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고구려 좌우보)] '''菸支留''' (? ~ ?) [[고구려]]의 관료. 고구려 5부 중 하나인 환나부[* 읽기에 따라 환내부라고도 한다.] 출신의 사람으로, 본래 우태(于台) 벼슬을 지냈다. 132년([[태조왕]] 80), 태조왕의 아우이자 당시 왕에 다음가는 권력자였던 [[차대왕|수성]]을 따라 나서 왜산(倭山)으로 [[사냥]]을 하러 갔다. 그 곳에서 수성이 주위 사람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는데, [[미유(고구려)|미유]]와 [[양신]] 등과 더불어 수성에게 왕위찬탈을 권하였다. 146년, 결국 수성은 [[태조왕]]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는데, 그가 바로 [[차대왕]]이었다. 이듬해인 147년, 어지류는 차대왕을 즉위시키는 데 세운 공으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실제로 그랬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좌보(左輔)에 임명되었으며 대주부(大主簿)로 벼슬이 올랐다.[* 이전에 어지류와 함께 왕위찬탈을 권했던 미유, 양신 등도 이때에 함께 승진하였다.] 그러나 165년, [[명림답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차대왕]]을 살해당하자 여러 신하들과 함께 논하여 결국 차대왕의 동생 [[신대왕]]을 옹립하였다. 과거에 자신이 [[차대왕]]을 도와 그의 형 [[태조왕]]의 왕위를 찬탈하게 하더니 결국 나중에는 [[차대왕]]의 왕위를 [[신대왕]]에게 넘겨주게 되었으니 정말 기분이 묘했을 것이다(...). 여담이지만 차대왕을 꼬드겨서 왕좌를 차지하게 만든 세 사람 중에서는 유일하게 차대왕이 죽은 후의 행보가 기록된 사람이다. [각주] [[분류:고구려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