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LG 트윈스]]의 전 외국인 투수 == [include(틀:LG 트윈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LG 트윈스 개막전 선발 투수)] ---- ||<-2>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209040450774366_1.jpg|width=100%]] || ||<-2> [[LG 트윈스]] 시절. || ||<-2> [[파일:external/epmghispanic.media.lionheartdms.com/EdgarGonzalezAstros_Pirates_Baseball_.JPEG-0e326_t750x550.jpg|width=100%]] || ||<-2> [[휴스턴 애스트로스]] 시절 || || '''이름''' || 에드가르 헤라르도 곤살레스 엘리손도 [br] (Édgar Gerardo González Elizondo) || || '''출생''' || [[1983년]] [[2월 23일]] ([age(1983-02-23)]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2000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자유계약 || || '''소속팀'''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2003~2008) [br] [[오클랜드 애슬레틱스]](2009~2010.1) [br] [[LG 트윈스]] (2010.1~2010.5) [br] [[탬파베이 레이스]] (2011) [br] [[콜로라도 로키스]] (2011) [br]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2) [br]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2) [br]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3) [br] [[휴스턴 애스트로스]](2013) || ||<-5>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fff 등번호 54번}}}''' || || [[이승우(1988)|이승우]](2007~2009) || → || '''곤잘레스(2010)''' || → || [[벤자민 주키치|주키치]](2011~2013) || [[LG 트윈스]]가 2010 시즌 초반 꽤 많은 기대를 받고 영입한 [[외국인 선수|외국인 투수]]. 특히, 뛰어난 활약을 보여줬던 [[로베르토 페타지니]]를 포기하고서 영입했던지라 그 기대가 더했다.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마이너리그]]에서 779이닝을 던지면서 볼넷이 182개뿐이라 꽤 제구가 좋으리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실력이 있어도 체력이 안 따르면 소용이 없다. [[멕시코 태평양 리그|멕시칸리그]]에서 완투와 완봉을 거듭하고 지친 몸인지라 제대로 뛸 수 없었으며, 그 결과 9경기 선발 '''무승''' 6패 [[평균자책점]] 7.68을 찍고 방출되었다. [[톰 션]]에 버금가는 최악의 투수 스탯. 타 팀 선수들이 "노리는 척 하고 있다가 그냥 공을 보내면 흥분하는게 눈에 보였다"라고 평가했을 정도로 심리전에 약한 모습을 보였다. 5월까지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결국 [[웨이버 공시]]되어 방출되었다. 한편, 이 선수를 버리고 새로 영입한 선수가 좌완 [[필 더마트레]](필 더마트레이트라고도 읽는 듯하지만 등록명을 이렇게 정했다고 한다)인데, 부상 경력이 많은지라 LG 팬들의 심장이 또 까맣게 타 들어갈 듯. 그리고 데뷔전인 5월 27일 잠실 KIA전에서 '퐈이야!' 2010년 4월 25일 [[한화 이글스|한화]]전에서 [[호세 카페얀]]과 [[용병]] [[단두대 매치]]를 가졌다. 이때는 6이닝 1안타 무실점을 기록했지만, 0:0 상태에서 마운드에서 내려오는 바람에 승리를 기록하지 못했다.[* 단 이 때 카페얀의 경우 아직 [[단두대 매치]]에 들어갈 만큼 막장이 아니었다. 눈에 보이는 성적과 실제 내용이 많이 다른 선수다.] 결국 5월 부로 [[웨이버 공시]]되어 퇴출된다. 이후 멕시코 리그의 몬테레이 술탄즈. 이후 LA 다저스, 앨버쿼키 아이소톱스[* 다저스 산하 AAA팀] 등 여러 팀에서 뛰다가 2011년 시즌 [[탬파베이 레이스]]. 뒤이어 같은 메이저리그 구단인 [[콜로라도 로키스]]와 계약했다. 그리고 2011년 11월 3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어 2012 시즌에도 마이너리그에서 [[http://en.wikipedia.org/wiki/%C3%89dgar_Gonz%C3%A1lez_%28pitcher%29|활동하게 되었다.]] 한국에서의 실패 원인에 대해 [[박종훈(1959)|박종훈]] 감독이 밝히길, 구단의 동계훈련 합류 권고를 무시하고 '나 멕시칸리그 구단주랑 친구라 2월말까지 거기서 뛴다' 고 하는 바람에 전훈에 3월 되기 직전에야 합류했고, 게다가 멕시칸 리그에서 완투완봉을 해대는 등[* 7경기 7선발 37.2이닝으로 그렇게 완투완봉을 해댄 것은 아니다. 참고로 ERA는 2.87로 준수했고 승패는 4승 1패.] 몸을 제대로 혹사했다고 한다. 이 때 언론에서는 LG의 특급용병 에드가 곤잘레스가 멕시칸리그에서 맹활약한다고 포장했지만, 이 소식을 접한 LG [[프런트]]와 박종훈 감독은 냉가슴만 앓아야 했다. 