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99><:> '''{{{#white 전함소녀의 함선 목록}}}''' || ||<:> No. 296 [br] [[벨로우드(전함소녀)|벨로우드]] ||<:> → ||<:> '''No. 297''' [br] [[에오르요스 아베로프(전함소녀)|에오르요스 아베로프]] ||<:> → ||<:> No. 298 [br] [[수크바타르(전함소녀)|수크바타르]] || [include(틀:전함소녀/기타/그리스)] ||
<-2><:> '''일러스트: NorthAbyssor''' || ||<:> [[파일:L_NORMAL_297.png|width=100%]] ||<:> [[파일:L_BROKEN_297.png|width=100%]] || ||<:> 기본 ||<:> 중파 || ||<:> [[파일:L_NORMAL_297_1.png|width=100%]] ||<:> [[파일:L_BROKEN_297_1.png|width=100%]] || ||<:> 스킨 기본 ||<:> 스킨 중파 || || 乔治·埃夫洛夫 || ||イェロギオフ・アヴェロフ|| [목차] == 소개 == 1911년에 취역한 그리스의 장갑순양함으로 현재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장갑순양함이다. 함명은 이 배의 구입비중 1/3을 대납한 그리스의 부호 예오르요스 아베로프(Γεώργιος Αβέρωφ)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발칸 전쟁]] 당시 최신예 함선으로, 그리스 해군의 기함으로 활동하며 오스만 투르크 해군을 격파해[* 1912년 12월 16일 엘리 전투와 1913년 1월 18일 렘노스 전투 두 차례에 걸쳐 오스만 해군을 두들기는 동안 자신은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다. 이후 오스만 해군은 다르다넬스 해협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전쟁의 승리에 큰 공을 세웠고, [[터키 독립전쟁]]과 [[2차 세계대전]]까지 기함으로서 임무를 다했다. 1952년 퇴역했지만 현재까지도 기념함으로 보존되고 있다. == 성능 == ||
<-999><:> '''{{{#white 에올이오스 아베로스}}}''' || ||<:> '''★[br]★[br]★[br]★[br]★''' ||<:> [[파일:전함소녀_내구도.png|width=20]] 내구 ||<:> 48 ||<:> [[파일:전함소녀_화력.png|width=20]] 화력 ||<:> 37/62 || ||<:> [[파일:전함소녀_탑재량.png|width=20]] 탑재 ||<:> 0/0/0/0 ||<:> [[파일:전함소녀_장갑.png|width=20]] 장갑 ||<:> 48/63 || ||<:> [[파일:전함소녀_어뢰.png|width=20]] 어뢰 ||<:> 8/43 ||<:> [[파일:전함소녀_행운.png|width=20]] 행운 ||<:> 50 || ||<:> [[파일:전함소녀_회피.png|width=20]] 회피 ||<:> 26/59 ||<:> [[파일:전함소녀_대공.png|width=20]] 대공 ||<:> 18/48 || ||<:> [[파일:전함소녀_사정거리.png|width=20]] 사정 ||<:> 중 ||<:> [[파일:전함소녀_색적.png|width=20]] 색적 ||<:> 12/50 || ||<:> [[파일:전함소녀_대잠.png|width=20]] 대잠 ||<:> 0 ||<:> [[파일:전함소녀_속도.png|width=20]] 속도 ||<:> 23.5 || ||
<:> 스킬: N/A || ||<:> N/A || ||||
<:> 연비 || ||<:> 연료 || 30 || ||<:> 탄약 || 70 || ||
