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75년 1월 15일생 동명이인 야구 선수, rd1= 에드윈 디아즈(1975))] [include(틀:뉴욕 메츠/로스터)] ||
'''{{{#FFFFFF 에드윈 디아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8년|{{{#ffffff 2018}}}]]'''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ffffff 2022}}}]]'''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마리아노 리베라 상}}}''' || || [[크레이그 킴브럴]][br]([[보스턴 레드삭스]]) || → || '''에드윈 디아즈[br]([[시애틀 매리너스]])''' || → || [[아롤디스 채프먼]][br]([[뉴욕 양키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트레버 호프먼 상}}}''' || || [[조시 헤이더]][br]([[밀워키 브루어스]]) || → || '''에드윈 디아즈[br]([[뉴욕 메츠]])''' || → || [[데빈 윌리엄스]][br]([[밀워키 브루어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세이브왕}}}''' || || [[알렉스 콜로메]][br]([[탬파베이 레이스]]) || → || '''에드윈 디아즈[br]([[시애틀 매리너스]])''' || → || [[로베르토 오수나]][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include(틀:2022 All-MLB 퍼스트 팀)] ---- ||<-5> '''{{{#C4CED4 [[시애틀 매리너스|{{{#C4CED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39번}}}''' || || 카슨 스미스[br](2014~2015) || {{{+1 →}}} || '''에드윈 디아즈[br](2016~2018)''' || {{{+1 →}}} || [[셰드 롱 주니어]][br](2019)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39번}}}''' || || 제리 블레빈스[br](2016~2018) || {{{+1 →}}} || '''에드윈 디아즈[br](2019~)'''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win_Diaz_New_York_Mets.jpg|width=100%]]}}} || ||<-2> '''뉴욕 메츠 No.39''' || ||<-2> '''{{{+2 에드윈 디아즈}}}[br]Edwin Díaz''' || || '''본명''' ||에드윈 올랜도 디아스 라보이[br]Edwin Orlando Díaz Laboy || ||<|2> '''출생''' ||[[1994년]] [[3월 22일]] ([age(1994-03-22)]세) || ||나구아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include(틀:국기, 국명=푸에르토리코)]) || || '''학력''' ||카과스 유년사관학교 || || '''신체''' ||190cm / 74kg || || '''포지션''' ||'''[[마무리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2 MLB 신인드래프트|2012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98번, [[시애틀 매리너스|SEA]]) || ||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2016~2018)'''[br]'''[[뉴욕 메츠]] (2019~)''' || || '''계약''' ||2023 - 2027 / $102,000,000[*option club option for 2028 for $20M, can opt-out after 2025] || || '''연봉''' ||2024 / $17,250,000 || || '''등장곡''' ||'''[[Blasterjaxx]] & [[Timmy Trumpet]] - 《Narco》'''|| || '''가족''' ||동생 [[알렉시스 디아스]] || || '''SNS''' ||[[https://www.instagram.com/sugardiaz3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ugarDiaz39)]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루 마무리.gif|width=100%]]}}} || [[뉴욕 메츠]] 소속의 마무리 투수. 메이저리그 역대 불펜투수 최초로 1억 달러 계약을 넘어선 선수이다.