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릭 아이바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png|height=70]][br]'''월드 베이스볼 클래식[br]우승반지''' || ||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ffffff 2013}}}]]''' || ---- ||
[[파일:2014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4년|{{{#ffffff 2014}}}]]'''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데릭 지터]][br]([[뉴욕 양키스]]) || → || '''에릭 아이바[br]([[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 → || [[J.J. 하디]][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등번호 32번}}}''' || || [[맷 와이즈]][br](2000~2002) || {{{+1 →}}} || '''{{{#ffffff 에릭 아이바[br](2006~2007)}}}''' || {{{+1 →}}} || 브랜든 우드[br](2007)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등번호 2번}}}''' || || [[애덤 케네디]][br](2000~2006) || {{{+1 →}}} || '''{{{#ffffff 에릭 아이바[br](2008~2015)}}}''' || {{{+1 →}}} || [[안드렐톤 시몬스]][br](2016~2020)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1번}}}''' || || 알베르토 칼라스포[br](2015) || {{{+1 →}}} || '''{{{#ffffff 에릭 아이바[br](2016)}}}''' || {{{+1 →}}} || [[아지 알비스]][br](2017~) || ||<-5>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15번}}}''' || || 브랜든 인지[br](2003~2012) || {{{+1 →}}} || '''{{{#ffffff 에릭 아이바[br](2016)}}}''' || {{{+1 →}}} || 미키 마훅[br](2017) || ||<-5> '''{{{#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8번}}}''' || || [[제마일 윅스]][br](2016) || {{{+1 →}}} || '''{{{#002d62 에릭 아이바[br](2017)}}}''' || {{{+1 →}}} || [[하비 게라(1995)|하비 게라]][br](2018)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ick Aybar.jpg|width=100%]]}}} || ||<-2> '''{{{+2 에릭 아이바}}}[br]Erick Aybar''' || || '''본명 ''' ||에리크 요안 아이바르[br]Erick Johan Aybar || ||<|2> '''출생''' ||[[1984년]] [[1월 14일]] ([age(1984-01-14)]세) || ||페라비아 주 바니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학력''' ||프레디 피멘탈 고등학교 || || '''신체''' ||178cm / 88kg || || '''포지션''' ||'''[[유격수]]''' || || '''투타''' ||[[우투양타]] || || '''프로입단''' ||2002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ANA]]) || ||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2006~2015)'''[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16)[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6)[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17) || || '''가족''' ||형 [[윌리 아이바]][br]조카 [[완더 프랑코]] || || '''SNS''' ||[[https://www.facebook.com/ErickAybar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erickayba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twitter.com/Erickaybar|[[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선수. == 선수 경력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 2002년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애너하임 에인절스]]와 10만 달러에 계약했고, 마이너리그에서 기량을 쌓다가 2006년 [[토론토 블루제이스]]전에서 대주자로 메이저리그에 데뷔한다. 며칠 뒤엔 형이 뛰고 있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프리웨이 시리즈]]에서 첫 안타를 기록했다. 이 시기에 [[카를로스 리]]나 [[미겔 테하다]] 등의 트레이드 상대로 거론되기도 했다. 당시 에인절스에는 2004년 [[보스턴 레드삭스]] 우승 주역인 유격수 [[올랜도 카브레라]]가 있었고, 2003년 1라운드에 지명한 거포 유격수 유망주 브랜든 우드가 마이너에서 홈런쇼를 선보이며 치고 올라오고 있었기 때문. 그러나 아이바는 뛰어난 수비력으로 스몰볼과 수비력을 중시하던 [[마이크 소시아]]감독의 눈에 띄어 주전 유격수 후보로 떠올랐고, [[올랜도 카브레라]]의 4년 계약 마지막 시즌인 2008년 카브레라가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선발 투수 존 갈랜드와 맞트레이드 되어 시카고로 떠나면서 무주공산이 된 에인절스의 주전 유격수를 확정짓는다. 