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에리히 베어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1976-77 Kicker 올해의 팀|[[파일:Kicker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0.9em" [[틀:1976-77 Kicker 올해의 팀|{{{#ffffff ''' 1976-77 Kicker 올해의 팀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에리히 베어의 기타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헤르타 BSC 세기의 팀)]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d9e 0%, #005aab 20%, #005aab 80%, #004d9e)" {{{+1 [[헤르타 BSC|{{{#ffffff '''헤르타 BSC 기수'''}}}]]}}}}}} || ||<-3> {{{-2 {{{#004d9e '''Hertha, Berliner Sport-Club e.V Fahnenträger'''}}}}}}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tebeer.jpg|width=100%]]}}} || ||<-2> {{{#f0f0f0 ''' 이름 ''' }}} || {{{+1 '''에리히 베어'''}}}[br]'''Erich Beer''' || ||<-2> {{{#f0f0f0 ''' 본명''' }}} ||에리히 "에테" 베어[br]Erich "Ete" Beer || ||<-2><|2> {{{#f0f0f0 ''' 출생 ''' }}} ||[[1946년]] [[12월 9일]] ([age(1946-12-09)]세) || ||{{{-1 [[연합군 점령하 독일]] [[바이에른|바이에른 자유주]] [[오버프랑켄|오버프랑켄 현]] 노이슈타트 바이 코부르크}}} || ||<-2> {{{#f0f0f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 {{{#f0f0f0 ''' 신체 ''' }}} ||[[키(신체)|키]] 173cm | [[체중]] 67kg || ||<-2> {{{#f0f0f0 ''' 직업 ''' }}} ||[[축구 선수]]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공격수]][* [[중앙 공격수]]] / ^^은퇴^^)[br][[축구 감독]] || ||<|3> {{{#f0f0f0 ''' 소속 ''' }}} || {{{#f0f0f0 ''' 유스 ''' }}} ||SpVgg 게르마니아 에빙 (1953~1960)[br]VfL 노이슈타트/코부르크 (1960~1967)[br][[SpVgg 그로이터 퓌르트]] (1967~1968) || || {{{#f0f0f0 ''' 프로 ''' }}} ||[[1. FC 뉘른베르크]] (1968~1969)[br][[로트바이스 에센]] (1969~1971)[br]'''[[헤르타 BSC]] (1971~1979)'''[br][[알 이티하드 FC]] (1979~1981)[br][[TSV 1860 뮌헨]] (1981~1984) || || {{{#f0f0f0 ''' 감독 ''' }}} ||[[TSV 1860 뮌헨]] (1983)[br][[TSV 1860 뮌헨]] (1984)[br][[SpVgg 바이로이트]] (1985) || ||<-2> {{{#f0f0f0 ''' 국가대표 ''' }}} ||24경기 7골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 / 1975~1978)^^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ffffff ''' 별명 ''' }}} ||'''에테 (Ete)'''[br]'''베를린 베어 (Der Berliner Beer)'''[* 주로 스포츠 기자들이 자주 사용하던 별명. 베를린의 상징 베를린 곰(Berlin Bär)과 발음이 비슷한 것을 이용한 말장난식 별명이었다.] || ||<-2> {{{#f0f0f0 ''' 등번호 ''' }}} ||'''[[헤르타 BSC]] - 8''' || ||<-2> {{{#f0f0f0 ''' 주발 ''' }}} ||오른발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ich-beer-hertha-bsc-1609700683-53836.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d9e 0%, #005aab 20%, #005aab 80%, #004d9e)" '''{{{#fff Ete}}}'''}}} || [[독일]]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 선수 시절 주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 초기 경력 ==== 1946년 12월 9일 코트부르 바이 노이슈타트에서 태어난 에리히 베어는 1953년 SpVgg 게르마니아 에빙 유스팀과 계약하며 자신의 축구 경력을 시작하였다. 1960년에는 고향 팀 VfL 노이슈타트/코부르크 유스팀에 입단하였고,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를 잠시 거쳐 [[1. FC 뉘른베르크]]와 프로 계약을 체결한 뒤 1968년 1군 데뷔전을 치렀다. 뉘른베르크에서 한 시즌을 치른 베어는 다음 해인 1969년 [[로트바이스 에센]]으로 이적하였고, 2시즌 동안 70경기에서 12골을 기록하는 등 분전했으나 팀은 강등되고 말았다. [[분데스리가]]에 계속 뛰길 바랐던 베어는 이적을 결심하였고, [[FC 바이에른 뮌헨]]과 [[1. FC 쾰른]]이 영입에 관심을 보였으나 자신을 중심으로 팀을 꾸리겠다고 계획한 [[헤르타 BSC]]로 이적하게 되었다. ==== [[헤르타 BS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erbeckenbauer.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d9e 0%, #005aab 20%, #005aab 80%, #004d9e)" '''{{{#fff 바이에른과 헤르타 양 팀의 상징이었던 프란츠 베켄바워와 에리히 베어}}}'''}}} || 직전 시즌이었던 1970-71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3위를 기록한 [[헤르타 BSC]]는 [[우승|더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에리히 베어를 영입하였고, 베어는 그 기대에 부응하여 모든 대회에서 37경기 11골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헤르타는 이전 시즌에 승부조작 의혹이 제기되는 등 어수선한 상황 속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인 6위를 기록하였다. 