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3> '''{{{#FFFFFF 에드윈 디아즈의 선수 경력}}}''' || ||<-3> '''통합 선수 경력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 || ||<-3>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3.2|'''{{{#c4ced4 2016년}}}''']]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3.3|'''{{{#c4ced4 2017년}}}''']]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3.4|'''{{{#c4ced4 2018년}}}''']] ||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4.1|'''{{{#ff5910 2019년}}}''']]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4.2|'''{{{#ff5910 2020년}}}''']]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4.3|'''{{{#ff5910 2021년}}}''']] ||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4.4|'''{{{#ff5910 2022년}}}''']]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4.5|'''{{{#ff5910 2023년}}}''']] || [[에드윈 디아즈/선수 경력#s-4.6|'''{{{#ff5910 2024년}}}''']] || == 등장곡 == [[마리아노 리베라]], [[트레버 호프먼]] 등 유명 마무리 투수들이 그랬듯이,[* 리베라는 [[메탈리카]]의 [[Enter Sandman]], 호프먼은 [[AC/DC]]의 [[Hells Bells]]. 국내에서는 [[오승환]]이 [[N.EX.T]]의 [[Lazenca, Save Us]]로 유명했다. ] 디아즈도 마운드에 등판할 때마다 자신만의 등장곡을 트는데, 심히 멋지고 웅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https://twitter.com/SNYtv/status/1556420701392969728|트위터]], [[https://www.facebook.com/SNY/videos/edwin-d%C3%ADaz-entrance/353497860329235/|페이스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MEy3t_xJbY?si=2ZnjmSBDUIlG8NBv)]}}}||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iD6FCxzPnU?si=A4DWBZXdbEYogczU)]}}}|| 이 노래는 '''[[Blasterjaxx]] & [[Timmy Trumpet]]의 Narco'''라는 곡이다. 매리너스 시절부터 지금까지 쭈욱 등장곡으로 써오고 있다. 2022년 8월 31일 [[시티 필드]]에서 열린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홈경기에서는 원곡자인 티미 트럼펫이 등장곡을 직접 연주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BYSp2pzP0Y)]}}}|| 호주 출신인 티미는 이 경기 이전까지는 야구에 완전 문외한이었지만[* 우리나라야 [[호주 야구 리그]]가 [[질롱 코리아]]의 영향으로 인지도가 있기야 하지만 호주 현지에서는 야구의 기원으로 보는 종목인 [[크리켓]]에 밀려 인지도 및 인기가 다소 적은 편이다.], 이 시리즈에서 시티 필드의 열광적인 분위기에 크게 감명을 받은 듯 평생 동안 메츠 팬이 될 것임을 선언하기도 하였다. 또한 메츠가 월드 시리즈에 진출해 등장곡이 울려지기를 바란다는 희망을 내비쳤다. 한편, 이 날 한국의 [[SPOTV]] 중계에서는 이례적으로 이닝 교대 시간에 광고를 틀지 않았고 국내 시청자들도 해당 장면을 볼 수 있었다.[[https://youtu.be/-kpzq-gX9ao|SPOTV 중계 장면]][* 이 영상은 원래 링크가 삭제되어 백업본이다.][* 당시 경기를 중계하던 [[김형준(기자)|김형준]] 해설위원의 사전 요청으로 가능했다고 한다. 이 3연전은 원래 다저스 중계인 Spectrum Sportsnet LA 피드를 받기로 했지만 김 위원이 [[제이콥 디그롬]]의 선발 경기인 2차전만큼은 메츠 중계인 SNY의 피드를 받아 달라고 요청했고 [[https://youtu.be/Lwli83jFT4s?t=329|#]] 결국 9회 시작 전 티미의 Narco 라이브 연주를 끊김 없이 볼 수 있게 되었다.] [[MLB The Show]] 23에서 [[시티 필드]] 홈 경기 중 에드윈 디아즈를 교체 투입할 경우, 불펜에서 걸어나오는 뒷모습의 앵글과 함께 Narco가 흘러나오도록 [[https://youtu.be/xXr13EdjL5Y?si=AQs5dvfw6UyRp41u|전용 컷씬]]을 만들었으나, 정작 디아즈는 부상을 당해 시즌을 통으로 날려버렸다.. 국내 야구팬 한정으로, 이 곡은 [[KIA 타이거즈]] 소속 외야수 [[소크라테스 브리토]]의 [[https://www.youtube.com/watch?v=CJzlCOpV--A|응원가]]로 더 유명하다. 