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소니 모바일]]의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브랜드. 주로 일본 [[NTT 도코모]]를 통해 출시되는 사실상 전용 라인업이다. 기반은 비슷한 시기에 출시되는 [[엑스페리아 Z 시리즈]]의 산하 라인업인 Compect 라인업이기에 하드웨어 성능은 일반 중급형 수준이 아니라 플래그쉽 혹은 하이엔드 급이다. 그런데, [[NTT 도코모]]는 [[엑스페리아 Z 시리즈]]의 산하 라인업인 Compect 라인업의 [[스마트폰]]과 이쪽을 전부 출시한다. ~~같은 성향의 기기를 두 개나 내는건 무슨 상황~~ 이후 [[엑스페리아 X]]으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소속 기기 == * 엑스페리아 A & 엑스페리아 ZR * 엑스페리아 A2 * [[엑스페리아 A4]] [각주] === 소니 모바일 엑스페리아 A === ||<-4> [[파일:XpA_1.jpg|width=100%]] || || 블랙 || 화이트 || 핑크 || 민트 || ||<-4> [[http://www.sonymobile.co.jp/xperia/docomo/so-04e/|일본 소니 모바일 Xperia A SO-04E 공식 사이트]] || ==== 개요 ==== [[소니 모바일]]이 2013년 1월, CES 2013에서 공개한 [[엑스페리아 Z]]의 파생 모델로, 2013년 5월에 출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개발 코드네임은 Dogo. ==== 사양 ==== ||<-2>[[SoC|프로세서]]||<-2>[[퀄컴 스냅드래곤]] S4 Pro APQ8064 [[SoC]]. [[Qualcomm Krait]] MP4 1.5 GHz [[CPU]], [[퀄컴 Adreno]] 320 400 MHz [[GPU]]|| ||<-2>[[메모리]]||<-2>2 GB LPDDR2 SDRAM, 8 / 32 GB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최대 64 GB 지원)|| ||<-2>[[디스플레이|디스]][br][[디스플레이|플레이]]||<-2>4.55인치 [[해상도/목록|HD]](1280 x 720) RGB 서브픽셀 방식의 TFT-LCD (323 ppi)[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2>[[네트워크]]||<-2>[[LTE]] Cat.3[* 지원 모델 추가 지원],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GSM|GSM & EDGE]]|| ||<-2>근접통신||<-2>[[Wi-Fi]] 802.11a/b/g/n, [[블루투스]] 4.0, [[NFC]]|| ||<-2>[[카메라]]||<-2>전면 30만 화소, 후면 1,3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2>[[배터리]]||<-2>Li-Ion 2300 mAh|| ||<-2>[[운영체제]]||<-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4.1 → 4.2[* 일본 내수용 모델인 SO-04E는 여기서 중단되었다.] → 4.3 (Jelly Bean) → 4.4 (KitKat) → 5.0 → 5.1 (Lollipop)[* 2016년 2월 19일 기준, 중국 내수용 모델인 m36h만 실시.][br][[소니 레이첼]] & [[NTT 도코모 Live UX]][* NTT 도코모 추가 지원.]|| ||<-2>규격||<-2>67.3 x 131.3 x 10.5 mm, 138 g|| ||<-2>단자정보||<-2>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도킹 단자 x 1|| ||<|2>기[br]타|| '''기본''' ||<|2> IP5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FM#s-2]] 라디오 지원|| || '''{{{#ff0000 일본}}}''' ||[[원세그]] TV 지원|| ==== 상세 ==== [[소니 모바일]]의 2013년 상반기 플래그쉽 [[스마트폰]]인 [[엑스페리아 Z]]의 소형화 파생 모델이다. 사실, 엑스페리아 A는 일본 정식 발매명이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정식 발매명은 엑스페리아 ZR이다. 이후, 해당 [[엑스페리아 Z 시리즈]] 산하 라인업인 Compact 라인업으로 넘어갔다. 전반적으로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보다 크기가 작아졌으나, 사양은 본가 모델과 동결이다. 이 때문에 실 성능과 배터리 타임은 Full-HD 해상도인 본가 모델보다 개선되었다. 문제는, 두께가 상당히 두껍다. 10.5 mm로 즉, 1 cm를 넘긴다. 본가 모델이 [[갤럭시 S4]] 수준의 7.9 mm임을 고려할 때 약 2.5 mm정도 더 두꺼운 것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S4 Pro APQ8064를 사용한다. [[Qualcomm Krait]]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320 [[GPU]]를 사용한다. 이는 본가 모델과 동일한 AP이다. RAM은 LPDDR2 SDRAM 방식이며 2 GB다. 내장 메모리는 8 GB 단일 용량이나, 시스템 사용 용량 등 이것저것을 제외하면 4.5 GB정도만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일본 내수용은 32 GB 단일 용량으로 출시되었다. 