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리엔트 정교회)] [include(틀:총대주교좌)] || [[티그리냐어]] ||ቤተ ክርስትያን ተዋህዶ ኤርትራ[br](Tewahədo Bet'ə K'rstian Ertra) || || [[영어]] ||Eritrean Orthodox Tewahedo Church || [목차] [[https://www.oikoumene.org/member-churches/eritrean-orthodox-tewahedo-church|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회원 소개 (세계교회협의회)]] [[https://lisantewahdo.org/index.php/english|홈페이지 (암하라어)]] [[https://english.eritreantewahdo.org/|미국·캐나다 교구 홈페이지 (영어)]] [[https://english.eritreantewahdo.org/?sermons=canonized-books|정경 목록 (미국·캐나다 교구)]] == 개요 == [[오리엔트 정교회]]의 교파 중 하나. [[아스마라]](엔다 마리암 성당)에 [[총대주교]]좌를 보유하고 있다. 신도는 약 3백만. == 역사 ==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로부터 독립한 때인 1993년에 이 종파도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로부터의 독립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한테서 인정받았다. 즉, [[콥트 정교회]]에서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떨어져나가고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다시 에리트레아 정교회가 떨어져나간 셈. [[총대주교]]였던 [[https://en.wikipedia.org/wiki/Abune_Antonios|안토니오스]](1929~2022)가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정권의 탄압으로 2007년 파면되어 연금되었다. [[콥트 정교회]]와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는 안토니오스 총대주교의 파면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 뒤 정권에 의해 새로 옹립된 총대주교도 2015년 사망한 뒤에 공석이 지속되었다가 2021년 6월 [[https://en.wikipedia.org/wiki/Qerlos|케를로스]] 총대주교를 새로 앉히게 되었다. 하지만 케를로스 총대주교도 1년 반 만에 안식하는 바람에 또다시 공석이 됐다. == 정경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문단=3)]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도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구약성경 46권, 신약성경 35권으로 모두 81권을 정경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개신교는 물론 제2경전을 인정하는 가톨릭이나 정교회보다도 그 범위가 넓은 것이다. 단, 이 숫자 자체는 각 권을 어떤 단위로 셀 것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81권 중 일부만을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정경'과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정경'을 구분할 때도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에리트레아 관련 문서)] [[분류:오리엔트 정교회]][[분류:에리트레아의 문화]][[분류:세계 교회 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