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rd1=은엄폐, other1=군사 용어)] [include(틀:천문학)] [목차] Occultation, {{{+1 掩蔽}}}. == 개요 == 천체가 다른 천체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 == 상세 == '''통과'''(transit)는 겉보기 크기(시직경)가 큰 천체 '''앞으로''' 작은 천체가 지나가는 현상이라면, '''엄폐'''는 [[달]] 등의 시직경이 큰 천체 '''뒤로''' [[목성]] 등의 작은 시직경의 천체[* 시직경이 작으면 되기 때문에 성운이나 성단 같은 심원천체가 가려지기도 한다.]가 숨는 현상을 말한다. 그래서 통과 현상 때는 두 개의 천체가 다 보이지만 엄폐가 이루어지면 숨는 행성을 잠시 동안 볼 수 없다. 행성 간 엄폐는 상당히 희귀한 현상으로 15000년 간 500회도 채 일어나지 못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행성 간 엄폐는 [[1818년]] 1월 3일 금성과 목성 간의 엄폐가 일어났고, 미래의 가장 가까운 행성 간 엄폐는 [[2065년]] 11월 22일의 금성과 목성의 엄폐이다. 다만 [[달]]에 의한 행성 엄폐는 지구 전체에서 자주 일어나고, 달에 의한 태양 엄폐는 잘 알고 있는 [[일식]]. [* 그러나 한국에 국한하면 많이 볼 수 없는 현상이라, 엄폐가 일어나는 해는 연초부터 '올해의 천문 현상' 따위의 기사가 무조건 난다. 며칠 앞으로 다가왔을 때도 기사를 많이 볼 수 있다.] [[파일:토성 엄폐.jpg]] 2014년 9월 28일 나타난 달의 [[토성]] 엄폐로, 시지름이 큰 달 뒤로 시지름이 작은 토성이 숨었다가 다시 나오는 모습이다. 가장 최근의 엄폐로 2022년 11월 8일 개기[[월식]]과 함께 달의 [[천왕성]] 엄폐가 있었다.[* 참고로 다음 천왕성 엄폐는 2068년 2월 26일이다.] 약 1시간 가량 이루어졌다. 다음 달 엄폐는 [[https://in-the-sky.org/article.php?term=lunar_occultation|이 사이트를 참고하면 좋다.]][* 그러나 최근에는 모든 엄폐가 한국에서 보인다고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확인하려면 가시성 여부 사진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심원천체 엄폐의 경우 얼마 안 남았다. 2023년 12월 5일에 M95가, 2029년 1월 1일에 NGC 2392가 가려지는 게 한국에서 보일 것이다. 앞으로 한국에서 보이는 달의 엄폐 현상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시간은 서울 기준이지만 특별히 명시되지 않은 경우 전국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folding 한국에서 보이는 다음 달 엄폐 목록 ||날짜||가려지는 천체||시간|| ||2024년 8월 10일||[[스피카]]||20:05~20:35[*부분적 엄폐가 오후나 상용박명 쯤 일어나서 저녁까지 유지되는 경우]|| ||2024년 12월 25일||스피카||3:06~4:10|| ||2026년 1월 7일||[[레굴루스]]||1:01~1:48|| ||2026년 3월 2일||레굴루스||20:15~21:12|| ||2027년 7월 17일||[[눈키]]([[궁수자리]]의 2등성)||21:03~22:25|| ||2028년 6월 7일||[[안타레스]]||3:20~3:49[[https://in-the-sky.org/news.php?id=20280606_16_100|#]][* [[파일:안타레su엄폐.png|width=600]] 이 때는 한국이 엄폐가 보이는 영역에 겨우 들어가기 때문에 달이 안타레스를 잠깐 엄폐한다. 그리고 부산 등 일부 지역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2032년 4월 25일||스피카||2:26~3:33|| ||2034년 10월 26일||[[목성]]||0:45~1:56[* 2022년 11월 천왕성 엄폐 이후로 보이는 가장 빠른 달의 행성 엄폐이다.]|| ||2035년 2월 16일||[[알데바란]]||21:37~22:46|| ||2035년 5월 9일||알데바란||18:50~19:49[*불가능 엄폐가 일몰, 일출, 상용박명 시간대에 일어나서 관측이 힘든 경우.]|| ||2035년 8월 26일||알데바란||5:58~7:05[*불가능]|| ||2035년 11월 17일||알데바란||3:02~4:00[* 해당 알데바란 엄폐는 관측이 가능할 것이다.]