솔트와 같이 SV 싱글 시즌 1의 메타를 사이클+일격기 싸움으로 만든 주범이라 성능과는 별개로 상대하기엔 너무 짜증나서 포켓몬 자체에 대한 평가는 굉장히 나쁘다. 특히 자체 스펙도 좋고 특성도 천진인 막이 포켓몬이 여차하면 땅가르기까지 날릴 수 있다는게 너무 밸붕이란 평가를 받는다. 덕분에 우라오스가 필요악이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포홈을 빨리 열어달라는 의견이 나오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현재 그나마 조심해야 될 포켓몬은 트릭으로 도구를 뺏어갈 수도, 전기 기술로 약점을 찌를 수도 있는 [[로토무]]나, 예리함이 적용된 리프블레이드로 빈사에 빠뜨려 사이클을 깨트릴 수 있는 [[엘레이드]], [[트릭플라워|필중 급소기]]가 있는 [[마스카나]], 도발로 변화기를 막으며 천진을 무시하는 위력 증가 기술인 [[분노의주먹]]을 활용하는 [[저승갓숭]] 등이 있다. 한편 땅가르기도 안 통하고 단단하면서 도발로 변화기까지 봉쇄할 수 있는 [[아머까오]]도 있으나, 아머까오도 어써러셔를 칠 수단이 별로 없어서 둘이 마주하면 지루한 장기전으로 흘러가기 쉽다. 어쩌면 [[콜로솔트]] 이상으로 환경의 어그로를 많이 받는 포켓몬이다. 콜로솔트도 일격기를 사용하지만 철벽 형태가 아니면 상대의 랭업에 취약해지는 반면 어써러셔는 '''상대가 뭘 하든 일단 [[땅가르기]] 누르면 되는 포켓몬'''으로 인식이 박혀버렸기 때문. 어써러셔도 저주를 이용한 랭업 전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콜로솔트]]와 다르게 반피 회복기가 없다보니 랭업 없이 사용가능한 딜소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웬만하면 땅가르기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땅가르기 연타는 신세대 안티탱커인 [[저승갓숭]]도 어찌하지 못하고, 천진 특성으로 랭업 돌파도 먹히지 않으니 만만한 물리어태커 앞에서 잠자기&잠꼬대 누르면서 될때까지 기다리는 예능스러운 전략을 실전 천상계에서 펼치고 앉아있는 상황. 덕분에 비호감스러운 외모와 합쳐져 이미지가 아예 나락으로 떨어져 버렸고 빨리 준전설 쓰게 해달라고 온갖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카운터 포켓몬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사이클 전에서 불리하거나 환경상 취약점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카운터가 사실상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다. [[미끄래곤]]의 [[애시드봄]]과 [[단지래플]]의 [[사과산(포켓몬스터)|사과산]]은 천진 특성 자체의 하드카운터급 기술이며 후자는 약점까지 찌르지만 시리즈1 환경에 [[삼삼드래]], [[망나뇽]], [[한카리아스]]등 S급 드래곤 어태커가 많아서 대응에 한계가 있다. 삼삼드래 등의 안경 [[용성군]]이 천진에 무한으로 박히는 것도 약점이지만 무효화가 가능한 타입인데다가 그냥 교체해서 기점을 잡을 수도 있으니 별 의미가 없는건 매한가지다. 패러독스 포켓몬과 사흉수가 출전하고 포켓몬 홈이 해금되고 난 이후의 환경에선 시즌 1만큼의 위상은 보여주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포켓몬홈 해금으로 입국하게 되는 [[썬더(포켓몬스터)|썬더]]나 [[레지에레키]], [[위유이]] 같은 여러 강력한 특수 어태커들은 어써러셔의 약한 특수방어를 찌를 수 있기 때문. 여기에 더해 패러독스 포켓몬과 사흉수 포켓몬의 특성은 랭크 증감이 아니라 실수치 증감 방식이라 천진으로 무시할 수도 없다. 때문에 특수공격을 안전하게 받아줄 수 있는 토오, 럭키 등과의 교체 플레이가 더욱 중요해질 예정이다. === 더블 배틀 === 더블배틀에서는 사령탑 특성의 [[싸리용]]이 있으면 '''[[사령탑(포켓몬스터)|사령탑]]''' 특성이 발동, 싸리용이 어써러셔의 입 안으로 들어가 지시를 내린다. 강화된 어써러셔의 능력치는 50레벨 기준 각 내구가 무보정일 때 9~10만 정도[* HB 풀보정 [[하마돈]]과 대충 비슷하다.], 공격력은 풀보정일 경우 334로 천하장사 [[입치트|메가입치트]] 급으로 높아지며, 스피드는 무보정 시 110 ~ 풀보정 기준 190으로 최속 120족까지는 도구 없이 따라잡을 수 있다. 간단히 말해 그냥 괴물이 된다. 역대 등장한 기믹파티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확실한 대책은 [[흑안개]],[[클리어스모그]]로 랭업을 몽땅 되돌리는 것, [[멸망의노래]], 선출하지 않는 파티의 경우 둘 중 하나를 먼저 잡는 것[* [[검은눈빛]], 그림자밟기 등.] 정도로 보고 있다. 또한, 급소에 필중이라 랭크업을 무시하고 약점을 찌르는 마스카나 역시 대책으로 기용되고 있다. 다만, 마스카나와 클리어스모그의 경우 어써러셔 측이 대비책으로 강철타입 테라스탈을 하는 경우가 늘어났기에 확실한 카운터로 보긴 어렵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기타 == * [[메깅]]에 이은 2번째 메기 포켓몬이다. * 모티브인 유럽메기가 지구상 가장 거대한 메기라는 점을 반영해서 몸길이가 무려 '''12m'''로 현재까지 등장한 포켓몬들 중 3번째로 거대하다.[* 1위는 [[무한다이노]](20m), 2위는 [[고래왕]](14.5m), 4위는 [[아라리|알로라 나시]](10.9m).] 특히 큼직큼직파워를 쓴 상태에서 잡은 최대 크기 개체는 말 그대로 무지막지하다. 배틀에 들어가면 어써러셔의 그래픽만 보이고 나머진 안 보일 정도. 거대한 덩치를 반영하듯 종족값 총합도 530으로 꽤 높은편이다. 하지만 거대한 덩치와는 달리 몸무게는 고작 '''220kg'''밖에 나가지 않으며, [[고래왕]]보다도 가볍다.[* 실제 생물로 비교했을 때 크기가 비슷한 [[혹등고래]]의 체중이 '''36t'''이다.] * 초밥을 모티브로 한 다른 포켓몬으로 같은 세대에 나온 [[싸리용]]이 있고, 특성이나 도감 등으로 보아 상리공생 관계인듯하다. == 삽화 == ||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77 어써러셔 dex.png|width=50%]] || || '''어써러셔'''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한국어 || 어써러셔 || "어서 옵쇼" + 썰어 혹은 '어서 썰으셔' || || 일본어 || ヘイラッシャ || 어서 오세요(へいらっしゃい)[* 어원은 Hey + いらっしゃいませ(어서 오세요). 실제 해당 인삿말은 주로 초밥집의 스테레오타입 중 하나로 쓰인다.] || || 영어 || Dondozo || 남부유럽과 중남미의 남성 존칭 Don + どうぞ(어서 드세요) ||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물타입 포켓몬]][[분류:진화체가 없는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