<-2><:> 추가 능력치 || ||<-2><:> 분해 시 자원 || ||<-2><:> 30/40/30/0 || ||<-2><:> 강화 수치 || ||<-2><:> 37/4/24/9 || ||<-2><:> 개조 || || 레벨 || 불가 || || 자원 || N/A || || 코어 || N/A || ||<-2><:> 장비 || ||<-2><:> 영국 9.2인치 연장포 || ||<-2><:> 없음 || ||<-2><:> 장착 불가 || ||<-2><:> 장착 불가 || ||<-2><:> 건조 시간 || ||<-2><:> N/A || ||<-2><:> 획득 방법 || ||<-2><:> 5-2, 5-3, 7-2 || == 평가 == [[엘리(전함소녀)|엘리]]와 함께 최초로 추가된 그리스 함선이자 [[전함소녀/기타|'기타']]로 분류되는 군소국가 최초의 중순양함이다. 구식 함선이어서 결코 1선으로는 쓸 수 없는 성능이지만, 실제 함선의 건조에 얽힌 미담이나 무수한 전란을 거치고 지금까지 살아남은 함생을 반영해서인지 의외로 독보적인 장점 몇 가지가 있다. 가장 중요한 장점은 경순양함이 장착 가능한 주포인 영국제 9.2인치 2연장포이다. 화력수치가 9로 양산 가능한 경순양함용 주포 중에서는 상위권 수치이다.[* [[전함소녀/이벤트/2018년#s-1.1|눈사태 작전]] 보상이었던 소련제 3연장포 역시 화력이 9이며 이 쪽은 사거리가 '장'이라는 장점이 있다. [[전함소녀/이벤트/2018년#s-1.3|아이기스 작전]] 보상인 오스트리아 2연장포 역시 장거리에 화력은 10이다. 다만 이 둘은 이벤트 보상이어서 양산이 불가능하다.] [[엥겔스(전함소녀)|엥겔스]]의 소련제 무반동포는 건조로 쉽게 얻을 수 있지만 명중과 회피를 떨어트리기에 별다른 페널티 없이 경순양함의 화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데 있어서는 이만한 장비가 별로 없다.[* 다만 2018년 7월 건조 이벤트에서 냉전기 경순양함 [[타이거(전함소녀)|타이거]]가 등장하면서 상위호환 장비가 추가됐는데, 타이거의 기본 장비인 6성급 주포는 화력 10에다 대공 스탯마저 붙어있다.] 그리고 행운수치가 무려 '''51'''이나 된다. 중순양함 중에서는 가장 높으며, 전체 함선을 통틀어서도 순위권에 이른다.[* 게임에 구현된 시점인 2018년 5월 기준으로 자체 행운수치만 놓고 따지면 [[엔터프라이즈(전함소녀)|엔터프라이즈]]의 55, [[오배넌(전함소녀)|오배넌]]의 52에 뒤잇는 3위에 해당된다. 그러나 기본 행운 50인 [[수크바타르(전함소녀)|수흐바타르]]가 스킬 3레벨 기준으로 행운이 70까지 상승하고, 기본 행운이 40인 [[즈이카쿠(전함소녀)|즈이카쿠]] 역시 스킬에 의해 행운이 55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순위는 5위라고 할 수 있다.] 일격대파 당하지 않는 4배수 내구라는 점도 소소한 장점이다. 그리고 추가된 시점에서 중순양함 중 유일한 저속함이므로 분기조건을 맞추는 데 활용될 여지가 있다. == 기타 == * 오스만 투르크 해군이 해당 함선을 매우 싫어하여 '[[사탄]]의 배'라고 불렀는데, 이를 반영해서 자신의 별명이 '사탄'임을 밝히는 대사가 있다. 적군이 자신을 사탄이라고 부를 만큼 무서워했다는 데 자부심을 가지며, 진형 선택 대사에서도 아군의 사기를 돋우고자 자신의 별명을 이야기한다. * 당연히 터키 소속 [[괴벤(전함소녀)|괴벤]]과 라이벌 관계이며, 모항대사에서 괴벤을 상대로 덤벼보겠냐며 도발을 한다. * 입수대사에서 두 명의 엘리를 언급하는데, 전자는 함께 게임에 구현된 [[엘리(전함소녀)|잉루이급 엘리]]로 그리스 왕실해군의 1대 엘리이고, 후자는 실제 역사에서 이탈리아가 엘리를 격침시킨 데에 대한 배상으로 그리스에 양도해서 2대 엘리가 된 '[[https://en.wikipedia.org/wiki/Italian_cruiser_Eugenio_di_Savoia|에우게니오 디 사보이아]]'[* [[사부아 공자 외젠]]의 이름을 딴 경순양함인데, 마침 독일에도 동일인물의 이름을 딴 중순양함 [[프린츠 오이겐|프린츠]][[프린츠 오이겐(전함소녀)| 오이겐]]이 있었다.]이다. [[분류:전함소녀/함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