여담으로 이 시즌 [[함부르크 SV]]의 전설 [[우베 젤러]]의 마지막 [[베를린]] 원정 경기가 있었는데, 베어는 이 경기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헤르타의 2:0 승리를 이끌었다. 우베 젤러는 아직도 베어를 만날 때마다 "나의 마지막 원정 경기를 (너가) 망쳤다"며 농담을 한다고 전해진다. 1974-75 시즌 헤르타는 [[테니스 보루시아 베를린]]과의 서베를린 더비에서 전승, 바이에른과의 홈 경기에서 [[프란츠 베켄바워]]의 자책골과 베어의 멀티골로 4:1 대승을 거두는 등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에서 15승 2무를 기록하며 홈에서 극강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VfL 보훔]]을 상대로 승리하며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 이어 준우승을 확정 지었다. 이는 현재까지도 구단 역사상 최고의 시즌으로 여겨진다. 분데스리가에서만 32경기 11골을 기록한 최다득점자 베어는 돌풍의 중심이자 헤르타에서 가장 위협적인 선수였다. 1975-76 시즌 베어는 [[루트비히 뮐러]]의 주장직을 이어받았고, 구단은 [[DFB-포칼]] 준결승에 진출하며 직전 시즌의 돌풍을 이어나갔다. 1976-77 시즌에는 구단 역사상 최초로 포칼 결승에 진출하였으나 [[1. FC 쾰른]]을 만나 1차전 1:1 무승부, 2차전에서 0:1 패배를 거두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베어는 1차전 연장후반에 헤르타의 명백한 패널티킥이 부여받지 않은 것에 대해 큰 불만을 제기하였다. >'''"바이에른은 쾰른이 우승할 경우에만 UEFA컵에 진출할 수 있었다. 경기 시작 전에도 [[독일 축구 연맹|DFB]]가 이번 결승전에 [[뮌헨]] 출신의 심판을 기용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었다.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린 후 나는 심판에게 가서 항의했고, 그는 연장전 종료 직전 팀(헤르타)에게 패널티킥를 부여하고 싶지 않다고 대답했다."''' 1978-79 시즌 시작 전, 베어는 여전히 헤르타의 주장직을 역임하고 있었다. 베어와 그의 팀 동료 올레 라스무센은 이른 저녁을 먹은 뒤 여전히 허기가 져 22시 30분에 샌드위치를 먹으러 식당으로 내려갔고, 그것을 발견한 쿠노 클뢰처 코치가 그들에게 큰 소리로 호통을 쳤다. 이 시간에 식사를 하면 안됐기 때문이었다. 다음 날 아침 베어는 코치를 찾아가 자신의 주장직을 내려놓았다. 새로 주장직에 선출된 [[우베 클리만]]이 이끄는 1978-79 시즌 헤르타는 [[UEFA 유로파 리그|UEFA컵]]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준결승 상대는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였고, 1차전 원정에서 1:0 패배를 기록한 헤르타는 2차전 홈에서 2:1 승리를 기록하였으나 원정 다득점에 의해 탈락하고 만다. 2달 뒤 [[하노버]]에서 개최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의 포칼 결승에서도 0:1 패배를 기록하며 결국 이 시즌에도 무관에 그치게 된다. 1978-79 시즌이 끝나고 백만 유로 이상의 이적시장 흑자가 필요했던 헤르타는 베어를 이적시키기로 결정하였고, [[TSV 1860 뮌헨]], [[RC 스트라스부르]], 미국 등에서 이적 제의를 받았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단 [[알 이티하드 FC]]로 이적하였다. ==== 후기 경력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뛰는 최초의 독일 축구선수가 된 베어는 [[알 이티하드 FC]]에서 2시즌을 보낸 뒤 1981년 [[TSV 1860 뮌헨]]으로 이적하였고, 1984년 은퇴를 결정하게 된다. === 국가대표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ich-beer.jpg|width=100%]]}}} || 1975년 [[헬무트 쇤]]이 지휘하는 서독 국가대표에 발탁되었고, 그 해 네덜란드전에 데뷔전을 치렀다. [[UEFA 유로 1976]] 최종 명단에 발탁된 베어는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도 선발 출장하는 등 이 대회에서 중용받았으나, 서독은 준우승에 머물게 된다. 이후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최종 명단에도 발탁되어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나, 서독은 8강에서 탈락하는 등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게 된다. 이 대회 이후 베어는 국가대표에서 은퇴하였다. == 감독 경력 == 에리히 베어는 1983년과 1984년 [[TSV 1860 뮌헨]]의 감독직을 맡았다. == 평가 == 1970년대 [[헤르타 BSC]]의 황금기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선수이다. 1976-77 시즌 & 1978-79 시즌 [[DFB-포칼]] 2회 준우승, 1978-79 시즌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준결승 진출 등 헤르타의 돌풍의 중심이었고, 개인 경력으로는 [[분데스리가]] 통산 253경기 83골을 기록하며 2003년 [[미하엘 프레츠]]의 기록 경신 이전까지 헤르타 BSC 역대 최다 득점자에 자리하는 등 구단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분류:1946년 출생]][[분류:1968년 데뷔]][[분류:1984년 은퇴]][[분류:오버프랑켄 현 출신 인물]][[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독일의 축구감독]][[분류:미드필더]][[분류:공격수]][[분류:1. FC 뉘른베르크/은퇴, 이적]][[분류:로트바이스 에센/은퇴, 이적]][[분류:헤르타 BSC/은퇴, 이적]][[분류:알 이티하드 FC/은퇴, 이적]][[분류:TSV 1860 뮌헨/은퇴, 이적]][[분류:TSV 1860 뮌헨/역대 감독]][[분류:SpVgg 바이로이트/역대 감독]][[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참가 선수]][[분류:독일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1976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