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936b, #dcc18b, #dcc18b, #ab936b);" '''[[성인(기독교)|{{{#8a7b63,#8a7b63 성인}}}]][br]{{{#3b394c,#3b394c {{{+1 에프렘}}}}}}[br]{{{-1 {{{#fff,#fff ''Sanctus Ephræ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프렘.jpg|width=100%]]}}} || ||<|2> '''출생''' ||[[306년|306년경]] ||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width=20]] [[로마 제국]] [[메소포타미아 문명|메소포타미아]] [[니시비스]] || ||<|2> '''사망''' ||[[373년]] [[6월 9일]] ||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width=20]] [[로마 제국]] [[샨르우르파|에데사]] || || '''국적'''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5]] [[시리아]] || || '''직책''' ||[[부제(성직자)|부제]], [[신학자]], [[작가]], [[시인(문학)|시인]], [[작곡가]], [[작사가]], [[교사]], [[연설|웅변가]] || || '''칭호''' ||'''[[성령]]의 [[하프]]''', [[교회학자]][* 1920년 [[교황]] [[베네딕토 15세]]가 천명.], [[교부]], 신앙의 스승, 신앙의 기둥, [[성모 마리아|원죄 없는 잉태]]의 증인 || || '''이명''' ||시리아의 에프렘 {{{#!folding [언어별 명칭] [[라틴어]]: 에프램 시루스[br]{{{-2 (Ephræm Syrus)}}} [[시리아어]]: 아프렘 수르야야[br]{{{-2 (ܐܦܪܝܡ ܣܘܪܝܝܐ)}}} [[코이네 그리스어]]: 에프라임 오 시로스[br]{{{-2 ( Ἐφραὶμ ὁ Σῦρος)}}} [[영어]]: 에프렘 더 시리안[br]{{{-2 (Ephrem the Syrian)}}} [[프랑스어]]: 에프렘므 르 시리앙[br]{{{-2 (Éphrem le Syrien)}}} [[독일어]]: 에프램 데어 지러[br]{{{-2 (Ephräm der Syrer)}}} [[스페인어]]: 에프렌 데 시리아[br]{{{-2 (Efrén de Siria)}}} [[이탈리아어]]: 에프렘 일 시로[br]{{{-2 (Efrem il Siro)}}} [[네덜란드어]]: 에프렘 데 시리어[br]{{{-2 (Efrem de Syriër)}}} [[폴란드어]]: 에프렘 시리치크[br]{{{-2 (Efrem Syryjczyk)}}} [[일본어]]: 시리아노에후레무[br]{{{-2 (シリアのエフレム)}}} }}} || || '''상징물''' ||[[두루마리]], [[전례복]], [[향로]], [[리라(악기)|리라]] || || '''축일''' ||[[1월 28일]]^^([[정교회|비잔틴 전례]] [[동방 가톨릭 교회|교회]])^^[br][[부활절]] 전 7번째 토요일^^([[시리아 정교회]])^^[br][[6월 9일]]^^([[가톨릭]], [[성공회]])^^[br][[6월 18일]]^^([[마론파]])^^[br][[7월 22일|에피프 15일]]^^([[콥트 정교회]])^^ || || '''수호''' ||[[지도자|영적 지도자]] || [목차] [clearfix] == 개요 == >'''성령의 하프(ܟܢܪܐ ܕܪܘܚܐ)'''[* [[시리아어]]. '케나아라 드루하'라고 발음한다.] [[로마 제국]] 시대에 활약한 [[시리아]]의 [[부제(성직자)|부제]], [[신학자]], [[작가]], [[시인(문학)|시인]], [[종교음악]] [[작곡가]] 및 [[작사가]], [[교사]], 그리고 [[연설|웅변가]]. 현재 그는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의 [[성인(기독교)|성인]]으로 추대되고 있으며 '''교회 전례에 노래를 도입한 최초의 인물'''이자 '''[[성서학]]의 기틀을 공고히 다지는 데에 기여한 인물'''이다. 주로 출신지 이름을 넣어 '[[시리아]]의 에프렘', 혹은 '[[니시비스]]의 에프렘', '[[샨르우르파|에데사]]의 에프렘'이라고도 불리운다. == 생애 == [[로마 제국]]의 [[메소포타미아 문명|메소포타미아]]의 [[니시비스]] 태생인 에프렘은 어느 이방인 사제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양친이 [[기독교]]로 개종하게 됨에 따라 18세 때에 세례를 받았다. 그는 니시비스의 성 야고보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후일 이 학교의 교사이자 책임자가 되었다. 325년에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하였기도 했다. 350년, [[페르시아]]의 침입 때 에프렘은 신에게 기도를 올려 니시비스가 해방되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고 전해지며, 이후 그는 학교를 세워 니시비스가 동방 학문의 중심지로 부흥하는 데에 일조를 했다. 