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 에드문트 코넨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클럽'''}}} || || [[틀:바이어 04 레버쿠젠 감독(1대~40대)|[[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32221; font-size: 0.9em" [[틀:바이어 04 레버쿠젠 감독(1대~40대)|{{{#ffffff '''레버쿠젠'''}}}]]}}}[br]{{{-2 6대}}}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 에드문트 코넨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파일:실버슈.png|height=50|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31A3C; font-size: 0.9em" {{{#ffffff '''FIFA 월드컵 실버슈 1934'''[* [[안젤로 스키아비오]]와 공동 득점 2위. 골든슈, 실버슈, 브론즈슈는 1982년부터 수여했으므로 비공식 상.]}}}}}}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독일의 前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mund Conen.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에드문트 코넨'''}}}[br]'''Edmund Conen''' || ||<-2> {{{#000000,#e5e5e5 '''출생'''}}} ||[[1914년]] [[11월 10일]] [br]{{{-1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라인란트]]주 [[위르치히]][[독일 제국|[[파일:독일 제국 국기.svg|width=28]]]] [[프로이센 왕국|[[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svg|width=28]]]]}}} || ||<-2> {{{#000000,#e5e5e5 '''사망'''}}} ||[[1990년]] [[3월 5일]] (향년 75세) [br]{{{-1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레버쿠젠]]}}} || ||<-2> {{{#000000,#e5e5e5 ''' 국적 ''' }}} ||[[독일]]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2> {{{#000000,#e5e5e5 ''' 신체 ''' }}} ||178cm / 76kg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공격수]]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1. FC 자르브뤼켄|FV 03 자르브뤼켄]] (1931~1935)[br][[슈투트가르트 키커스]] (1938~1943)[br][[FC 뮐루즈]] (1943~1944)[br]HSV 그로스 본 (1944)[br]SG 헤름스도르프 (1945)[br]슈투트가르트 키커스 (1945~1950)[br]FC 영 펠로우스 취리히 (1950~1952) || || {{{#000000,#e5e5e5 ''' 감독 ''' }}} ||[[슈투트가르트 키커스]] (1950)[br]FC 영 펠로우스 취리히 (1950~1952)[br]{{{-1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1952~1956)}}}[br][[부퍼탈 SV]] (1956-1957)[br][[바이어 04 레버쿠젠]] (1957~1959)[br]SV 슐레부쉬 (1964)[br]BV 오플라덴 (1970~1973)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28경기 27골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934~1942)^^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드문트의 애칭인 에드 또는 롤리라는 별명으로 불린 독일의 센터 포워드. [[펠레]]와 더불어 10대의 나이에 [[FIFA 월드컵]]에서 [[해트 트릭]]을 기록한 두 명 중 한 명이다.[* 월드컵에서 10대 유망주면 웬만큼 대단한 실력이 아닌 한 큰 무대 경험을 시켜주기 위해 명단에만 올려놓는 경우에 그치지 주전으로 쓰는 경우는 매우 희귀하다. 비록 월드컵의 초창기라곤 해도 10대 시절부터 국가대표팀의 주전 자리를 차지하고 월드컵에서 해트 트릭까지 했다는건 정말 대단한 일이다.]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선수 생활 === ==== 클럽 ==== 코넨은 1931년부터 [[1. FC 자르브뤼켄|FV 자르브뤼켄]]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소속팀의 전력이 별 볼 일 없었지만 코넨의 기량은 어릴 때부터 출중해서 19살의 나이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었고, 1934-35 시즌에는 팀을 남서부 가울리가[* 가울리가는 나치 독일 시대의 독일 최상위 축구 리그로 각지의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들을 모아 다시 리그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에까지 진출시켰다. 하지만 1934년 [[SV 베르더 브레멘]]으로의 이적 과정에서 [[독일 축구 연맹]]의 개입으로 이적이 무산되었다. 사유는 금전 거래. 당시 독일 축구계는 철저히 아마추어리즘을 신봉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다코스타 증후군[* 일종의 [[신경증]]으로 심장병과 증세가 비슷하다고 한다.] 