디아즈가 등장곡으로 쓴 게 훨씬 빠르지만 국내에는 KBO의 인기가 MLB의 인기보다 훨씬 많기 때문.[* 게다가 디아즈가 처음 등장곡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던 전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가 더더욱 비인기 팀이기도 하다. ] 그래서 유튜브 댓글창에 보면 대부분이 디아즈 이야기로 도배되어 있을 정도다.[* 또다른 에피소드로, [[LG 트윈스]]의 투수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이 딱 하루 한정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인 에드윈 디아즈의 등장곡을 똑같이 쓴 날이 있었는데, 이 사정을 모르는 일부 팬들은 갑자기 왜 [[소크라테스 브리토|소크라테스]] 응원가가 나오냐며 당황하기도 했다.] 야구 예능 프로그램인 [[최강야구]]에서는 [[정현수(야구선수)|정현수]]의 등장곡이기도 해서,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와의 직관경기에서 선발 등판을 위해 마운드로 올라갈 때 디아즈를 오마주하여 외야에서 등장한 적이 있다. [[https://youtu.be/7aQ-rwuRQWI?si=Bj5TzsM9tlL81aEq|JTBC 최강야구 공식영상]]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아즈신.gif|width=100%]]}}} || || '''101마일 포심 패스트볼''' || [[쓰리쿼터]]에서 나오는 '''평균 99마일, 최고 103마일'''[* 2022년 9월 1일 17구, [[개빈 럭스]] 상대로 기록했다. 다만 정확한 최고 구속은 102.8마일로 정정되었다.]의 포심 패스트볼과 93마일의 슬라이더가 주무기인, 전형적인 직슬 투피치의 강속구 마무리이다. 구위가 엄청나서 슬라이더의 구종가치가 통산 50에 달하며, 탈삼진율이 '''매우''' 높다. (2023년 기준 통산 9이닝당 탈삼진 14.8개) 엄청난 구위에 비해 제구력에 있어선 다소 기복이 있는 편이다. 1이닝 3K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날도 있지만, 제구가 전혀 되지 않아 선두타자 안타나 볼넷으로 시작해 크게 한방 얻어맞고 실점하거나 간신히 막아내는 경기도 많아서 안정감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구력의 개선이 앞으로의 과제인 상황. 또한 매리너스의 [[세이프코 필드]], 메츠의 [[시티 필드]] 모두 드넓은 구장을 홈으로 쓰면서도 피홈런이 많은 문제도 잔존했다.[* 특히 2019년에는 HR/FB(플라이볼 대비 홈런비율)이 27%에 육박했다. 플라이 10개 중 3개 가까이가 홈런으로 연결된다는 뜻. 같은 팀의 플라이볼 투수인 [[세스 루고]]와 비교하면 더 명확해지는데, 루고의 HR/FB율은 폭망한 20시즌을 포함해도 통산 12.4%에 불과하다. 98마일의 빠른 공과 두자리수의 높은 IFF 비율에서 볼 수 있듯이 분명 컨택이 어려운 공을 가지고 있지만 컨택으로 이어진다면 상당한 확률로 안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셈이다.] 2022년에는 슬라이더의 비율을 높이면서[* 기존에 6:4로 던지던 FB:SL 비율을 반대로 4:6 수준으로 바꾸었다.] 뜬공 허용을 획기적으로 줄였고 높은 삼진율을 되찾은 채 9이닝당 볼넷율은 안정적으로 줄이면서, 높은 BABIP(.330)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성적을 만들어 냈다. == 수상 내역 == ||
'''{{{#FFFFFF 수상 내역}}}'''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2회 (20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2022]])'''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마리아노 리베라]] 상 (2018)'''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트레버 호프먼]] 상 (2022)'''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세이브 1위 (2018)''' [br] [[파일:MLB 로고.svg|width=20]] '''[[All-MLB 팀|All-MLB]] 퍼스트 팀 (2022)''' ||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 현역 마무리 투수 중 [[켄리 잰슨]], [[크레이그 킴브럴]], [[아롤디스 채프먼]] 다음 세대의 스타 마무리 투수로 [[조시 헤이더]]와 함께 꼽히는 디아즈는 헤이더와 함께 명전 입성 떡밥이 존재하는 마무리 투수이다. 현역 마무리 투수 중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는 디아즈는 2018년과 2022년의 압도적인 임팩트로 인해 향후 명전 입성을 더욱 기대하게 만들고 있는 투수이다. 