|| ||2036년 1월 10일||알데바란||1:32~2:38|| ||2036년 5월 4일||레굴루스||18:57~20:01|| ||2036년 9월 12일||알데바란||월출~23:27|| ||2037년 2월 2일||[[토성]]||4:50~5:41|| ||2037년 3월 28일||토성||18:41~19:46[*부분적]|| ||2037년 12월 24일||목성||19:52~20:48|| ||2038년 1월 20일||목성||0:22~0:53[[https://in-the-sky.org/news.php?id=20380120_16_101|#]][* 부산에서 관측했을 때 대략적인 추정치. 서울에서는 아슬아슬하게 목성과 달이 딱 붙어있는 것 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2039년 3월 15일||[[아크라브]](전갈자리 베타)||3:12~3:34[[https://in-the-sky.org/news.php?id=20390315_16_100|#]][* 강원도 고성군에서 관측했을 때 대략적인 추정치. 서울에서는 보이지 않을 것으로 추정.]|| ||2040년 3월 21일||[[화성]]||2:04~2:19[[https://in-the-sky.org/news.php?id=20400321_16_100&town=1835848|#]][* 부산 관측 기준으로 잡은 추정치. 그러나 부산도 관측에 최적인 장소가 아닐 것이다. 서울에서는 관측하지 못한다.]|| ||2040년 10월 20일||[[해왕성]]||3:26~4:18|| ||2041년 1월 10일||해왕성||20:09~20:40[[https://in-the-sky.org/news.php?id=20410110_16_100&town=1838524|#]][* 이 엄폐는 남부지방에서만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041년 2월 23일||[[드슈바]]||3:06~4:17|| ||2041년 4월 16일||목성||월출~19:51|| ||2041년 5월 13일||목성||21:56~23:10|| ||2041년 5월 16일||드슈바||21:50~22:32|| ||2042년 3월 4일||화성||4:45~5:05[[https://in-the-sky.org/news.php?id=20420303_16_100|#]]|| ||2042년 3월 14일||안타레스||4:56~5:47|| ||2042년 6월 3일||안타레스||23:12~0:07[* 참고로 이 이후로부터 2046년까지 엄폐가 아예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해당 엄폐들이 전부 낮에 일어나기 때문에 관측이 매우 힘들 것이다.]|| ||2046년 10월 4일||안타레스||18:03~18:43[*불가능]|| ||2048년 6월 26일||토성||22:55~0:12|| ||2050년 9월 7일||해왕성||3:36~4:57|| ||2050년 10월 21일||해왕성||21:08~21:44|| ||2051년 1월 21일||해왕성||18:46~19:55|| ||2052년 11월 8일||알데바란||20:46~21:35|| ||2053년 1월 2일||알데바란||19:47~20:17[[https://in-the-sky.org/news.php?id=20530102_16_100|#]]|| ||2053년 7월 12일||알데바란||4:36~5:21|| ||2053년 10월 2일||알데바란||1:06~1:47|| ||2054년 5월 9일||알데바란||19:18~20:17[*부분적]|| ||2054년 12월 19일||레굴루스||23:22~0:20|| ||2055년 1월 10일||알데바란||18:34~19:43|| ||2055년 5월 5일||레굴루스||1:06~1:55|| ||2057년 12월 10일||해왕성||18:07~19:01[*부분적]|| ||2058년 1월 6일||해왕성||1:16~2:03|| ||2058년 6월 8일||눈키||22:31~23:24|| ||2058년 8월 2일||눈키||19:29~20:37[*부분적]|| ||2058년 12월 25일||토성||19:58~21:21|| ||2059년 1월 31일||화성||5:50~6:23[[https://in-the-sky.org/news.php?id=20590131_16_100|#]]||}}} [[소행성]]이 [[별]]을 엄폐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소행성의 크기가 행성에 비해 작기 때문에 [[위도]]에 따라서 배경의 별을 가리는 시간이 크게 차이가 나며, 엄폐를 관측할 수 있는 곳이 한정된다. 여기서 각 위도에서 관측한 엄폐 시간을 계산해서 소행성의 크기와 모양을 측정하기도 한다. 다만 이것도 자주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다. 달이 수성을 엄폐하는 현상은 자주 일어나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엄폐[* 시간대가 일출 전, 일몰 후인 것들]는 많지 않다. 전 세계로 범위를 넓혀도 2028년 2월까지는 관측이 불가능하며 한국에 한정하면 '''2100년까지 관측할 수 없다.''' [[분류:천문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