증상으로 선수 생명에 위기가 찾아오기도 했다. 결국 3년반이 지난 1938년에서야 옛 코치인 오시 뮐러에 의해 [[슈투트가르트 키커스]]에 복귀할 수 있었고 슈투트가르트 키커스에서 골잡이로서 팀을 이끌었다. 이 기간 키커스는 가울리가 뷔르템베르크에서는 4년 연속 우승을 했지만 본선에서는 유독 약한 모습을 보였다. 단 한 번도 1라운드 통과를 하지 못한 것. 코넨은 키커스 소속으로 가울리가 등 중요 13경기에서 13골을 넣었지만 그게 끝이었다. 그래도 자르브뤼켄 시절 주들 간의 올스타전과 같은 캄프스필-포칼에서는 남서부 지역 대표로 참가하여 우승한 기록은 있다. [[제2차 세계 대전|2차 대전]] 중에는 FC 뮐루즈[* [[아스날 FC]]의 명감독 [[아르센 벵거]]가 선수 생활을 시작한 팀이다.], HSV 그로스 본, 헤름스도르프에 잠시 머무르기도 하였고 전후에 다시 키커스에 복귀하였다. 키커스에서는 1950년까지 활동하였으며 전후 5년간 129경기 57골의 기록으로 [[노익장|노장의 힘]]을 보여주었고 특히 48년에는 18골을 넣어 팀 내 득점 2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코넨은 1934년 1월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를 상대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에 데뷔하였고 데뷔골도 기록하였다. 그는 이 활약을 바탕으로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월드컵]]에도 모습을 보였다. [[슈타니슬라우스 코비에르스키]], [[에른스트 레너]], [[카를 호만]], [[오토 지플링]]과 유럽 수위급의 공격 편대를 대표팀에서 구축하였고 독일은 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다만 [[아돌프 히틀러|단 한 사람]]이 성적에 만족하지 못한 게 문제였다~~ 코넨의 활약 중 [[백미]]는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라운드#s-1.7|1라운드]]에서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를 상대로 기록한 [[해트 트릭]]이었다. 후반 21분까지 2대2로 맞선 상황에서 단 21분만에 코넨이 3골을 넣어 승부의 추를 순식간에 독일로 기울였는데 월드컵 통산 5번째 해트 트릭이었고 10대 선수가 기록한 최초의 해트 트릭이었다. 하지만 상술했듯 다코스타 증후군으로 인해 국가대표 커리어 역시 중단되었고 1939년에서야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를 상대로 복귀전을 치렀다. 여기서도 득점을 기록한 코넨의 활약으로 독일은 2대0의 승리를 챙겼다. 코넨의 마지막 경기는 1942년의 헝가리전이었고, [[프리츠 발터]]와 함께 1대3의 패배 위기에서 5대3의 역전극을 써내 감독 [[제프 헤어베어거]]를 경질 위기에서 구해냈다. 코넨은 8년간의 국가대표 생활 동안 28경기에 출전하여 27골을 기록하였다. === 감독 생활 === 1950년 [[슈투트가르트 키커스]]의 [[선수 겸 감독]]이 된 코넨은 그 해 키커스에서의 생활을 마무리하고 스위스의 영 펠로우스 취리히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선수 커리어의 마지막을 보냈다. 그 이후 감독 생활에서의 주요 이력은 [[부퍼탈 SV|부퍼탈]]과 [[TSV 바이어 04 레버쿠젠|레버쿠젠]]의 감독으로 부퍼탈 시절에는 [[호어스트 시마니아크]]같은 재능 있는 선수들이 많았지만 더 높은 곳으로 팀을 이끌지는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2009년에 발간된 잡지 11 Freunde(11명의 친구들)에서는 그를 [[그레이 하운드]]처럼 유연하고 가치 있는 선수이며, 빠르고 강력했다고 평가했다. 코넨이 독일 국가대표팀에서 남긴 28경기 출전 27골의 기록은 [[게르트 뮐러]]를 제외하면 25골 이상 득점자 중에서는 가장 높은 경기당 득점 기록이다. == 뒷이야기 == * 코넨은 A매치에서 총 5회 해트 트릭을 기록하였다. 4골을 넣은 경기도 2번 있었다. == 수상 == === 클럽 === * 가울리가 뷔르템베르크 우승 4회: 1938-39, 1939-40, 1940-41, 1941-42([[슈투트가르트 키커스]]) === 국가대표 === * [[FIFA 월드컵]] 3위 1회: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 === 개인 === * [[DFB-포칼|참메르포칼]] 득점왕 1회: 1941(슈투트가르트 키커스) * [[FIFA 월드컵]] 실버슈 1회: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 === 감독 === * 니더작센리가 아마추어 리그 우승 1회: 1952-53([[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각주] [[분류:1914년 출생]][[분류:1931년 데뷔]][[분류:1952년 은퇴]][[분류:1990년 사망]][[분류:라인란트팔츠 주 출신 인물]][[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독일의 축구감독]][[분류:1. FC 자르브뤼켄/은퇴, 이적]][[분류:슈투트가르트 키커스/은퇴, 이적]][[분류:FC 뮐루즈/은퇴, 이적]][[분류:슈투트가르트 키커스/역대 감독]][[분류: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역대 감독]][[분류:부퍼탈 SV/역대 감독]][[분류:바이어 04 레버쿠젠/역대 감독]][[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선수 겸 감독/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