그리고 나서 뒤늦게 합류한 곤잘레스는 이미 몸 상태가 엉망진창으로 떨어져 있었고 남은 훈련기간 동안 팔스윙이 상당히 내려가 있었는데, 이게 오랜 기간 혹사한 [[투수]]에게서 드러나는 '''데드 암''' 증세다. 거기에 뒤늦게 도착한 [[스프링캠프]] 첫 날 자기 짐을 풀다 면도칼에 손까지 베였다. 그래서 훈련은 더더욱 부족했고, 당연지사 시즌 들어간 이후 그야말로 박살날 수밖에 없었다. 훈련 부족에 몸은 이미 한 시즌 중반을 넘게 치른 지친 몸. LG가 엄청난 오버페이를 하면서 구한 용병인 이상 실력은 충분했겠지만, 이와 관계없이 몸이 안 따르니 당연히 실패할 수밖에. [[카더라]]에 의하면 LG가 곤잘레스에게 엄청난 오버페이를 하느라 두 번째 용병은 일본의 퇴물인 [[오카모토 신야]]를 싸게 테스트해서 영입할 수밖에 없었다고 하는데 그만큼 큰 기대를 가지고 영입한 선수라는 듯. 이듬해에는 [[두산 베어스]]가 영입한 [[라몬 라미레즈(1982)|라몬 라미레즈]]가 비슷한 증상을 보여 1군에서 써먹지도 못하고 퇴출됐다. 그리고 2010년 시즌이 끝나고 [[LG 트윈스]]는 발빠르게 [[벤자민 주키치]] & [[레다메스 리즈]] 두 명을 영입하면서, 이들에게 계약서로 확실하게 표기한 것 중 하나가 팀의 동계훈련에 무조건 빨리 합류해서 호흡을 맞춘다는 의무조항까지 삽입했다. 만약 팀 합류 이전에 멕시칸 리그 혹은 도미니칸 윈터리그에 임의대로 참석해 뛰거나 하는 등 약속을 어길 경우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계약취소라는 강수까지 두고 도장을 찍게 했다. 거기에 연봉과 각종 옵션과는 별개로 윈터리그에 참석해 벌 수 있는 만큼의 돈을 훈련수당으로 두 투수에게 지급했다. 2011 시즌 LG 외국인 투수들의 선전에는 에드가 곤잘레스의 반면교사도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2011년에는 두 외국인 투수들 모두 10승 이상을 챙겼고, 2012, 2013년에도 재계약해서 준수한 활약을 보였다. 그리고 LG는 2013 시즌 [[6668587667|10년간의 비밀번호]]를 끊고 마침내 가을 야구 진출에 성공한다.]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중 당연히 4강까지 진출할 줄 알고 샌프란시스코에서 벌어진 경기를 관람하러 간 한 한국인 유학생이 한국 유니폼을 입고 있다가 우연히 곤잘레스의 친구라는 사람을 만나게 되었는데, 그 친구에 따르면 곤잘레스는 한국에서의 부진에 대해 굉장히 아쉬워하고 미안해하는 말을 많이 했다고 카더라.... 헌데 그렇다면 LG랑 계약했을 때 일찍 전훈 참가하고 몸을 열심히 만들었어야지 자기 멋대로 멕시칸 리그 뛰면서 몸 망가뜨리고 정작 [[LG 트윈스|LG]]에선 민폐나 끼쳐넣고 저런 말을 하는 거 자체가 LG팬들 입장에선 [[환장|되레 속 뒤집어질 일]]이며 아예 소송이나 안 걸린 게 천만다행 수준. 물론 본인이 그때 일을 후회하고 있다는 뜻도 되긴 하지만 그걸 이해해줄 야구팬은 없다. 2020년 전세계가 코로나로 야구경기가 중지된 상황에서 멕시코에 엘지의 새 외국인 타자인 [[로베르토 라모스]]의 활약이 소개되었고 멕시코 언론을 통해 라모스를 응원하였다. 라모스가 어렸을때부터 알고 지냈다고. 여담으로 기사에 따르면 한국에 있었을때 가르시아에게 속아 개고기를 먹은 적이 있다고 한다. [[https://m.sports.naver.com/news.nhn?oid=529&aid=0000042915|#기사]] 2021년 현재 멕시칸 리그의 엘 아귈라 데 베라크루즈에서 뛰고 있다고 한다. 꽤 나이를 먹은 후에도 고국에서 꾸준히 뛰고 있다. == 멕시코계 미국인 내야수 == ||
'''이름''' ||Edgar Victor Gonzalez || ||<|2> '''출생''' ||[[1978년]] [[6월 14일]] ([age(1978-06-14)]세) ||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 '''포지션''' ||[[내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0년 드래프트 30라운드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지명 || || '''소속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2008~2009) [br] [[요미우리 자이언츠]](2010, 2012) || [[아드리안 곤잘레스]]의 형으로, 2008년부터 2년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동생과 함께 활약하였고 [[일본프로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외국인 선수로도 뛰었다.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멕시코]] 대표로 출전하여 [[이탈리아]]전에서 좌익수로서 [[히 드랍 더 볼]]을 저지르기도 했다. [각주] [[분류:멕시코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1983년 출생]][[분류:몬테레이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샌디에이고 출신 인물]][[분류:1978년 출생]][[분류:내야수]] == [[에드가르 곤살레스|스페인 국적의 축구선수]] == [[에드가르 곤살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