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권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프로 레슬링에서의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rd1=WWE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십)] [목차] == 개요 == Undisputed Champion. '반박의 여지가 없는', '모두가 인정하는' 챔피언을 의미한다. 프로 복싱에서 모든 메이저 기구의 타이틀을 통합한 챔피언에게 붙여지는 칭호이다. == 자격 == * 1922-1963, NYSAC, NBA(WBA)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 * 1963-1983, WBA, WBC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 * 1983-2007, WBA, WBC, IBF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 * 2007-현재, WBA, WBC, IBF, WBO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 == 역대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목록 == === NYSAC, NBA(WBA) 통합 챔피언 === === WBA, WBC 통합 챔피언 === 메이저 기구가 둘 뿐이었던 관계로 이 시기 통합 챔피언이었던 선수는 대단히 많았기에 본 리스트는 일부의 사례임을 미리 밝힌다. 또한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기 전이어서 이 시기의 해당 선수들에게는 본 명칭을 잘 쓰지 않는다. || '''{{{#ffffff 체급}}}''' || '''{{{#ffffff 연도}}}''' || '''{{{#ffffff 선수}}}''' || || 슈퍼 웰터급 || 196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니노 벤베누티]]''' || || 슈퍼 웰터급 ||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김기수]]''' [* 대한민국 유일의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이다. 한국 권투 역사상 최초의 세계챔피언이기도 하다. 바로 위에 있는 니노 벤베누티를 이겨서 세계챔피언이 되었다.] || || 미들급 || 197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카를로스 몬존]]''' || || 헤비급 || 197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조 프레이저]]''' || || 헤비급 || 1973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조지 포먼]]''' || || 헤비급 || 1974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무하마드 알리]]''' || || 라이트급 || 1978 ||[[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30]] '''[[로베르토 두란]]''' || || 웰터급 || 1981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슈거 레이 레너드]]''' || === WBA, WBC, IBF 통합 챔피언 === || '''{{{#ffffff 체급}}}''' || '''{{{#ffffff 연도}}}''' || '''{{{#ffffff 선수}}}''' || || 라이트급 || 199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퍼넬 휘태커]]''' || || 슈퍼 라이트급 || 2001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코스챠 추]]''' || ||<|4> 웰터급 || 1985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도널드 커리]]''' || || 1986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로이드 호니간]]''' || || 2003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코리 스핑크스]]''' || || 2005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잽 주다]]''' || || 슈퍼 웰터급 || 2004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윙키 라이트]]''' || || 미들급 || 198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마빈 해글러]]''' || ||<|2> 라이트 헤비급 || 1983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마이클 스핑크스]]''' || || 1999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로이 존스 주니어]]''' || ||<|2> 크루저급 || 1988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에반더 홀리필드]]''' || || 2006 ||[[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30]] '''[[오닐 벨]]''' || ||<|5> 헤비급 || 1987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마이크 타이슨]]''' || || 199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버스터 더글러스]]''' || || 199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에반더 홀리필드]]''' || || 1992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리딕 보우]]''' || || 1999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레녹스 루이스]]''' || === WBA, WBC, IBF, WBO 통합 챔피언 === ==== 남성 ==== || '''{{{#ffffff 연도}}}''' || '''{{{#ffffff 선수}}}''' || '''{{{#ffffff 체급}}}''' || || 2001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버나드 홉킨스]]''' || 미들급 || || 2005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저메인 테일러]]''' || 미들급 || || 2017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테렌스 크로포드]]''' || 라이트 웰터급 || || 2018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올렉산드르 우식]]''' || 크루저급 || || 2021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조쉬 테일러]]''' || 라이트 웰터급 || || 2021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카넬로 알바레스]]''' || 슈퍼 미들급 || || 2022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저멜 찰로]]''' || 슈퍼 웰터급 || || 2022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데빈 헤이니]]''' || 라이트급 || || 2022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이노우에 나오야]]''' || 밴텀급 || || 2023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테렌스 크로포드]]''' || 웰터급 || ==== 여성 ==== || '''{{{#ffffff 연도}}}''' || '''{{{#ffffff 선수}}}''' || '''{{{#ffffff 체급}}}''' || '''{{{#ffffff 비고}}}''' || || 2014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세실리아 브레쿠스]]''' || 웰터급 || || || 2019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클레어사 실즈]]''' || 미들급 || || || 20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케이티 테일러]]''' || 라이트급 || || || 202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제시카 매캐스킬]]''' || 웰터급 || || || 2021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클레어사 실즈]]''' || 라이트 미들급 || 남여 역사상 최초로 2체급 석권 || || 2022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프란체온 크루스-데즈런]]''' || 슈퍼 미들급 || || || 2022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샹텔 카메론]]''' || 라이트 웰터급 || || || 2023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width=30]] '''[[아만다 세라노]]''' || 페더급 || IBO 타이틀도 보유 || || 2023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알리시아 바움가드너]]''' || 슈퍼 페더급 || IBO 타이틀도 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