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덱 빌드 팩]][[분류:유희왕/밈]] [목차] [INCLUDE(틀:유희왕 덱 빌드 팩 일람/11기)] == 설명 == [[파일:DBAG.png]] > 旧きに放たれし光、新たなる世界へ。 > 오래 전에 뿜어져 나온 빛, 새로운 세계로. '''エンシェント・ガーディアンズ/ANCIENT GUARDIANS''' [[유희왕/OCG]]의 8번째이자 11기 두번째 [[덱 빌드 팩]]. 2021년 3월 06일 발매(일본), 2021년 6월 4일 발매(한국) 8번째에 들어서야 덱 빌드 팩 최초로 펜듈럼 테마가 수록되었다. 공개된 커버 카드들의 일러스트는 지난 빌드 팩인 제네시스 임팩트처럼 평가가 좋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24px-OgdoabysstheOgdoadicOverlord-OW.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24px-UrsarcticSeptentrion-OW.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24px-DoSolfachordCoolia-OW-2.png|width=100%]]}}} || || '''[[명세계|{{{#!html 명세계}}}]]''' || '''[[베어루크티|{{{#!html 베어루크티}}}]]''' || '''[[도레미코드|{{{#!html 도레미코드}}}]]''' || || "묘지를 마음대로 사용하는 대형 몬스터" || "에이스가 되는 싱크로 몬스터" || "음계를 조종하는 펜듈럼 몬스터" || 수록되는 테마는 묘지를 활용하여 상급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파충류족 테마 [[명세계]], [[다크 싱크로 소환]]처럼 레벨의 차이로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하는 테마 [[베어루크티]], 펜듈럼 스케일을 조정하는 테마 [[도레미코드]]. 커버 카드는 [[명세계#명세계신-오그도어비스|명세계신-오그도어비스]], [[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셉텐=트리온|베어루크티-셉텐=트리온]], [[도레미코드#도도레미코드 쿨리아|도도레미코드 쿨리아]]. 발매된지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세 테마 모두 기본 성능도 미묘한데 마땅한 후속 지원도 없어 애매한 입지에 놓여 있는 팩이다. 티어권에 진입한 테마를 배출하지 못했음은 물론, 비교적 무난한 편인 명세계를 제외한 두 테마의 성능이 너무 떨어져 '''최약의 덱 빌드 팩'''으로 밈화까지 된 처지다. 게다가 에인션트 가디언즈 이후로 출시되는 덱 빌드 팩 소속 카드군은 팩 자체로는 문제가 있어도 정규 부스터에서 티어권에 진입 가능한 수준의 추가 지원을 받거나, 아예 지원 없이도 티어권에 진입할 수 있는 파워로 발매되면서 더욱 비교된다. * '''[[베어루크티]]'''는 소속된 레벨 7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플레이가 불가능한 수준임에도 이를 소환하기 위해 드는 패 소모가 너무 격렬해서 성능이 굉장히 떨어진다. 덱 구조상 용병으로 모자란 성능을 커버하기도 어려워, 최대 7회의 턴 제약 없는 드로우 카드인 베어루크티 라디에이션이라는 파격적인 신규 카드를 받은 이후로도 성능 변화가 없다시피 하다. 그나마 [[듀얼리스트 넥서스]]에서 추가된 [[천극휘사-베어트론α]]와 폴라=스타는 상당히 강력한 성능으로 나와 어느 정도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지만 역시 티어권에 있기엔 역부족한 상황이다. * '''[[명세계]]'''는 이들 중에선 상황이 그나마 나은 편. 전개 과정에서 상대에게 어드밴티지를 준다거나 코스트로 몬스터 소비가 격렬한 점 등 약점이 많아 티어권에 준하는 성능은 못 되지만, 평균적인 덱 파워는 가지고 있으며 제대로 된 테마가 없다시피 하던 [[파충류족]]의 강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명세계가 나올 무렵에 그나마 제대로 된 파충류족 테마는 에일리언, 윔 정도가 전부였다. 당시 기준으로 레프티레스나 베놈 등은 카드군이기만 했고, 에볼드는 제대로 된 테마가 아니라 에볼더를 소환하는 트리거에 불과하다. 그나마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 지원으로 레프티레스가 제대로 된 카드군이 되기는 했다.] * '''[[도레미코드]]'''는 기본적으로 운영이나 전개의 난이도가 매우 어렵고, 준비물도 많이 필요하다. 효과 자체는 다채로우나 펜듈럼 테마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할 정도로 특출나지 못하여, 전개 자체도 자신의 기믹보다는 용병으로 채용한 범용 카드에 의존한다. 테마 자체의 개성이나 장점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마땅치 않고, 용병을 채용하는 전제라면 [[세피라]]를 비롯한 다른 펜듈럼 덱에 비해 나은 점이 없다시피 하다. 신규 지원으로 받은 뮤제시아는 너무 저열한 성능으로 놀림감까지 되고 있는 처지다. 그나마 오랜 시간이 흘러 사이버스톰 액세스에서 새롭게 나온 지원 중 그랜도레미코드 쿨리아는 꽤 괜찮은 결과물로 취급받지만, 초동 문제 등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 수록 카드 == 커버 카드는 볼드체. 