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지파이터스의 등장인물, rd1=에위니아(지파이터스), other2=게임 메이플스토리에 등장하는 마을, rd2=엘리니아)] [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에위니아(Ewiniar)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전설 속 폭풍의 신을 의미한다. 이위냐라는 이름으로 사용되다가 [[국립국어원]]에 따라 2006년부터는 에위니아로 정정되었다. == 2000년 제9호 태풍 == [include(틀:2000년 태풍)] || [[2000년|{{{#FFF '''2000년'''}}}]] [[태풍|{{{#FFF '''태풍'''}}}]] || || 제8호 [[즐라왓#s-2|절라왓]] → '''제9호 이위냐''' → 제10호 [[빌리스#s-2]] || ||<-3> '''{{{+5 {{{#!html 2000년 제9호 태풍 이위냐}}}}}}''' || ||<#3594D3> {{{#ffffff 위성사진}}} ||<-2>[[파일:Typhoon_Ewiniar_15_aug_2000_0632Z.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2>[[파일:Ewiniar_2000_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00년 8월 10일 3시 ~ 2000년 8월 18일 21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도서부 지역'''[* '''[[오가사와라 제도]]''', [[이즈 제도]]], 본토[* [[와카야마현]], [[고치현]], [[치바현]], [[홋카이도]] 동부([[네무로시]])] || || {{{#white 태풍 등급}}} ||<-2><:> {{{#000 '''1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대형(직경 1,20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75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39 m/s''' || || 10분 평균 || '''33 m/s''' || ===#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 JMA || || 8월 8일 21시 ||<|3> 20kn ||<|5> - ||<|6><#5ebaff> TD ||<|2><#fff> 미발생 || || 8월 9일 3시 || || 8월 9일 9시 ||<|3><#5ebaff> TD || || 8월 9일 15시 || 25kn || || 8월 9일 21시 ||<|2> 30kn || || 8월 10일 3시 || 35kn ||<|6><#00faf4> 약 || || 8월 10일 9시 ||<|3> 35kn ||<|4> 40kn ||<|5><#00faf4> TS || || 8월 10일 15시 || || 8월 10일 21시 || || 8월 11일 3시 || 45kn || || 8월 11일 9시 || 50kn || 45kn || || 8월 11일 15시 ||<|2> 65kn || 50kn ||<|2><#ffffcc> C1 ||<|18><#ccffff> 중 || || 8월 11일 21시 ||<|3> 55kn || || 8월 12일 3시 || 60kn ||<|12><#00faf4> TS || || 8월 12일 9시 || 55kn || || 8월 12일 15시 ||<|3> 45kn ||<|10> 50kn || || 8월 12일 21시 || || 8월 13일 3시 || || 8월 13일 9시 || 50kn || || 8월 13일 15시 ||<|6> 45kn || || 8월 13일 21시 || || 8월 14일 3시 || || 8월 14일 9시 || || 8월 14일 15시 || || 8월 14일 21시 || || 8월 15일 3시 || 65kn ||<|2> 55kn ||<|7><#ffffcc> C1 || || 8월 15일 9시 ||<|4> 75kn || || 8월 15일 15시 ||<|2> 60kn || || 8월 15일 21시 || || 8월 16일 3시 ||<|3> 65kn ||<|3><#fdaf9a> 강 || || 8월 16일 9시 || 70kn || || 8월 16일 15시 || 65kn || || 8월 16일 21시 || 55kn || 60kn ||<|8><#00faf4> TS ||<|4><#ccffff> 중 || || 8월 17일 3시 ||<|3> 40kn || 55kn || || 8월 17일 9시 ||<|2> 50kn || || 8월 17일 15시 || || 8월 17일 21시 ||<|4> 35kn ||<|4> 45kn ||<|4><#00faf4> 약 || || 8월 18일 3시 || || 8월 18일 9시 || || 8월 18일 15시 || || 8월 18일 21시 ||<|5> 30kn ||<|6> - ||<|6><#5ebaff> TD ||<|6><#fff> {{{#000 '''소멸'''}}} || || 8월 19일 3시 || || 8월 19일 9시 || || 8월 19일 15시 || || 8월 19일 21시 || || 8월 20일 3시 || 25kn || || 8월 20일 9시 ||<-4><#fff> {{{#000 '''소멸 및 감시 종료'''}}} || === 생성과 소멸 === 2000년 8월 10일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해서 [[일본]] 방향으로 북진하였으나 일본 남쪽 해상에서 동쪽 해상으로 진로를 틀어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집계. == [[에위니아(2006년 태풍)|2006년 제3호 태풍]]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위니아(2006년 태풍))] == 2012년 제18호 태풍 == [include(틀:2012년 태풍)] || [[2012년|{{{#FFF '''2012년'''}}}]] [[태풍|{{{#FFF '''태풍'''}}}]] || || 제17호 [[즐라왓#s-4]] → '''제18호 에위니아''' → 제19호 [[말릭시#s-2]] || ||<-3> '''{{{+5 {{{#!html 2012년 제18호 태풍 에위니아}}}}}}''' || || {{{#ffffff 진로도}}} ||<-2>[[파일:1218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 2012년 9월 24일 21시 ~ 2012년 9월 30일 9시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 {{{#ffffff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900 km)''' || || {{{#ffffff 최저 기압}}} |||| '''985 hPa''' || ||<|2>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28 m/s''' || || 10분 평균 || '''26 m/s''' || === 2012년 제18호 태풍 에위니아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 9월 24일 21시 || 35kn || 35kn ||<|21><#00faf4> 열대폭풍 ||<|8><#00faf4> 약 || || 9월 25일 3시 || 40kn || 35kn || || 9월 25일 9시 || 40kn || 35kn || || 9월 25일 15시 || 40kn || 35kn || || 9월 25일 21시 || 45kn || 40kn || || 9월 26일 3시 || 50kn || 40kn || || 9월 26일 9시 || 50kn || 45kn || || 9월 26일 15시 || 50kn || 45kn || || 9월 26일 21시 || 45kn || 50kn ||<|10><#ccffff> 중 || || 9월 27일 3시 || 50kn || 50kn || || 9월 27일 9시 || 55kn || 50kn || || 9월 27일 15시 || 55kn || 50kn || || 9월 27일 21시 || 55kn || 50kn || || 9월 28일 3시 || 55kn || 50kn || || 9월 28일 9시 || 45kn || 50kn || || 9월 28일 15시 || 45kn || 50kn || || 9월 28일 21시 || 50kn || 50kn || || 9월 29일 3시 || 45kn || 50kn || || 9월 29일 9시 || 45kn || 45kn ||<|4><#00faf4> 약 || || 9월 29일 15시 || 45kn || 45kn || || 9월 29일 21시 || 35kn || 45kn || || 9월 30일 3시 || - || 40kn ||<#fff> '''소멸''' || || 9월 30일 9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 생성과 소멸 === [[미국]] [[괌]] 북서쪽 약 98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 북서쪽으로 이동하며 발달하여 [[일본]] [[도쿄]] 남동쪽 약 850 km 부근 해상에서 최성기를 맞이하고 북동쪽으로 전향한 후 약화되었다. 9월 30일 일본 [[삿포로시]] 동쪽 약 1,110 km 부근 해상에서 소멸하였다. == 2018년 제4호 태풍 == [include(틀:2018년 태풍)] || [[2018년|{{{#FFF '''2018년'''}}}]] [[태풍|{{{#FFF '''태풍'''}}}]] || || 제3호 [[즐라왓#s-5]] → '''제4호 에위니아''' → 제5호 [[말릭시#s-3]] || |||||| '''{{{+5 {{{#!html 2018년 제4호 태풍 에위니아}}}}}}'''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18년 6월 5일 9시 ~ 2018년 6월 9일 3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베트남]], [[마카오]], [[홍콩]], [[중국]], [[대만]], [[일본]] [[류큐 제도]]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44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98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21 m/s''' || ||<:>10분 평균 || '''21 m/s''' || 일생 절반 이상을 열대저압부로 보내다가 중국 대륙 근처에 다다라서야 태풍으로 발달했고 얼마 못 가 소멸되었다. == 2024년 제1호 태풍 == [include(틀:2024년 태풍)] ||<#3594D3,#27658f> [[틀:2024년 태풍|{{{#FFF '''2024년 태풍'''}}}]] || ||<#FFF,#1F2024> --'''제1호 에위니아'''-- → --제2호 [[말릭시#s-4]]-- || |||||| '''{{{+5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 2024년 제1호 태풍 에위니아}}}}}}''' || ||<#3594D3,#27658f>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27658f>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 || {{{#ffffff 영향 지역}}} ||||<:>|| || {{{#white 태풍 등급}}} ||<-2><:> {{{#000 '''-'''}}} || || {{{#white 10분 등급}}} ||<-2><:> {{{#000 '''-'''}}} || || {{{#ffffff 태풍 크기}}} |||| '''(직경 {{{-km}}})''' || || {{{#ffffff 최저 기압}}} |||| '''1005hPa''' || ||<|2>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m/s''' || ||<:>10분 평균 || '''-m/s''' || === 발생 이전 === ====# 92W 열대요란 #==== 2023년 12월 16일 0시, JTWC에서 92W 열대요란의 발달 가능성을 LOW[낮음]로 지정했다. 12월 18일 15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18일 21시, JMA는 92W를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19일 3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19일 9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19일 15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19일 21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0일 3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0일 9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0일 15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0일 21시, JMA는 92W를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0일 22시 30분, JTWC에서 92W 열대요란의 LOW를 취소하였다. 12월 21일 3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1일 9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1일 15시, JMA는 92W를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1일 21시, JMA는 92W를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 중이다. 12월 22일 3시, JMA의 일기도에서 92W의 열대요란 표시가 사라졌다. ==== 93W 열대요란 ==== 2024년 5월 15일 15시, JTWC에서 93W 열대요란의 발달 가능성을 LOW[낮음]로 지정했다. 5월 16일 15시, JTWC에서 93W를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중이다. 5월 17일 15시, JTWC에서 93W를 1005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중이다. 5월 18일 15시, JTWC에서 93W를 1005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중이다.[* 1일전보다 약간 서진했다고 분석되었다.] 5월 19일 15시, JTWC에서 93W를 1005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중이다. [[분류:2000년 태풍]][[분류:2012년 태풍]][[분류:2018년 태풍]][[분류:2024년 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