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아프리카의 통화)] ኤርትራ ናቕፋ (에르트라 나크파, [[티그리냐어]]) نقفة إرتريا (나끄파 이리트리아, [[아랍어]]) [목차] == 개요 == [[에리트레아]]의 통화로, 이름의 유래는 홍해북도에 위치한 주도 [[낙파]]. [[ISO 4217]] 코드는 ERN, 보조단위로 센트(Cent)를 사용한다. == 상세 == 1997년 11월 8일에 [[에티오피아 비르]]를 1:1로 대체하기 위한 통화로 처음 등장했다. (다만 1994년 발행으로 인쇄되어 있다.) 발행처는 에리트리아 은행이지만 실질적으론 [[미국]]에서 제조, 배포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에서 하는 지는 불명.] 환율은 고정환율을 채택하고 있으며, 위같은 이유에서인지 [[미국 달러|달러]]에 페그되어있다. 정확히 15낙파/USD (약 85원 가량). 하지만 인플레는 거의 15%대를 넘어가는 막장상태라 지나치게 고평가되어 있다고 신용도가 계속 떨어지는 중이다. 특이하게 첫 발행 때인 1990년대부터 (1낙파 제외) 지폐 전 권종에 홀로그램이 부착되어있다.[*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위조방지장치를 홀로그램으로 사용하는 국가는 없었고 있다고 해고 일부 선진국에서만, 그것도 고액권에만 부착되었었다.] == 지폐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낙파/nakfa001.jpg|width=100%]] || 1ናቕፋ || 여자아이 셋 || 임시 학교 || || [[파일:attachment/낙파/nakfa002.jpg|width=100%]] || 5ናቕፋ || 소년, 청년, 노년 || [[자카란다]] 나무 || || [[파일:attachment/낙파/nakfa003.jpg|width=100%]] || 10ናቕፋ || 숙녀 셋 || 도갈리 강을 건너는 철도교 || || [[파일:attachment/낙파/nakfa004.jpg|width=100%]] || 20ናቕፋ || 여자아이 셋 || 한 해 농업의 모습 || || [[파일:attachment/낙파/nakfa005.jpg|width=100%]] || 50ናቕፋ || 여아...로 추정되는 셋 || 화물선 || || [[파일:attachment/낙파/nakfa006.jpg|width=100%]] || 100ናቕፋ || 독특한 여인 셋 || 본격 소로 농사짓는 모습 || * 동전은 1, 5, 10, 25, 50, 100센트가 있으나 최소 거래단위가 1낙파인지라 시중에선 거의 유통되지 않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에리트레아 관련 문서)] [[분류:통화]][[분류:에리트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