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함선)] ||
[[파일:external/1.bp.blogspot.com/z2P7ek2.png|width=100%]] || || {{{#cc3333 '''Europa'''}}} || [목차] == 제원 (개장완료시 예상) == ||<-2> 항공모함 오이로파 || || 개장 ||1942.??.?? || || 취소 ||194?.??.?? || || 퇴역 ||1962.??.?? || || 배수량 ||44,000톤(기준), 56,500톤(만재) || || 길이 ||291.5미터 || || 너비 ||37.0미터 || || 흘수 ||10.3미터 || ||<|2> 승조원 ||승무원 2,193명 || ||항공 병력 ???명 || ||<|3> 무장 ||105 mm 고사포 12문 || ||37 mm 고사포 20문 || ||20 mm 고사포 28 ~ 36문 || ||보일러||??? 보일러 ??기|| ||터빈||블롬 & 포스 기어 증기터빈 4기, 스크류 4기|| ||출력||100,000마력|| || 최고속력 ||26.5노트 || || 항속거리 ||19노트기준 12,000마일 (10,000 NMI) || || 함재기 ||42 ~ 96대 || == 개요 == [[크릭스마리네]]의 개조 항공모함 설계안 '''오이로파(Europa)'''. [[제2차 세계 대전]] 때 대형 여객선을 개장하려 했던 [[항공모함]]으로, 이 경우에는 Prinz Eugen이 프린츠 오이겐인 것처럼 독일어 발음을 따라 오이로파라고 부른다. == 상세 == 오이로파는 원래 여객선이었다. 1928년 8월 독일 함부르크 블롬&보스 조선소[* [[비스마르크(전함)|비스마르크]]도 이 조선소에서 제작됐다]에서 진수되어 1930년 3월 완공, 이후 대서양을 오가는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로 치면 대형 여객기와 마찬가지였다. 1930년 3월 20일부터 25일에 걸쳐 이루어진 첫 항해에서 4일 17시간 6분에 걸쳐 대서양을 횡단, [[블루리본]] 타이틀을 갱신했다.[* 기존 기록은 브레멘이 가지고 있던 4일 17시간 42분. 에우로파의 기록은 1933년까지 유효했다.] 이후 1939년 세계2차대전이 발발하자 물자보급 및 수송용으로 전환되어 독일 육군의 군수품을 나르는 역할을 담당했다.[* [[바다 사자 작전]]에 해상 기지로 사용할 계획도 세웠었다.] 제 1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스캐퍼플로 독일 대양함대 자침 사건|꿈도 희망도 몽땅 사라진]] 상태로 전쟁준비를 하던 [[크릭스마리네]]는 수상함 전력, 특히 단 한 척도 없던 [[항공모함]] 때문에 전전긍긍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그라프 체펠린급 항공모함|그라프 체펠린]]을 건조하기 시작했지만 당연히 한 척으로는 부족했고 1941년 [[비스마르크(전함)|비스마르크]]까지 [[비스마르크 추격전|영국 해군에게 레이드 당한 이후]] 수상전력이 크게 부족해진 크릭스마리네는 여객선이었던 오이로파를 항공모함으로 개장하기로 결정한다. 이때가 1942년 5월이다.[* 이들과 더불어, 다른 여객선인 그나이제나우, 포츠담, 건조 중지된 [[아트미랄 히퍼급 중순양함]] [[자이들리츠]]와 프랑스의 미완성 경순양함 [[드 그라스급 경순양함|드 그라스]]를 항공모함으로 개장할 예정이었고 [[그라프 체펠린급 항공모함|그라프 체펠린]]의 건조도 재개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처음부터 정규 항공모함으로 만들어지던 그라프 체펠린도 95% 완공된 이후 발트해 한 구석의 잉여가 되었고, 태생이 여객선인지라 항공모함으로써 사용하기에는 안정성과 연비가 나쁘다는 이유로 1942년 11월 개장 중지가 결정됐다.[* 그런데 개장 이후의 예상 제원을 보면 일본의 상선개조항모인 [[준요(항공모함)|준요]]보다 더욱 우수하다. 만약 일본처럼 다수의 항공모함을 운용할 능력이 있는 나라에 의해 개장이 실행되어 운용이 이루어졌다면 활약할 여지가 충분했을 것이다.] 전쟁 이후 미군에게 전리품으로 넘겨져 유럽 전선에 파병된 미군을 귀환시키는 용도로 잠깐 쓰였다가 2차대전 발발로 뉴욕에 계류된 상태에서 화재로 침몰한 [[S.S 노르망디]][* 프랑스의 대서양 정기 여객선. 뉴욕에 도착한 상태에서 2차대전이 발발하여 귀항하지 못하고 뉴욕 항에 계류되었다. 이후 병력 수송선으로 활용하기 위한 개장에 착수했으나 개장 도중 화재가 발생해 전복되고 만다.]에 대한 손해배상으로 프랑스에 건네졌고 프랑스에서는 리베르트라는 명칭으로 여객선으로서 사용되다가 1962년 스크랩됐다. == 매체에서 == * [[네이비필드]]에 구현돼 있다...만 여기에는 또 [[영국]]이나 [[일본]] 같은 국가의 계획 항공모함도 구현되어 있으므로 거기서 거기다. 여담으로 11인치(283mm. 샤른호르스트급 등에 쓰인 함포.) 단장포 5문을 장착하고 전함놀이(?)가 가능하다. [[파일:external/www.navyfield.co.kr/Europa.gif]] * [[제독의 함대]]에서 볼 수 있다. 후달리는 [[비스마르크(전함)|비스마르크]], [[티르피츠]] 또는 [[린저씨]]들 아니면 구할 수 없는 [[H급 전함|몰트케나 힌덴부르크]]를 대신하는 유일한 독일 5성급 전함... 이지만 여러모로 아쉬운 성능으로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선택하는 함정이다. * [[전함소녀]]에서 등장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에우로파, version=86, paragraph=3)] [[분류:항공모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