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의 그림자 내각 구성원)] ---- [include(틀:역대 영국 노동당 당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479 0%, #003479 20%, #003479 80%, #003479)" '''{{{#fff 영국 초대 에너지기후변화부장관}}}[br]{{{+1 에드워드 사무엘 밀리밴드}}}[br][[The Right Honourable|{{{#fff Rt Hon.}}}]] Edward Samuel Miliband'''}}}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479 0%, #003479 20%, #003479 80%, #003479)" [[영국 서민원|{{{#fff '''MP'''}}}]]}}}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드 밀리밴드 2020년 공식 프로필.jpg|width=100%]]}}}|| ||||<:>'''{{{#fff 본명}}}'''||Edward Samuel Miliband[br]에드워드 사무엘 밀리밴드|| ||||<:>'''{{{#fff 국적}}}'''||[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2> '''{{{#fff 출생}}}''' ||[[1969년]] [[12월 24일]] ([age(1969-12-24)]세) || ||[[영국]] [[런던]] 피츠로비아 || ||||<|2> '''{{{#fff 재임기간}}}''' ||초대 에너지기후변화부장관 || ||[[2008년]] [[10월 3일]] ~ [[2010년]] [[5월 11일]] || ||||<:>'''{{{#fff 학력}}}'''||[[옥스퍼드 대학교]] {{{-1 (PPE , 심리학 / [[학사]])}}} [br][[런던 정치경제대학교]] {{{-1 (경제학 / [[석사]]) }}} || ||||<:>'''{{{#fff 직업}}}'''||[[정치인]]|| ||||<:>'''{{{#fff 정당}}}'''||[include(틀:노동당(영국))]|| ||||<:>'''{{{#fff 종교}}}'''||[[무종교]]|| ||||<:>'''{{{#fff 지역구}}}'''||[[동커스터 노스]]|| ||||<:>'''{{{#fff 의원 선수}}}'''||'''5'''|| ||||<:>'''{{{#fff 의원 대수}}}'''||54, [[제55회 영국 총선|55]], [[제56회 영국 총선|56]], [[제57회 영국 총선|57]], [[제58회 영국 총선|58]] || ||||<:> '''{{{#fff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Signature_of_Ed_Miliband.sv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노동당(영국)|노동당]]의 당수를 맡았던 [[영국]]의 정치인. [[런던]]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했다. [[폴란드]] 출신의 [[유태인]] 이민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런던정경대]]와 리즈대학교에서 [[마르크스 경제학]]을 가르쳤다. [[런던정경대]]에서 [[경제학]]석사를 마치고 방송에서 일하다가 2005년 정치에 입문하였다.[* 여담으로 아버지 롤프 밀리밴드는 전후 영국 역사학계의 거두였던 [[에릭 홉스봄]]과 절친한 친구이기도 했다] [[고든 브라운]]이 2007년 6월 27일 [[토니 블레어]]의 뒤를 이어 총리로 취임하자 입각 가능성이 높아졌고, 결국 다음날 랭캐스터 영지담당부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처음으로 내각에 입성했다. 이후 2008년 브라운 총리가 내각에 에너지기후변화부를 신설하면서 이 부처의 초대 장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시기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량을 2050년까지 80%로 올리겠다고 공언하고 다음해에는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엔 기후 변화 회의에 참여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갔지만 [[2010년 영국 총선|2010년 총선]]에서 브라운 총리가 패하고, [[보수당(영국)|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 대표가 연립정부를 구성해 새롭게 총리가 되면서 밀리밴드 역시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이후 이에 대해 책임을 지고 브라운이 대표직에서도 사퇴하면서 새롭게 대표 선거가 열리게 되었는데 형인 데이비드 밀리밴드를 누르고 [[노동당(영국)|노동당]] 역사상 가장 어린 당수로(40살) 선출 되었다. 대표 취임 후 기존의 강령을 수정하면서 블레어의 신 노동당(New Labour)를 수정해 좀 더 [[사회민주주의]] 노선으로 당의 방향을 옮겼다. 하지만 [[제56회 영국 총선|2015년 열린 총선]]에서 패배한데에 책임지고 당수직을 사퇴했다. 득표율은 5년전 총선 대비 올랐지만(29.1%→30.4%), 당의 전통적 지지 기반 중 하나였던 [[스코틀랜드]]의 대부분이 [[스코틀랜드 국민당]]에게 넘어가면서 의석수는 오히려 감소했다(258석→232석). 그의 뒤는 강경 좌파 성향인 [[제레미 코빈]]이 이었다. 