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2 에이클라 미디어그룹}}}'''[br]'''Eclat MEDIA GROUP '''}}} || ||<-2> [[파일:external/www.eclatnt.com/logo_m.gif|width=50%]] || || '''기업명''' ||'''한글''': 주식회사 에이클라미디어그룹 [br] '''영문''': Eclat Media Group Co., Ltd. || ||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설립일''' ||[[2021년]] [[1월 1일]][* 기존 에이클라엔터테인먼트(現 유클레아홀딩스) 법인으로부터 [[물적분할]]되어 설립된 날짜.] || || '''대표''' ||홍원의 || || '''업종명'''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 프로그램 배급업 || || '''기업 분류''' ||[[중견기업]] || ||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주요 주주''' ||(주)유클레아홀딩스 ,,'''(지분 100%)''',, ||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6길 12, 5층 [br] ([[상암동(서울)|상암동]], TRUTEC빌딩) [include(틀:지도,장소=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6길 12,width=80%)] || || '''웹사이트''' ||[[http://www.eclatnt.com/| '''{{{#000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4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주식회사]]. 대중적으로 유명한 기업은 아니지만 국내 스포츠 팬덤에게는 상당히 유명하다. 대한민국 스포츠 중계권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KBO 리그]], [[한국프로농구]] 중계권을 가지고 있으며 [[PL]], [[NBA]], [[UEFA 챔피언스 리그]] 등 다양한 종목의 중계권들도 다수 보유 중이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h_proms&logNo=222841464997&proxyReferer=https:%2F%2Fm.search.daum.net%2Fnate%3Fw%3Dfusion%26DA%3DPGD%26p%3D1%26q%3D%25EC%2597%2590%25EC%259D%25B4%25ED%2581%25B4%25EB%259D%25BC%2B%25EC%2597%2594%25ED%2584%25B0%25ED%2585%258C%25EC%259D%25B8%25EB%25A8%25BC%25ED%258A%25B8%2B%25EC%25A4%2591%25EA%25B3%2584%25EA%25B6%258C|링크]] 참조.] 참고로 [[아시안 게임]]의 중계권도 확보하고 있는데 [[스포츠]] [[중계권]]을 [[독과점]]하는 수준이 가히 대형 [[광고대행사]]인 [[덴츠]]에 비견할 만하다. 수익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야구위원회|KBO]], [[한국농구연맹|KBL]], [[한국배구연맹|KOVO]] 등 프로연맹에게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중계권판매 대행자격을 얻는다. 그리고 중계권을 다른 방송사들과 협상을 벌여 그 수익의 일부를 가진다. 스포츠 뉴스 등에서 자료화면으로 활용할 때도 방송사 측이 에이클라에 일정 금액을 따로 지불해야 한다. 문제는 이런 중계권들이 --중간 도매업자인-- 에이클라를 통해 협상되기 시작하면서 중계권료가 가파르게 올라가고 방송사와의 갈등이 프로 스포츠까지 미치게 되었다는 점이다. [[KBO 리그]]의 경우에는 돈 문제로 [[SBS]]가 중계를 안하겠다고 버티다 [[프로야구 중계권 사태]]가 터져버려 야구열기가 죽어버리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18478#|프로야구 중계권 사태 당시 기사]] 에이클라 엔터테인먼트가 지상파 케이블 스포츠 방송사와의 갈등이 빚어질 때 중계가 중지되었을 때 [[SBS Sports]]는 중계 포기까지 선언하였고, [[리얼TV]], [[디원]] 등 일부 개별 PP들이 윤번으로 프로야구를 임시적으로 중계되었던 이력도 있었다. == 역사 == [[2004년]] [[10월 19일]]에 대한민국 최초로 스포츠 미디어 컨텐츠 회사로 설립된 에이클라는 [[2006년]] 4월에 [[KBO 리그]] 온라인 중계권을 획득을 시작으로 [[2007년]]에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중계권을, [[2008년]]에는 [[KBO 리그]] 방송 중계권,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컵]], [[UEFA 슈퍼컵]]의 라이센스와 [[WWE RAW]], [[WWE 스맥다운]]의 라이센스, [[K-1]] 라이센스도 따내며 본격적으로 스포츠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2009년]]에는 [[한국프로농구]]의 중계권과 [[V-리그]] 라이센스를 따내는데 성공했고 2012년에는 [[세리에 A]], 여자 프로 [[테니스]] 중계권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2013년]]에는 [[UFC]]와 [[AFC 챔피언스 리그]] 중계권을 획득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자체방송사인 MUTV의 중계권도 확보했다. [[2021년]] 기존 에이클라엔터테인먼트 법인으로부터 [[물적분할]]되어 에이클라미디어그룹 법인이 설립되었으며, 기존 에이클라엔터테인먼트 법인은 유클레아홀딩스로 사명을 변경했다. [[2022년]]에는 한국과 일본의 프리미어 리그 중계권을 3년 간 가지게 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353215|링크]] == 관련 기업 == === [[SPOTV]] === 자신들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중계권을 샀지만 팔리지 않아 골머리를 앓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자회사를 설립하여 [[스포티비]]라는 자체 방송사를 차렸다. 자세한 내용은 [[SPOTV]] 문서 참조. === --[[SPOTV GAMES]] / [[Loud G]]-- === e스포츠의 다종목화를 노리고 SPOTV에서 게임 파트를 분리하여 게임 전문 채널을 개국하고 게임 관련 컨텐츠를 제작했다. 자세한 내용은 --[[SPOTV GAMES]]--[* STATV로 전환해 폐국.] 및 [[Loud G]][* 이후 [[스틸에잇]]에 매각되었고, 2021년 1월 이후에는 운영을 중단하였다.] 문서 참조. === [[SPOTV K]] === 2020년 3월 16일부터 [[SPOTV GAMES]] 송출을 중단하고 그 자리에 개국한 엔터테인먼트 채널. 자세한 내용은 [[SPOTV K]] 문서 참조. === SPOTV NEWS === 2014년 11월부터 [[http://www.spotvnews.co.kr/|SPOTV NEWS]]라는 제호의 온라인 언론을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 뉴스]], [[미디어다음]], [[네이트#s-1.2.4|네이트 뉴스]]에도 기사를 송고하고 있으며 [[https://youtube.com/c/SPORTSTIMESPOTV|유튜브]]와 [[https://tv.naver.com/spotvmaster|네이버TV]], [[https://tv.kakao.com/channel/1706|카카오TV]], [[https://www.facebook.com/spotvnews|페이스북]]을 통한 동영상 뉴스 서비스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 --IEG-- === Internatinal Esports Group INC.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중계권을 위해 만들어진 회사. 2006년에 처음 설립되었다. [[eSTRO]] 프로게임단을 운영[* AMD 드림팀 - 헥사트론 드림팀 - 이네이쳐 탑 게임단을 인수했다.]하면서 [[e스포츠]] 판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고, 이듬해인 2007년에 [[KeSPA]]와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프로리그 중계권 계약을 체결]]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217|기사]] 현재는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아마 프로리그가 사라지면서 함께 사라진 듯. == 논란 == === 대표 횡령 및 [[에이클라 KBO 로비 논란|KBO 로비 의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이클라 KBO 로비 논란)] 2022년 3월 14일, KBO에 대한 에이클라의 로비 의혹을 조사해오던 경찰이 회사를 압수수색했다. 홍원의 대표의 계좌를 추적해 왔던 경찰은 홍 대표가 회삿돈을 횡령해 프로야구 중계권을 가진 KBO에 로비 자금으로 활용한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는데 실제 에이클라가 KBO 사무국 관계자의 친인척에게 총 2억여 원의 돈을 송금한 증거를 경찰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경찰은 홍 대표의 횡령액이 모두 10억여 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홍원의 대표는 모든 혐의를 부인하고 있으며 경찰은 압수수색 결과를 바탕으로 KBO에 대한 조사에도 착수할 예정이여서 프로야구 개막을 앞둔 상황에서 논란이 터질 것으로 보인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055&aid=0000960128|기사]] [[분류:스포츠]][[분류:한국의 기업]][[분류:2021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