하지만 누적 세이브 개수가 206세이브로 명전감이라고 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아무리 최근 명예의 전당 투표 추세가 마무리 투수에게 호의적으로 바뀌었다고 해도 특별한 다른 요소가 없는 한 206세이브로는 명전 첫 턴 광탈감이기에 앞으로 디아즈가 명전 입성 가능성을 높이려면 최소한 400세이브 마일스톤은 달성해야지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평가받는다. == 여담 == * 2018년 시애틀의 [[스캇 서비스]] 감독은 디아즈가 50세이브를 기록하면 디아즈와 똑같은 헤어 스타일을 하겠다는 내기를 했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진짜로 디아즈가 50세이브에 도달하자]] 본인이 했던 [[https://sports.news.naver.com/wbaseball/news/read.nhn?oid=477&aid=0000136128|약속을 지켰다.]] * 홈런을 맞은 후에 손가락을 위로 드는 행동을 자주 한다. 기자가 물어보니 본인은 뜬공인줄 알았다고. 대표적으로 2021년 7월 [[피츠버그 파이리츠]] 원정경기에서 [[제이콥 스탈링스]]가 몸쪽으로 꽤 붙은 98마일 패스트볼을 그대로 잡아당겨서 넘겨 버리는 [[https://youtu.be/0HDKqSO9oIw?t=126|끝내기 역전 만루홈런]]과 [[https://youtu.be/4lihEvmiRns|하퍼의 비거리 135m 문샷에도 손을 든 날]] 등이 있다. * 세 살 아래의 동생 [[알렉시스 디아스]]도 투수이고 2022년 [[신시내티 레즈]] 소속으로 메이저리그에 데뷔했다. 동생의 투구폼 또한 형 에드윈과 판박이 수준으로 똑같다. * [[크로우즈]]의 [[하나자와 사부로]], 통칭 [[제튼]]과 똑같이 생겼다. 바다 건너 [[일본프로야구|NPB]]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의 투수 [[오타 타이세이]]와도 닮았다.[* 이 둘은 보직도 같은 [[마무리 투수]]일 뿐더러 플레이 스타일과 투구폼도 얼추 비슷하다. 다만 구속은 디아즈가 압도적으로 빠른데, 디아즈는 평균 99마일, 최고 103마일이지만 타이세이는 평균 95마일, 최고 99마일에 그친다. * 별명이 sugar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둘러보기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7년 7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구원 투수 상}}}''' || || [[로베르토 오수나]][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에드윈 디아즈[br]([[시애틀 매리너스]])''' || → || [[알렉스 콜로메]][br]([[탬파베이 레이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8년 4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구원 투수 상}}}''' || || [[아롤디스 채프먼]][br]([[뉴욕 양키스]]) || → || '''에드윈 디아즈[br]([[시애틀 매리너스]])''' || → || [[블레이크 트라이넨]][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8년 6월 ~ 8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구원 투수 상}}}''' || || [[블레이크 트라이넨]][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에드윈 디아즈[br]([[시애틀 매리너스]])''' || → || [[블레이크 트라이넨]][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6월 ~ 8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구원 투수 상}}}''' || || [[데이비드 베드나]][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 '''에드윈 디아즈[br]([[뉴욕 메츠]])''' || → || [[카밀로 도발]][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각주] [[분류:푸에르토리코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나과보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시애틀 매리너스/은퇴, 이적]][[분류:뉴욕 메츠/현역]][[분류:푸에르토리코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MLB 세이브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