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에티오피아)] ||<-7>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20]]''' {{{#000 에티오피아 외교 관련 틀}}}''' [[파일:에티오피아 국장.svg|width=20]]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동아프리카의 외교)] [include(틀:에티오피아의 대외관계)] [include(틀:에티오피아 관련 문서)] }}} || [목차] == 개요 == 에티오피아는 세계 최초의 [[기독교]] 국가라는 점으로 그에 상응하는 각광도 받고 있다.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되어 있지만, 주변국과는 갈등이 존재한다. 남수단, 지부티와는 교류, 협력이 활발하며 이스라엘과는 종교, 역사적으로 교류가 많은 편이다. [[나일 강]]과 관련해서는 이집트는 앙숙이며 수단과도 갈등이 존재한다. 에티오피아가 경제난을 겪자 대사관 수십곳을 철수시키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737271?sid=104|#]] == [[아시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에티오피아 관계)] 에티오피아는 [[한국 전쟁]] 때 군대를 파견했고 전쟁 이후 최우선적으로 수교를 맺을 정도로 친밀한 관계였다. 그러나 [[냉전]] 시절에 에티오피아가 공산주의 정권이 세워지면서 국교가 단절되었다. 멩기스투 정권이 무너진 뒤엔 국교를 회복하고 관계가 개선되었다. 현재는 에티오피아와 한국간의 교류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전쟁의 인연 덕분에 오늘날의 한국 기업이나 의료진은 에티오피아 난민과 빈곤층을 위해 각종 지원과 의료 봉사로 많이 방문하는 곳이다. === [[파일:북한 국기.svg|height=16]] [[북한]]과의 관계 === 북한과는 한국 전쟁 당시에 전투를 치른적이 있었다. 멩기스투가 쿠데타를 일으켜 공산정권을 세우자 양국은 수교와 동시에 교류, 협력이 활발했다. 멩기스투 정권이 무너진 뒤엔 양국간의 교류가 줄어들었다.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중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에티오피아 관계)] [[중국-아프리카 관계|중국이 아프리카 국가들에 투자를 늘려가면서]] 에티오피아에도 중국의 영향력이 강해지고 있다.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있는 트램과 [[아프리카 연합]] 본부도 중국이 지어준 것이고, 중국계 투자 그룹이 아디스아바바에 99층짜리 마천루를 짓겠다고 나서기도 했다. [[https://dilemma-x.net/2013/07/09/ethiopia-africas-tallest-tower-planned-to-rise-99-stories-in-addis-ababa-by-2017/|#]] 하지만 [[화웨이/논란|본부 건물을 이용해 중국이 아프리카 국가들을 상대로 도청과 해킹을 해온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일대일로]] 사업으로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지부티]]를 잇는 전기철도를 건설하기도 했다. 총 길이 718㎞인 이 선로는 5년 공사 끝에 지난 2016년 완공됐으나, 이용률이 극히 저조하여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 철도 사업으로 중국에 갚아야 하는 빚만 40억 달러(4조 4600억 원)라고 한다. 즉, 돈을 대주고 공사를 한 중국만 돈을 벌고 에티오피아는 거의 쓰지 않는 중국산 철도와 빚더미만 남은 셈.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120609131818322|#]] 이러한 이유로 사회 문단에 나와있듯 [[반중]] 감정이 상당하다. [[아디스아바바]]와 자매도시로서 교류차 가던 [[춘천시]] 관계자들이 몰려든 민중들에게 '중국놈은 꺼져라. 죽여버린다'라는 살벌한 욕설과 삿대질을 당하다 거듭 중국인 아니고 한국인임을 강조하여 가까스로 위기에서 벗어나기도 했다. 2012년 에티오피아에서 의료봉사를 하며 거주 중인 한국인 의사가 목격한 바에도 거리에서 교통사고가 났는데 가해자인 중국 운전자가 렌치를 가지고 피해자를 되려 위협하자 보고 있던 현지인들이 '칭총을 죽여라!'라고 외치며 돌을 내던졌으며 경찰이 오더니만 곤봉으로 그 중국인을 피범벅으로 두들겨 팼다고 한다. 아디스아바바 언론에서도 가해자 중국인이 현지인 구타협박이라고 대문짝처럼 크게 보도했으며 중국 대사관이 사과하며 물러섰을 정도로 혐중을 우려했다고 한다. 현지인들에게 전해들은 말론 아디스아바바 교도소에선 중국인이 3천명이 넘게 수감 중이라는 말도 있다고 한다. 그 바람에 감옥에 갔다온 에티오피아인들은 중국어 원어민이 돼서 나온다는 얘기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height=16]] [[이스라엘]]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티오피아-이스라엘 관계)] 이스라엘과도 수교를 맺었고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이스라엘에도 [[베타 이스라엘|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이 일부 이주했고 에티오피아에도 유대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유대인들과 이스라엘과의 교역이 많아지면서 [[히브리어]]는 에티오피아의 주요 외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 [[유럽]]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6]] [[영국]]과의 관계 === 19세기 때 전쟁을 벌인 적도 있지만 좋은 편이다. 1941년 [[영국군]]이 [[이탈리아 왕국]] 치하로부터 해방시켜 준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멩기스투 정권 시절 반서방 정책을 펼치며 소원해졌다가 회복되었다.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6]] [[프랑스]]와의 관계 === 프랑스와도 매우 좋은 관계이다.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6]] [[독일]]과의 관계 === 에티오피아는 독일과의 교류가 많은 편이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인들중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독일로 건너가는 경우가 존재한다. 독일어는 에티오피아에서 주요 외국어로 지정돼 있다. 독일의 폭스바겐사가 에티오피아에 공장을 세웠다. 2016년 10월 11일, 메르켈 총리가 에티오피아를 방문했다.[[https://www.voakorea.com/a/3545499.html|#]]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6]] [[이탈리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에티오피아 관계)] === [[파일:러시아 국기.svg|height=16]] [[러시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에티오피아 관계)]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6]] [[그리스]]와의 관계 === 그리스와도 괜찮은 관계이다.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종교([[정교회]])쪽에서 매우 가깝다.