이외에도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4.55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은 TFT-LCD를 사용한다. 또한 본가 모델과 동일한 시야각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LTE]] Cat.3와 [[LTE]] 미지원 3G 모델이 있다. [[LTE]]를 지원하는 경우 다운로드 최대 10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한다. 배터리 용량은 착탈식 2300 mAh을 사용한다. 후면 [[카메라]]로는 소니 엑스모어 IMX135 센서의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하며 전면 [[카메라]]는 30만 화소의 VGA 규격을 만족하는 [[카메라]]를 탑재했다. 여기에 방수 방진 기능을 지원한다. 등급은 IP58로,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가 IP57 등급이었던 것을 고려할 때 방수 등급이 한 단계 올라갔다. 안드로이드 4.1 젤리빈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4.1.x이다. ===== Xperia A Feat.Hatsune Miku Edition ===== [[파일:엑스페리아 Z/miku.jpg]] 2013년 9월, 일본 [[NTT 도코모]]를 통해 39,000 대 한정으로 엑스페리아 A [[하츠네 미쿠]] 에디션이 출시되었다.[* 여담이지만 3과 9를 [[고로아와세|미쿠라고 읽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아이폰 5s]]가 출시되면서 일본 내에서도 철저하게 묻혔고, 한정 판매라는 방식이 무색하게 미개봉 신제품 기기를 입수하기 매우 수월했다. 출시 3년이 다되가는 2016년 7월 7일 현재 시점으로도 일본 아마존에서 미개봉 신품을 32,000엔에, 리퍼/중고는 16,000엔에 구할수 있으며[* 다만 지금 시점에서 소장용도가 아닌 이상 구입을 권장하지는 않는다. 왜인지는 아래항목을 참고] 이 때문에 한국에 [[해외직구]]로 기기를 구해와서 실사를 하는 사용자도 간간히 나타나기도 했다. 다만, [[NTT 도코모]] 정책에 따라 [[SIM 락]]을 진행해야 한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4G [[LTE]]는 사용할 수 없고 3G [[WCDMA]]로만 사용해야한다. 또한, 안드로이드 5.0 롤리팝 이상으로 올라가는 OS 업그레이드는 포기해야 하며[* 심지어 4.4 킷캣마저 업데이트가 [[내가 고자라니|안되는]] 상황이라 일부 앱들의 사용이 힘들다.] 설상가상으로 2015년 9월 18일부터 미쿠앱(관련 뉴스, 음악, 배경화면 콘텐츠 등...) 콘텐츠 지원도 종료되어 그야말로 외관빼면 시체가 된 상황이다. SKT는 LTE로 사용 가능하며, KT는 죽었다 깨어나도 3G로만 사용 가능하다. (LTE로는 개통불가 확인,3G(HSPA+)로 현재 사용중) 한국은 제조사가 펌웨어를 제공하지만 일본은 통신사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업그레이드 불가. 도코모 메일계정 (폰 개통시 나오는 메일어드레스) 을 연동하기 때문에 통신사 고갱님이 아니면 못드림! 이란 경우. 샤프 드래곤퀘스트 모델은 4.4 킷캣까지 업데이트 할 수 있다고 알림은 오지만 이도 한국에서 사용하면 마찬가지 이유로 불가. 여담으로, [[엑스페리아 Z5 컴팩트]]가 출시되면서 이를 기반으로한 [[하츠네 미쿠]] 에디션이 출시된다는 주장이 존재했으나 결국 루머로 결론나기도 했었다. ==== 비판 ==== [[블루투스]]와 [[Wi-Fi]] 기능에 결함이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는 일본 내수용이든 글로벌 모델이든 동일하게 적용되며 한정 판매된 엑스페리아 A [[하츠네 미쿠]] 에디션역시 초기 생산분에서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소니 모바일]]은 최신 펌웨어로 업데이트 하든가 초기화 후에도 문제가 지속할 경우 대리점을 통해 수리를 청구하라고만 할 뿐, 구체적으로 [[https://talk.sonymobile.com/t5/Xperia-Z-ZL-ZR/Bluetooth-not-working-in-Xperia-ZR/td-p/346565|해결하려고 하지 않아 많은 비판을 받았다]]고 한다. 원인을 [[http://forum.xda-developers.com/xperia-zr/help/bluetooth-fix-hardware-t2930079|분석]]한 결과, 설계 결함이라고 한다. [[블루투스]]와 [[Wi-Fi]] 관련 칩셋과 마더보드와의 접촉이 쉽게 떨어지게 되어있고, 불안정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기기에 충격이 가거나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블루투스]]와 [[Wi-Fi]] 기능이 갑작스럽게 고장날 수 있다고 한다. 