풀타임 시즌인 2009년엔 완전히 주전 유격수로 정착, 타출장 .312/.353/.423 5홈런 58타점 14도루로 팀내 최고 타율을 기록하는 등 맹활약을 펼쳤다. 수비력도 성장하여 마이너에서 좀처럼 기회를 잡지 못했던 브랜든 우드와의 유격수 경쟁에서 최종 승리했다.[* 브랜든 우드의 유격수 수비는 [[마이크 소시아]]가 보기에 만족스럽지 못했는지 3루수로 돌려서 키워보려 했지만 3루수 적응도 잘 못했다. 타격에서도 공갈포의 모습만 보이며 부진했고, 결국 에인절스 유망주 흑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말았다.] 2011년엔 첫 골드글러브를 수상하며 수비력을 인정받았고 2012년을 마치고 FA가 될 예정이었지만 4년 3500만달러의 재계약을 체결해 에인절스에 남았다. 2014년에는 커리어 처음으로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성적은 타율 2할 7푼대, 3할 극초반의 출루율, 6할 중반의 OPS 정도로 정리된다. 35m 계약하기 이전 5년간의 풀타임 출전성적이 .282/.324/.395라는 점을 생각하면 퇴보한 성적. 결국 FA가 되기 한 시즌을 남겨둔 2015년 11월 12일, 애틀랜타로 트레이드되었다. 아이바와 함께 [[션 뉴컴]], [[크리스 엘리스]]가 애틀랜타로 건너갔고, 반대급부로 [[호세 베리세뇨]]와 [[안드렐톤 시몬스]]가 에인절스로 이적했다. === 이후 === 2016년 시즌 초반 1할대 타율에 머물러 있다. 전반기가 종료된 시점에서도 0.212 0.265 0.267라는 극악의 타출장을 기록하고 있다. 결국 2016년 8월 16일 [[마이크 아빌레스]]와 케이드 시비큐를 상대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로 트레이드되었고 시즌 후 방출되었다. 2017년 시즌 전에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고 스프링 캠프에 초청선수로 합류하였다. 하지만 재반등은 하지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작전수행능력이 좋고 2할 후반대의 타율을 기록할 수 있는 준수한 컨택능력을 갖췄으며, 프리스윙어로 선구안과 참을성은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출루율은 대개 3할 초반대에 머무른다. 거기다 심각한 [[조인성|초구덕후]] 중 하나라 종종 결정적인 찬물타를 자주 날리는 편. 또한 작은 신장이지만 5~10개 정도의 홈런과 장타율 4할정도를 찍을 갭파워는 가지고 있다. 그리고 20~30도루는 충분히 기록할 정도의 준족. 수비면에서도 안정적인 포구와 송구능력, 넓은 수비범위로 골드글러브급의 수비력을 자랑한다. == 여담 == * 형 [[윌리 아이바]]도 야구선수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탬파베이 레이스]]에서 활약했지만 동생만큼 성장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아이바 형제의 조카가 바로 2021년 기준 빅리그 No. 1 유망주인 [[완더 프랑코]]다. 공교롭게도 아이바 형제, 그리고 프랑코 모두 [[스위치 히터]]다. * [[파일:external/cdn1.sbnation.com/swarm_s.gif]] 이 짤방이 매우 유명하다. 실제론 [[2008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8 ALDS]]에서 주자견제가 아주 아슬아슬하게 세이프로 판정받자 짜증을 온몸으로 표현하는 장면. 벌레들이 나온건 [[2007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7 ALDS]] 인디언스 vs 양키스전에서 양키스의 패배에 일조했던 마운드에 난입한 벌레떼의 패러디. 벌레에 대해서는 [[조바 체임벌린]] 항목을 보면 영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리즈에서 아이바의 네이버후드 플레이가 문제가 되기도 했다. [[병살]] 문서 참조.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투수였던 [[브랜든 맥카시]]가 머리에 직선타구를 맞고 두개골이 골절되어 뇌수술을 받는 심각한 사고를 겪었는데, 이 타구를 친 타자가 바로 에릭 아이바다. 투수도 투수지만 그런 타구를 친 아이바에게도 적잖은 충격이 되었을 것이다. *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라운드 미국과의 경기에서 미국의 마무리 투수 [[크레이그 킴브럴]]을 두들겨 결승타를 쳐냈다. 주심의 석연찮은 스트라이크 판정이 나온 직후라 [[권선징악]]포 드립이 나왔다. * [[야구의 암묵적인 룰]]을 어겨 욕 먹은 바 있다. 2011년 7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저스틴 벌랜더]]가 에인절스와의 홈경기에서 8회까지 노히터를 이어가고 있었는데 8회에 번트를 댄 것. 왜 그런 번트를 댔냐면, 이날 에인절스 선발 [[제러드 위버]]가 [[카를로스 기옌]]에게 홈런을 맞았는데, 기옌이 빨리빨리 뛰지 않고 조롱하는 눈빛으로 위버를 쳐다보면서 천천히 뛰었고, 그에 격분한 위버가 다음 타자 [[알렉스 아빌라]]에게 헤드샷을 노린 빈볼을 던지며 퇴장당하자 팀 차원의 보복을 가한 것이다.[* 그러니까 따지고보면 [[야구의 암묵적인 룰]]은 타이거스 측이 먼저 어긴 셈이다.] 결과적으로 이 번트로 노히트가 깨지진 않았지만 이후에 안타가 나오며 노히트가 날아갔다.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1984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바니(도미니카)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은퇴, 이적]][[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은퇴, 이적]][[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은퇴, 이적]][[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