레어도 표기가 없는 것은 [[노멀]]과 [[패러렐 레어]]. ||카드 번호||카드명||분류||레어도|| ||DBAG-JP001||[[명세계|명세계의 재-눌]]||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02||[[명세계|명세계의 재-나이아]]||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03||[[명세계|명세계의 막-프로기]]||효과 몬스터|| || ||DBAG-JP004||[[명세계|명세계의 막-조하]]||효과 몬스터|| || ||DBAG-JP005||[[명세계|명세계의 황혼-커스]]||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06||[[명세계|명세계의 혼암-알레트]]||효과 몬스터|| || ||DBAG-JP007||[[명세계|명계왕-아론]]||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08||[[명세계|명계비-애뮤네시아]]||효과 몬스터|| || ||DBAG-JP009||'''[[명세계|명세계신-오그도어비스]]'''||'''효과 몬스터'''||'''[[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DBAG-JP010||[[명세계|명세계의 사수련]]||일반 마법||[[슈퍼 레어]]|| ||DBAG-JP011||[[명세계|명세계의 연원]]||필드 마법|| || ||DBAG-JP012||[[명세계|명세계의 허구]]||지속 함정|| || ||DBAG-JP013||[[명세계|명세계의 부르는 이무기]]||일반 함정|| || ||DBAG-JP014||[[도레미코드|도도레미코드 큐티아]]||펜듈럼/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15||[[도레미코드|레도레미코드 드리미아]]||펜듈럼/효과 몬스터|| || ||DBAG-JP016||[[도레미코드|미도레미코드 엘리티아]]||펜듈럼/효과 몬스터|| || ||DBAG-JP017||[[도레미코드|파도레미코드 팬시아]]||펜듈럼/효과 몬스터|| || ||DBAG-JP018||[[도레미코드|솔도레미코드 그레이시아]]||펜듈럼/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19||[[도레미코드|라도레미코드 엔제리아]]||펜듈럼/효과 몬스터|| || ||DBAG-JP020||[[도레미코드|시도레미코드 뷰티아]]||펜듈럼/효과 몬스터|| || ||DBAG-JP021||'''[[도레미코드|도도레미코드 쿨리아]]'''||'''펜듈럼/효과 몬스터'''||'''[[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DBAG-JP022||[[도레미코드|도레미코드 엘레강스]]||일반 마법||[[슈퍼 레어]]|| ||DBAG-JP023||[[도레미코드|도레미코드 스케일]]||일반 마법|| || ||DBAG-JP024||[[도레미코드|도레미코드 하르모니아]]||필드 마법|| || ||DBAG-JP025||[[도레미코드|도레미코드 무지카]]||일반 함정|| || ||DBAG-JP026||[[도레미코드|도레미코드 포멀]]||카운터 함정|| || ||DBAG-JP027||[[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미크폴라]]||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28||[[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미크타너스]]||효과 몬스터|| || ||DBAG-JP029||[[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미크빌리스]]||효과 몬스터|| || ||DBAG-JP030||[[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메가폴라]]||튜너/효과 몬스터|| || ||DBAG-JP031||[[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메가타너스]]||튜너/효과 몬스터|| || ||DBAG-JP032||[[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메가빌리스]]||튜너/효과 몬스터|| || ||DBAG-JP033||[[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폴라리]]||싱크로/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34||'''[[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셉텐=트리온]]'''||'''싱크로/효과 몬스터'''||'''[[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DBAG-JP035||[[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그량=샤리오]]||싱크로/효과 몬스터||[[슈퍼 레어]]|| ||DBAG-JP036||[[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 디파쳐]]||일반 마법||[[슈퍼 레어]]|| ||DBAG-JP037||[[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 슬라이더]]||속공 마법|| || ||DBAG-JP038||[[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 빅디퍼]]||필드 마법|| || ||DBAG-JP039||[[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 퀸트차지]]||지속 함정|| || ||DBAG-JP040||[[크리스탈 걸]]||효과 몬스터|| || ||DBAG-JP041||[[킹그렘린]]||엑시즈/효과 몬스터|| || ||DBAG-JP042||[[스네이크 레인]]||일반 마법|| || ||DBAG-JP043||[[에어즈록 선라이즈]]||일반 마법|| || ||DBAG-JP044||[[흔들리는 눈빛]]||속공 마법|| || ||DBAG-JP045||[[독사의 공물]]||일반 함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