설계 상 [[Wi-Fi]] 보다는 [[블루투스]]가 더 불안정한 위치에 있다고 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엑스페리아 Z, version=105)] ----- === 소니 모바일 엑스페리아 A2 === || [[파일:XpA2_1.jpg|width=100%]] || || [[http://www.sonymobile.co.jp/xperia/docomo/so-04f/|일본 소니 모바일 Xperia A2 SO-04F 공식 사이트]] || ==== 개요 ==== [[소니 모바일]]이 2014년 6월에 출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사양 ====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 [[SoC]]. [[Qualcomm Krait]] 400 MP4 2.2 GHz [[CPU]], 퀄컴 Adreno 330 [[GPU]]|| ||[[메모리]]||2 GB LPDDR3 SDRAM, 16 GB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최대 128 GB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디스플레이|플레이]]||4.3인치 [[해상도/목록|HD]](1280 x 720) RGB 서브픽셀 방식의 Triluminos Display for Mobile (IPS TFT-LCD 방식 & 342 ppi)[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아사히글래스 드래곤테일 글래스|| ||[[네트워크]]||[[LTE]] Cat.4,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GSM|GSM & EDGE]]||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0+LE, [[NFC]]/[[FeliCa]], ANT+|| ||[[카메라]]||전면 220만 화소, 후면 2,070만 화소 [[AF]] 지원 F2.0 G렌즈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2300 mAh||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4.4 (KitKat)[br][[소니 레이첼]] & [[NTT 도코모 Live UX]]|| ||규격||65 x 128 x 9.7 mm, 138 g||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도킹 단자 x 1|| ||기타||IP5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원세그]] TV 지원|| ==== 상세 ==== 엑스페리아 A의 후속작이다. 전반적으로 [[엑스페리아 Z1 컴팩트]]와 유사한 사양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제품 규격에서 조금 차이가 난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를 사용한다. [[Qualcomm Krait]] 400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330 [[GPU]]를 사용한다. 이는 [[엑스페리아 Z1 컴팩트]]와 동일한 AP이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2 GB다. 내장 메모리는 16 GB 단일 용량이며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4.3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은 IPS TFT-LCD 계열의 Triluminos Display for Mobile을 사용한다. 전작과 비교했을 때 크기가 소폭 작아졌으나 [[엑스페리아 Z1 컴팩트]]와 비교할 때 동일한 [[디스플레이]] 크기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4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하며 20 MHz 대역폭의 광대역이 구축된 [[LTE]]에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300 mAh을 사용한다. 후면 [[카메라]]로는 G렌즈 기술[* 소니가 인수한 미놀타 카메라의 고급 렌즈를 G렌즈라고 부른다.]이 적용된 소니 엑스모어 IMX220 센서의 2,070만 화소 카메라를 사용하며 전면 [[카메라]]는 22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여기에 방수 방진 기능을 지원한다. 등급은 IP58로,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가 IP57 등급이었던 것을 고려할 때 방수 등급이 한 단계 올라갔다. 안드로이드 4.4 킷캣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4.4.x이다. [각주] ----- === [[엑스페리아 A4|소니 모바일 엑스페리아 A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sign-im.jpg|width=100%]]}}} || ||<-2><#000000> {{{#ffffff '''SO-04G'''}}}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엑스페리아 A4)] [각주] ----- [[분류:스마트폰(안드로이드)/소니]][[분류:소니 엑스페리아]][[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3년]][[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4년]][[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