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AxeRaider-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엑스 레이더'''|| || 일어판 명칭 ||<-4>'''アックス・レイダー'''|| || 영어판 명칭 ||<-4>'''Axe Raid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4.] || 땅 || 전사족 || 1700 || 1150 || 원작 [[유희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죠노우치 카츠야]]가 사용한 카드로 등장. 보통은 당하는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지만 [[미궁형제]]와의 듀얼에서는 [[쇠사슬 부메랑]]을 장착해 [[어둠의 유우기]]의 [[엘프 검사]]를 구해주는 활약을 하기도 했다. 원작에선 '''레벨 6'''으로 등장했기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부터는 등장하지 않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OCG에 맞춰 레벨 4가 되었기에 몇 번 더 등장했다. 공격명은 '질풍 베기(疾風斬り)'. === 반다이판 === [[파일:AxeRaider-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엑스 레이더'''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アックス・レイダー'''|| || 영어판 명칭 ||<-3>'''Axe Raid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전사족 || 2300 || 1500 || ||<-4>도끼를 쓰게 하면 능가할 자는 없다.|| ||<-4>'''~룰 ⑦~'''[br]전투 종료 후, 카드뭉치에서 카드를 1장 뽑고, 패에 넣는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AxeRaider-DM2-JP-VG.png|width=100%]] || [[파일:AxeRaider-DM3-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 한글판 명칭 ||<-4>'''엑스 레이더'''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アックス・レイダー'''|| || 영어판 명칭 ||<-4>'''Axe Raid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흙마족 || 전사족 || 1700 || 1150 || ||<-5>도끼를 가진 전사. 한손으로 휘두르는 도끼의 공격은 상당히 강력하다.||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card100044031_1.jpg]] || 한글판 명칭 ||<-4>'''엑스 레이더'''|| || 일어판 명칭 ||<-4>'''アックス・レイダー'''|| || 영어판 명칭 ||<-4>'''Axe Raid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전사족]] || 1700 || 1150 || ||<-5>도끼를 가진 전사. 한손으로 휘두르는 도끼의 공격은 상당히 강력하다.|| ||<-5>'''"별다른 재주도 없는 평범한 전사족 카드인가…… 엑스레이더!"''' ([[해골수스(유희왕 듀얼링크스)|해골수스]],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5>'''"엑스 레이더! 초희귀 카드라고!"''' ([[조이(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조이(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평가가 극과 극이다.--|| 1기에 나온 하급 전사족 몬스터 중에서는 가장 공격력이 높았으며, 전사족 이외를 포함해도 충분히 능력치가 높은 편에 속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X-세이버 아나페레라]]보다 딸리는 건 둘째치고 [[전사 다이 그레퍼]]와 비교해봐도 '''완전한 하위호환'''이라 쓸 구석이 없다. 사실 아나페레라와 비교해봐도 이 카드가 나은 건 수비력이 고작 50 높은 게 전부다. 일본에서 발매된 [[부스터(유희왕)|Booster Chronicle]]에서는 [[울트라 레어]]로 수록되었다. 더 강한 카드도 있지만 [[두 머리의 킹렉스]]와 마찬가지로 원작에 등장한 카드라는 점에서 더 우대를 받은 듯 한데, 이로 인해 [[쌍둥이 자매 엘프]]나 [[메카 헌터]]를 노리다 이 카드가 뽑히게 된 플레이어가 좌절하는 광경도 부지기수였다. 한글판 카드의 이름이 '''엑'''스 레이더로 되어 있는데, 당연히 [[X]]를 말하는 게 아니라 [[도끼]]를 뜻하는 Axe를 그렇게 써 놓은 것이다. 즉 [['ㅐ'와 'ㅔ'의 구별|'''액'''을 잘못 쓴 것.]] === [[유희왕 듀얼링크스]] === [[파일:액스레이더 UR.jpg|width=50%]]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꽝카드]]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카드다. [[THE ULTIMATE RISING]] 팩에서는 [[울트라 레어]] 카드이기 때문. 왜 이런 카드가 UR이냐며 의구심이 들겠지만 당시는 듀얼링크스의 초창기였고 하급 몬스터들의 공격력 상한선이 1600이라 엑스 레이더는 '최강의 범용 하급 어태커'로 디자인된 카드였다. 그런 만큼 그 당시에는 인기가 매우 높았던 카드이다. 하지만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며 공격력 1700 정도의 몬스터는 후기 팩에선 그냥 평범하게 등장하기 때문에 자연스레 가치가 떨어진 것. 당장 다음 팩인 [[NEO-IMPACT]]에서 공격력이 더 높은 [[제리 빈즈맨]]이 SR로 등장하더니, 그 다음 팩인 [[FLAME OF THE TYRANT]]에서는 '''공격력, 종족과 속성이 똑같은''' [[전사 다이 그레퍼]]가 R등급을 달고 출시되었다. 이후 액스 레이더와 전사 다이 그래퍼의 상위호환인 [[X-세이버 아나페레라]]는 스트럭처 덱 [[LEGENDARY WARRIORS]]를 한 통 사면 3장이 그냥 들어온다. 여기서 시간이 더 지나 [[BLACKSTORM RISING]]에서 공격력이 2000인 [[환상의 그리폰]]은 UR도 아니고 SR로, [[DIMENSION OF THE WIZARDS]]에서는 [[잭나이츠 아브람]]이 SR도 아니고 R로 등장하기까지 했다. UR이긴 하지만 이벤트 파밍 보상으로 나와서 UR 티켓으로 획득 가능한 [[G전대 샤인블랙]]도 있다. 이렇게 피해를 본건 [[VALKYRIE'S RAGE]]의 [[듀나미스 발키리어]]와 [[CRIMSON KINGDOM]]의 [[대목인18#화염목인18|화염목인18]]도 마찬가지지만, THE ULTIMATE RISING 은 매우 강력한 범용 견제 카드로 위상이 높은 [[크리보르]]가 포함되어 있고 최초의 메인 상자라는 특수성까지 있어서 엑스 레이더의 평판이 독보적이다. 같은 팩에서 나오는 [[심판자(유희왕)|심판자]]도 엑스 레이더에 준하는 취급을 받긴 하지만, 이 쪽은 SR라서 악명은 덜한 편이다. == 관련 카드 == === [[맥스 레이더]] === 액스 레이더의 [[러시 듀얼]] 버전 리메이크. 일반 몬스터인 건 여전하지만 일러스트도 새로 그려졌고, 스탯 자체도 레벨 7에 2400/1400으로 OCG보다 강화되었다. [[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