영국에서 드문 경우는 아니지만 당대표로서 이끈 총선 패배한 이후에도 하원 의원으로 남아서 [[제57회 영국 총선|2017년 총선]]에서도 다시 출마해 당선되었다. [[제레미 코빈]]에 적대적인 [[토니 블레어]]와 달리 대체로 우호적인 평의원 (Backbencher)로 정치 활동을 하고 있다. 가끔씩 노동당 그림자 내각에 환경/에너지 장관으로 입각 루머가 오르내리는 정도. [[2020년]] [[4월 6일]]부로 그림자 내각 환경/에너지부 장관으로 선임되었다. 계속 서민원 의원 직을 유지하며 [[제58회 영국 총선|2019년 총선]]에도 출마했지만 레드 월[* 기존 노동당을 지지하던 영국-스코틀랜드 경계 인근 중북부지역]의 변절 속에서 득표율을 22.1%p나 잃으며 하마터면 노동당의 몰락과 함께 낙선할 뻔 했다. 그래도 보수당 카트리나 세일을 상대로 6.1%p, 단 2370표 차이로 겨우 지역구를 수성하며 간신히 의원직을 유지하게 됐다.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난 코빈의 후임으로 [[키어 스타머]]가 선출된 이후 2020년 4월 6일, 그림자 내각에 산업에너지기술전략부장관 후보자로 재선임되었다. == 형제 정치인 == 형 데이비드 밀리밴드도 노동당 정치인으로 대표 경선에서 맞붙어서 화제가 되었다. 데이비드는 동생에게 패배하고 몇 년 뒤 의원직을 사퇴했다. 아무래도 당을 이끄는 동생을 계속 보기가 껄끄러웠던 모양. 이후 [[선더랜드 AFC]]의 임원을 역임했지만, [[파시스트]] 의혹을 받는 [[파올로 디카니오]]의 감독 임명에 반발해서 여기서도 사퇴한 뒤 [[미국]]에 본부가 위치한 국제구호위원회(IRC) 의장 겸 CEO로 취임해 버렸다. 형 데이비드의 정치적 성향은 동생인 에드보다 온건한 성향으로 여겨진다. 애초에 형제의 당내 계파가 다르다. 형 데이비드는 [[제3의 길]]을 주장하던 [[토니 블레어]] 계열의 중도파이며, 동생 에드는 [[고든 브라운]] 계열로 분류된다. 흔히 블레어와 브라운을 노동당의 중도 노선을 대표하는 정치인들로 취급하지만 브라운이 블레어보다는 약간 더 좌측에 있다고 평가된다. 브라운 밑에서 전략가로 일했던 에드 밀리밴드는 그보다도 더 좌측으로 가겠다고 이야기하면서 당수로 선출되었다. 유럽에서 [[1990년대]]를 전후해 다시 정권을 잡았던 대다수의 중도좌파 정당들이 그렇지만, 강령을 "제3의 길"에서 다시 (물론 현실적인 수준의) 좌파로 수정하는 작업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점에서는 노동당도 예외는 아니다. 당권을 쥔 밀리밴드는 이 과정에서 블레어가 만든 신노동당(New Labour)이라는 슬로건을 폐기하였다. == 정치 성향 == [[https://en.wikipedia.org/wiki/One_Nation_Labour|일국 노동당]]을 내세우고 [[연성좌파(계파)|연성좌파]]로 분류되는 등 온건파에 가깝기는 하지만, 제3의 길을 주장했던 [[토니 블레어]]와 그의 전 당수인 [[고든 브라운]]보단 좌파적이다. [[동성결혼]]에 찬성하고 사회문제에 [[진보]]적이고 [[데이비드 캐머런]]의 긴축 경제 정책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현재 당수인 [[키어 스타머]]와 비슷한 정치 성향을 지니고 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락''' || '''비고''' || || 2005 || 제54회 영국 총선 ||<|5> [[동커스터 노스]] ||<|5> [include(틀:노동당(영국))] || '''17,531 (55.52%)''' || '''당선 (1위)''' || '''초선''' || || 2010 || [[제55회 영국 총선]] || '''19,637 (47.34%)''' || '''당선 (1위)''' || '''재선''' || || 2015 || [[제56회 영국 총선]] || '''20,708 (52.42%)''' || '''당선 (1위)''' || '''3선''' || || 2017 || [[제57회 영국 총선]] || '''25,711 (60.77%)''' || '''당선 (1위)''' || '''4선''' || || 2019 || [[제58회 영국 총선]] || '''15,740 (38.68%)''' || '''당선 (1위)''' || '''5선''' || == 여담 == * 배우자인 저스틴 손튼은 동갑이며 판사이다. 아이는 둘이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dailymail.co.uk/1E131E1D00000578-0-image-a-24_1428393950687.jpg|width=100%]]}}}|| * 얼굴이 이상하다는 이유로 영국 미디어에서 놀림을 많이 받았다. 심지어 노동당 당수에 당선되었을때 네티즌들로부터 총리가 될 얼굴이 아니라는 박한 평가를 받기도 했다. * 2021년 10월 27일, [[키어 스타머]] 노동당 당대표가 [[코로나 19]]로 인한 자가격리에 들어가면서[* 이후 확진 판정을 받았다.] 매주 수요일마다 진행되는 대총리질문(PMQ)에 노동당 당대표 대행 자격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물론 스타머 대표가 격리를 마친 후 복귀하면서 다시 직접 PMQ에 참여하면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58대 영국 국회의원/노동당)] [[분류:영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69년 출생]][[분류:캠던 출신 인물]][[분류:영국 노동당 당수]][[분류:영국의 무종교인]][[분류:폴란드계 영국인]][[분류:제58대 영국 서민원 의원]][[분류:유대계 영국인]][[분류: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출신]][[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