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에스콤''' }}}}}}[br]{{{#white '''ESKOM'''}}} || || '''기업명''' ||Eskom Hld SOC Ltd || || '''설립일''' ||[[1923년]] [[3월 1일]] || || '''업종명''' ||에너지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 || '''대표자''' ||음포 폴 마콰나 || || '''자본금''' ||2043억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랜드]] ^^(2021년 기준)^^ || || '''순이익''' ||-189억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랜드]] ^^(2021년 기준)^^ || || '''자산 총액''' ||7810억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랜드]] ^^(2021년 기준)^^ || || '''직원 수''' ||42,749명 ^^(2021년 기준)^^ || || '''상장 여부''' ||상장 기업 || || '''상장 시장''' ||[[요하네스버그증권거래소]] || || '''주식 코드''' ||[[https://www.jse.co.za/search?keys=BIESKM&f%5B0%5D=instrument_type%3A853|BIESKM]] || || '''웹 사이트''' ||[[https://www.eskom.co.za]]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전력 공급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기업. == 역사 == [[1922년]] 남아공이 전기법이 통과되면서 설립되었다. [[1960년]]부터 [[1990년]]까지 경제 발전에 따른 전기 수요를 맞추기 위해 4,000MW에서 40,000MW로 확장했다. [[1994년]], 남아공에서 최초로 전 인종이 참여할 수 있는 민주선거가 있은 후 세워진 [[넬슨 만델라]] 행정부는 주택지역의 전기 공급과 경제 발전을 위한 전기료 인하를 주된 목표로 삼게 된다. [[1998년]], 에스콤 개정법에 따라 정부의 개입이 더 쉬워지게 된다. [[타보 음베키]] 대통령이 민영화를 시도하면서 에스콤의 발전기 신설 요청이 거절당한다. 하지만, 이 당시 에스콤의 예비전력량이 2007년이 되면 모두 소진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결국, [[2007년]]부터 남아공의 전력 수요를 맞추지 못하고 지어진 발전소들 또한 노후화가 되면서 유지 보수가 힘들어지면서 전국에 걸쳐 전력난이 심해져 대규모 정전사태가 지속된다. 이에 대한 대처로 [[제이콥 주마]] 행정부는 발전소 신설을 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2017년]], 에스콤은 굽타가와 주마 대통령의 부패 스캔들의 주요 타겟이 되면서 비판을 받게 된다. 이후, 여러 차례 사보타주, 파업, 시위로 인해 큰 타격을 입게 되고 에너지 위기는 더욱 심해진다. [[2021년]], [[COP26]]에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석탄 사용률을 줄이고 지속가능 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펀딩을 할 것을 선언했으나, 그렇지 않아도 남아공의 실업률이 높은 상황인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남아공 광부들의 실업으로 이어져 실업률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우려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다. == 논란 == === [[남아프리카 공화국 에너지 위기]] === [[2007년]]부터 전력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전국에 걸쳐서 여러 차례 전력난이 발생했다. [[분류:1923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