그러나 363년 [[요비아누스]] 황제가 니시비스 지역을 페르시아에 이양하자, 그는 기독교 신자들과 함께 [[샨르우르파|에데사]]로 피신한 뒤 그곳의 동굴에 머무르며 고향의 신자들과 에데사의 신자들에게 가르침을 주어 큰 신용을 얻었다. 에프렘은 [[부제(성직자)|부제]]로 서품되었고, 그를 공경하는 주변 인물들이 그에게 [[주교]]와 [[사제]] 같은 더 높은 자리로 오르기를 원했지만 정작 에프렘 자신은 이를 사양했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그를 존경하고 따랐지만, 그는 오히려 에데사의 동굴에서 검소하고 엄격한 생활을 했고 자신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스스로를 '[[목동]]'이라고 낮춰 부르며 언제나 겸손한 자세를 유지했다. 에프렘은 372년 에데사에서 전염병이 나돌고 극심한 기근이 발생했을 때, 병마와 식량난에 시달리는 마을 주민들을 위하여 직접 그 험난한 현장을 찾아가 봉사를 했다고 한다. 당시 그의 주된 일은 에데사의 모든 주민들에게 공평하게 식량을 나누어 주는 작업이었다고 하는데, 마을 주민들은 식량을 정확히 배분해 줄 사람은 에프렘말고는 없다고 모두 입을 모았을 정도로 그를 신뢰했다. 그렇게 헌신적으로 일했던 그는 자신 역시 전염병에 걸려 373년 세상을 떠났다. == 업적 및 평가 == >'''“[[아람#s-2|아람인]]들의 왕관”''' >---- >— 사루그의 야고보 >'''“당신은 이제 신성한 제단에서, [[예수|생명의 왕자]] 앞에서, 천사와 함께, 가장 거룩한 삼위일체를 찬양하며 하느님을 보조하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를 기억하시고, 우리의 죄를 용서해 주십시오.”''' >---- >— 니사의 그레고리오 >'''“그러므로, 공통적이고 근본적인 기독교 정체성은 에프렘 그 자신의 문화적 표현의 특수성에서 나타난다: 믿음과 하느님께 모든 기대를 걸며 이 세상에서 궁핍하고도 순결하게 사는 것을 가능케 하는 희망, 그리고 마지막으로, 역병에 걸린 사람들을 간호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바칠 정도로 베푸는 자선이다.”''' >---- >— [[교황]] [[베네딕토 15세]] 대학자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글솜씨에 깊은 통찰력, 그리고 박학다식한 지성까지 겸비한 에프렘은 성서적 근원을 밝히는 데에 큰 비중을 차지한 굵직한 저서들을 비롯하여 종교적인 내용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시들, 그리고 성서 주석, 교의 및 수덕 생활에 관한 수많은 글을 [[시리아어]]로 남겼다. 또한 그는 이단을 반박하는, 특히 [[아리우스파]]와 [[영지주의]]를 공격하는 중요한 논리를 서술하였고, [[최후의 심판]]과 관련된 신학적 기틀을 다졌다. 이외에도 에프렘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깊었는데, 그가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음을 학문적으로 단언하였기 때문에 흔히 '원죄 없는 잉태의 증인'으로도 불린다. 그의 글들은 일찍이 [[코이네 그리스어]], [[라틴어]], [[콥트어]], [[아르메니아어|고대 아르메니아어]], [[조지아어|고대 조지아어]] 등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번역되어 자주 사용되었고, 훗날 [[성서학]]과 같은 종교적인 영역을 넘어 [[단테 알리기에리]] 등과 같은 문학 및 예술가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시간이 흘러 에프렘은 1920년 교황 [[베네딕토 15세]]에 의하여 [[교회학자]]로 선포되었다. 에프렘의 행보와 업적이 동방 교회를 넘어 서방 교회까지 실제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 성가 === [youtube(fBKruJAhuXo)] [youtube(oTcsS-CBEa8)] >'''“비할 데 없을 정도로 비범한 솜씨로 하느님을 찬미하여 노래하는 성가들과 글들을 남긴 성령의 하프.”''' >---- >— [[교황]] [[베네딕토 16세]] 에프렘의 대표적인 칭호는 다름 아닌 '성령의 하프'인데, 이는 그가 만든 [[성가]]들에 기인한다. 그는 음악적인 재능도 지녀 수많은 성가들을 작곡 및 작사를 했고, 이를 교회 예배에 최초로 도입함과 더불어 신앙 교육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현재는 교회 예배에 성가 및 [[찬송가]]가 등장하는 것은 매우 당연히 여기지만, 당시로서는 굉장히 신선한 시도였다.] 현재까지도 그의 성가들은 시리아 전례 교회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분류:306년 출생]][[분류:373년 사망]][[분류:로마 제국의 기독교 신자]][[분류:부제]][[분류:기독교 신학자]][[분류:작가]][[분류:시인]][[분류:종교 음악가]][[분류:교육인]][[분류:교회학자]][[분류:교부]][[분류:가톨릭 성인]][[분류:정교회 성인]][[분류:성공회 성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