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 {{{#fff '''항공사고 요약도'''}}} || || '''발생일''' ||2007년 8월 9일 || || '''유형''' ||제어 케이블 파손 || || '''발생 위치''' ||프랑스령 폴리네시아[br]무레아 테마아 공항 근처 || || '''기종'''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6]] Twin Otter 300 || || '''항공사''' ||에어 무레아 || || '''기체 등록번호''' ||F-OIQI || || '''출발지''' ||무레아 테마아 공항 || || '''도착지''' ||[[타히티 파아아 국제공항]] || ||<|2> '''{{{#black 탑승인원}}}''' ||승객: 19명 || ||승무원: 1명 || || '''사망자''' ||'''탑승객 20명 전원 사망''' || [목차] [clearfix] [[파일:F-OIQI.jpg|width=100%]] 사고 1달전 찍힌 사진 == 개요 == 폴리네시아에서 타히티로 가던 에어 무레아 1121편 DHC-6가 추락한 사고 == 사고 진행 == F-OIQI는 28년된 노후된 비행기로 폴리네시아-타히티 노선에 주로 투입된 비행기였다. 이 노선은 무려 하루에 40~50편을 비행했다. 기장은 3,500시간의 비행시간중 에어 무레아에서 110시간을 비행했으며 사고편 비행때는 부기장 없이 혼자 조종했다. 정오가 지나자 1121편은 이륙했으나 갑자기 기수가 내려가며 추락했다. 일부 사람들이 사고 장면을 보았다. == 사고 원인 == CVR과 기체 잔해를 수심 700m에서 건져내고 BEA는 승강타를 올릴때 제어 캐이블이 끊어져 추락했다고 밝혔다. 케이블이 끊어진 원인은 캐이블의 재질과 외부 상황에서 찾을 수 있었는데 사고기의 캐이블은 일반적으로 DHC-6에 달리는 탄소강 재질이 아닌 스테인리스강이었다. 캐이블의 재질을 바꿔 부식에는 더 강해졌으나 스테인리스강은 마모에 취약했고 일간 수십회의 비행을 한 1121편의 캐이블은 심각하게 마모되어있었다. 또한 1121편이 주기중일때 승강타를 하강상태로 맞추고 잠가놨는데 뒤를 지나가던 제트 여객기들의 제트 분사로 마모된 캐이블 대부분이 끊어졌다. 결국 비행도중 승강타를 조작할 때 마지막 남았던 캐이블마저 끊어졌고 1121편은 폴리네시아 제도 바다에 추락하고 말았다. == 기타 == [[항공 사고 수사대]] 시즌 13에서 방영되었다. [[분류:항공 사건사고]][[분류:2007년 항공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