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height=16]] [[아르메니아]]와의 관계 === 아르메니아와는 [[오리엔트 정교회]] 문화권에다가 세계 최초로 기독교를 공인한 국가들에 속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종파는 다른데 에티오피아 [[암하라인]], [[티그라이인]]들에서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아르메니아에서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가 메이져 종파이다. == [[아프리카]] == === [[파일:남수단 국기.svg|height=16]] [[남수단]]과의 관계 === [[남수단]] 독립 이전에는 에티오피아가 남수단을 지지해 줬지만 남수단 독립 후에는 적대관계로 변했다.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height=16]] [[나이지리아]]와의 관계 === 둘다 동서 양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아프리카 대륙의 나라들이지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인구가 많은 인구대국에다가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 [[파일:지부티 국기.svg|height=16]] [[지부티]]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티오피아-지부티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티오피아-지부티-소말리아 관계)] [[지부티]]와는 매우 우호적이다. 그리고 [[에리트레아]]와 사이가 안 좋아서 에티오피아는 지부티의 항구를 이용하고 있다.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height=16]] [[수단 공화국|수단]]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티오피아-수단 공화국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집트-수단 공화국-에티오피아 관계)] [[수단 공화국|수단]]과 이집트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하며 [[나일 강]]과 관련된 문제에서 수단은 에티오피아를 지지하고 있다. 수단이 이집트와 화해하면서 수단은 에티오피아와 적대관계를 청산하는 중이다. 수단과 에티오피아는 무역관계가 활발한 편이다. 2020년 5월 31일, 에티오피아와 수단 공화국은 국경 문제로 마찰을 빚기 시작했고 폭력사태가 발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645947|#]] 2021년 7월 27일, 에티오피아 북부 암하라 지역 주민들이 [[티그라이 전쟁]]을 피해 수단으로 피난을 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557476|#]]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height=16]] [[에리트레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관계)]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6]] [[이집트]]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집트-에티오피아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집트-수단 공화국-에티오피아 관계)] 에티오피아가 나일 강에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댐]]을 건설하려고 하자 이집트는 반발했다. 이에 이집트는 에티오피아를 견제하고 있다. 2020년 6월 19일에 에티오피아의 게두 안다르가츄 외교장관은 협상과 상관없이 댐에다 물을 채우겠다고 밝히면서 이집트와의 갈등이 시작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692121|#]] 6월 26일에 이집트와 수단, 에티오피아는 나일 강 상류에 건설 중인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의 담수를 미루는 데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07601|#]] ~~에티오피아판 평화의 댐~~ 하지만 에티오피아와 이집트간의 나일 강 댐 협상이 무위로 끝나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45433|#]] 중재가 무산되자 에티오피아측은 댐의 물을 채우기 시작했고 이집트는 이에 반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8&aid=0002505356|#]] 7월 21일에 에티오피아는 이집트, 수단과 함께 대화를 재개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277&aid=0004723176|#]] === [[파일:케냐 국기.svg|height=16]] [[케냐]]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케냐-에티오피아 관계)] [[케냐]]와도 사이가 안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height=16]] [[소말리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티오피아-소말리아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티오피아-지부티-소말리아 관계)] [[소말리아]]와는 사이가 매우 좋지 못한 편이다. 실제로 양국간에 전쟁도 했었고 현재도 소말리아-에티오피아 국경은 폐쇄되어 있다. 2019년 5월 27일에 에티오피아 측에서 소말리아 영토를 에티오피아의 영토로 표시한 지도를 게재하자 소말리아 측의 항의를 받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852340|#]] == [[아메리카]]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6]] [[미국]]과의 관계 === 제정 붕괴 직후인 1970, 80년대 당시 멩기스투 군사 독재 시절에는 소원해진 적이 있었다. 그러다가 1991년에 멩기스투 독재 정권이 실각한 이후에 다시 회복되었다. 에티오피아의 댐분쟁 협상이 진척을 보이지 않자 미국은 에티오피아에 대한 금융 원조 일부를 중단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59869|#]] 2021년 5월 22일, 에티오피아의 5G 통신 시장에서 미국이 중국을 이겼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15661?sid=104|#]]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6]] [[멕시코]]와의 관계 === 멕시코와는 1949년에 수교를 맺었고, UN 산하 개발도상국들의 협력체인 G-24 회원국에 같이 속해있다. 멕시코의 수도 [[멕시코 시티]]에는 에티오피아 광장(Plaza Etiopía)이 있고,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에는 멕시코 광장이 있다고 한다. == 지역별 관계 == * [[한국-에티오피아 관계]] * [[중국-에티오피아 관계]] * [[에티오피아-이스라엘 관계]] * [[러시아-에티오피아 관계]] * [[이탈리아-에티오피아 관계]] * [[이집트-에티오피아 관계]] * [[에티오피아-수단 공화국 관계]] * [[이집트-수단 공화국-에티오피아 관계]] *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관계]] * [[에티오피아-지부티 관계]] * [[에티오피아-소말리아 관계]] * [[에티오피아-지부티-소말리아 관계]] * [[케냐-에티오피아 관계]] == 관련 문서 == * [[아프리카 연합]] * [[녹색성장 및 2030 글로벌 목표를 위한 연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동아프리카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에티오피아, version=621)] [[분류:에티오피아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