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튜너]]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싱크론)]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튜너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アサルト・シンクロ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어썰트 싱크론, 일어판명칭=アサルト・シンクロン, 영어판명칭=Assault Synchron,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700, 수비력=0, 종족=기계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7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은 싱크로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가\, 릴리스되었을 경우 또는 제외되었을 경우\,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시크릿 유틸리티 박스]]에 새롭게 수록되는 [[싱크론]] 카드다. '''[[던 오브 마제스티]]'''의 메인 테마인 [[싱크론]],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다크윙 블래스트]]'''의 메인 테마인 [[BF(유희왕)|BF]]를 동시에 지원하는 카드. ①의 효과는 패의 자신을 특수 소환하고 700 데미지를 받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 사실상 그냥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것과 다름 없으면서 700 데미지 자체는 현 환경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수치는 아니다. 이렇게 소환된 이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싱크로 몬스터만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빠르게 싱크로 소환을 하면 디메리트를 치울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가 릴리스되거나 제외될 경우 그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자신을 릴리스하고 발동하는 [[스타더스트 드래곤]]이나 자신을 제외하고 공격을 무효로 하는 [[슈팅 스타 드래곤]]을 의식한 듯한 효과로 소환에 많은 수고가 드는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스카레드 슈퍼노바 드래곤]] 등의 몬스터가 허무하게 [[용암 마신 라바 골렘]], [[파괴수(유희왕)|파괴수]] 등에 사라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단 [[슈팅 퀘이사 드래곤]] 등 싱크로 소환으로만 소환이 가능한 몬스터는 어썰트 싱크론으로 보호할 수 없다. 모티브는 [[SR-71]]로, 이 전투기의 별명이 크로우의 D휠과 같은 '''블랙 버드'''라는 점에서 모티브로 삼은 듯하다. 조류를 연상시키는 캐릭터와 검은 깃털이 흩날리는 배경, 어썰트라는 이름, 700포인트를 보면 SR-71과 동시에 [[블랙 페더 드래곤]]의 영향을 받은 싱크론 몬스터로 추정된다.[* 블랙 페더 드래곤의 효과 대미지를 없애는 효과는 애니에선 그 대미지 수치만큼 공격력이 감소했고, OCG에선 카운터를 1개 놓는 대신 카운터 1개당 공격력이 700 내려가는 것으로 나왔다. 애니와 OCG 어느 쪽이든 고증을 맞출 수 있는 셈.] 다만 블랙 페더 드래곤과 연계해 대미지 없이 이 카드를 꺼내도, 이 2장만으로는 싱크로 튜너를 요구하는 진화체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 할 수 없다. 꼭 싱크론 덱이 아니더라도 자체적으로 특소 가능한 2렙 튜너는 충분히 유니크한 능력치라 다른 덱에서도 채용을 고려할만한 준수한 성능의 카드다.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와 [[비스테드#더 비스테드 루벨리온|더 비스테드 루벨리온]]과 궁합이 매우 좋다. 했는데, 6레벨 비스테드 몬스터와 싱크로 해서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를 부를 수 있고,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가 이미 필드 위에 있는 상황에서 특수소환해 [[플뢰르 드 바로네스]]로 이을 수 있다. 또한 어썰트 싱크론의 2번 효과는 더 비스테드 루벨리온의 특소 효과에도 반응해 더 비스테드 루벨리온으로 릴리스된 혼돈마룡을 소생시켜 8랭크 엑시즈를 소환하는 등의 플레이도 충분히 가능하다. 실제로 챠키스페를 개량한 40축 펑크비스테드에서 핵심 카드로 기능하며, 2레벨이기에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에서 사용도 가능하므로 전에는 불가능했던 비스테드 스프라이트 덱 구축이 개발되었다. 무엇보다도, 이 카드로 인해 카오스 룰러를 1턴에 최대 3번까지 활용할 수 있게 되어, [[펑크비스테드]]는 패가 좋으면 [[플뢰르 드 바로네스]],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와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를 선턴에 뽑을 수도 있게 되었다. 2023년 1분기 기준으로, 펑크비스테드에는 당연히 3장 투입되는 중요한 엔진이다. 물론 다른 덱 뿐만 아니라 본인이 속한 싱크론 덱, 즉 [[정크도플]] 계열 덱들과 모티브를 따온 [[BF(유희왕)|BF]] 덱에서도 좋은 지원이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선 상당히 이른 시기인 [[다크윙 블래스트]] 카드들이 수록되는 시점에 같이 수록되었는데 같은 팩에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싱크로 테마인 [[고티스]] 그리고 스트럭처 덱으로 블랙 페더의 지원 카드들이 출시되다보니 싱크론과 블랙 페더를 지원하는 이 카드가 조기출시 된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한국에서는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정발되기까지에 여러 고난과 역경을 겪었던 카드이다. 이 카드가 수록되었던 상품인 [[시크릿 유틸리티 박스|SECRET UTILITY BOX]]가 대원의 태업으로 발매 시기를 놓친데다가, 설상가상으로 수록 카드 중 하나인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카오스 룰러]]가 2023년 10월 금제에서 금지 카드가 되는 바람에 해당 상품의 발매가 [[동봉카드 엿먹이기]] 없이는 사실상 불발된 거나 마찬가지였기 때문. 어썰트 싱크론 이외에도 동봉된 카드 역시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에는 커녕 오랫동안 어디에도 수록되지 않아 월드 챔피언쉽에서도 사용할 수 없어서 원성을 사기도 했었는데, 이후 불행 중 다행으로 [[시너지 팩]]을 통해 드디어 무사히 한글판이 출시되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2-12-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UB1-JP003 | '''[[시크릿 유틸리티 박스|SECRET UTILITY BOX SPECIAL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3-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LMR-EN003 | '''BATTLES OF LEGEND: MONSTROUS REVEN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2023-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YP1-KR097 | '''[[시너지 팩|시너지 팩 01 -싱크로 액셀러레이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