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엑조디아, top3=엑조디아(유희왕/카드군))] [목차] == 설명 == === 원작 === [include(틀:유희왕 DM의 분기별 보스 몬스터)] [[파일:external/uploads3.yugioh.com/Exodia-Necros.jpg]][* OCG 이전에 등장한 [[PlayStation 2|PS2]] 게임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 등장 당시의 [[소환신 엑조디아]]와 구도가 유사하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의식=, 한글판명칭=엑조디아 네크로스, 일어판명칭=エクゾディア・ネクロス, 영어판명칭=Exodia Necross,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0, 효과외1="엑조디아와의 계약"에 의해 의식 소환. 이 카드는 다음 카드들이 묘지에 존재할 경우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1=●봉인된 엑조디아: 이 카드는 전투에 의해서는 파괴되지 않는다(데미지 계산은 적용한다)., 효과2=●봉인된 자의 왼쪽 다리: 이 카드는 마법 카드의 효과에 의해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봉인된 자의 오른쪽 다리: 이 카드는 함정 카드의 효과에 의해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봉인된 자의 왼쪽 팔: 이 카드는 다른 몬스터의 효과에 의해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5=●봉인된 자의 오른쪽 팔: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할 경우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0 상승한다.,)] >'''계약에 따라 나오너라, 엑조디아 네크로스!''' >---- >[[유별난]] 듀얼링크스 소환 대사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카이바 고자부로]]가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한 몬스터. 원작에선 상기와 같이 의식 몬스터였다. 공격력은 엑조디아 파츠 5장의 공격력을 합친 수치이며 수비력은 좀비라는 설정에 맞춰 0으로 나왔다. 효과 중 봉인된 자의 오른쪽 팔로 얻게 되는 효과는 절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가 '''아니다.''' 전투만 1번 하면 무조건 공격력이 '''1000씩 상승'''하는 정신나간 효과를 가진 것도 모자라 어떤 효과로도 파괴되지 않는 강력한 효과 파괴 내성을 가지고 있다. 지금이야 대상 내성이나 제외 내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걸 이용해 [[차원 유폐]]같은 카드로 날릴 수도 있지만 당시 환경을 고려했을 때, 저 정도의 내성을 가진 것만 하더라도 실로 무서운 카드. 이렇게 무지막지한 파괴 내성과 공격력으로 세토를 압박했지만, 몬스터의 스펙으로만 승부하는 단순무식한 전략 탓에 결국 [[영혼 분쇄]] 때문에 묘지의 봉인된 몬스터들이 전부 제외되고 [[푸른 눈의 백룡]]에게 관광당했다. 묘지에서 봉인된 몬스터가 전부 제외되자 원본의 엑조디아와 같은 색으로 변했다. 그리고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자신의 푸른 눈의 백룡 3장이 봉인된 엑조디아한테 대차게 파괴되었는데 이번엔 푸른 눈의 백룡으로 엑조디아를 쓰러뜨리는 것도 한편의 백미. 공격명은 '엑조디아 크래시(エクゾディア・クラッシュ / Exodia Crash)'. 더빙판 공격명은 '엑조디아 펀치(Exodia Punch)'.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include(틀:유희왕/OCG/1 ~ 3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xodiaNecross-MB01-JP-MLR.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ExodiaNecross-MB01-KR-MLR-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 소환=, 한글판명칭=엑조디아 네크로스, 일어판명칭=エクゾディア・ネクロス, 영어판명칭=Exodia Necross,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엑조디아와의 계약"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전투 및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3=③: 자신의 묘지에 "봉인된 엑조디아" "봉인된 자의 오른쪽 팔" "봉인된 자의 왼쪽 팔" "봉인된 자의 오른쪽 다리" "봉인된 자의 왼쪽 다리" 중 어느 것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전투 및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지 않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자신 스텐바이 페이즈마다 공격력이 강화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묘지에 [[엑조디아]] 파츠 중 1장이라도 갖춰지지 않았을 경우에 자괴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원작에서는 각 몬스터 별로 효과를 얻는 식이었지만 OCG화되면서 더 간편하게 통합하였다. 그러나 몬스터 효과 파괴 내성은 삭제되어 약화되었다. 또한 파괴보다 되돌리기나 제외를 노리는 마법 / 함정 카드가 대거 등장하였기에 사용하기는 힘들다. 소환 조건이 까다로운 것에 비해 기본 능력치도 안 좋은데, 공격력 상승폭과 상승 속도도 하향되었다. 게다가 원작과는 달리 묘지의 엑조디아 파츠 중 1장이라도 존재하지 않으면 바로 파괴되기 때문에 [[무덤의 지명자|약점]]이 너무 많다. 이래저래 쓰기 힘든 카드. 덕분에 묻혔다. 같은 부스터 팩 출신인 [[뱀파이어 로드(유희왕)|뱀파이어 로드]]나 [[카이저 글라이더]] 등은 한 때 쓰이기라도 했지만 얘는 커버 몬스터 주제에 그런 적도 없다. 한술 더 떠서 소환도 어렵다. 전용 소환 카드인 엑조디아의 계약의 효과를 보면 알겠지만 묘지에 엑조디아 파츠 5장이 묘지에 있을 것을 요구하는 극악의 소환 조건을 자랑한다. [[소환신 엑조디아]]도 공격력을 올리기 위해서라면 파츠를 어느 정도 묘지로 보내야 하지만 이 카드는 전부 보내야 소환이 가능한 주제에 효과도 별로 쓸만하지 않다. 뭐 작정하고 전용 덱을 짠다면 [[미래융합-퓨처 퓨전]]으로 [[퀸텟 매지션]]을 지정하고 1턴만 버티면 봉인된 카드 5장을 전부 묘지로 보낼 수는 있겠다. 엑조디아 네크로스가 소환된 후에는 엔드 오브 아누비스나 네크로벨리 등의 효과로 묘지를 보호한다거나 카오스 헌터로 제외를 막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하다. 위와 같은 이유로 실용성은 전무하지만, 한때 인터넷 카드샵 등지에서 엑조디아라는 이름 하나만으로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에 거래되던 시절이 있었다.[* 까맣게 변한 모습이 왠지 모를 간지를 풍기긴 했다.] 물론 현재는 [[밀레니엄 덱]]에 재록되었기 때문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240원이 되었다.]] 해외판 일러스트는 [[죽은 자의 소생]]처럼 [[앙크]]가 탄압받았다.[* 단 [[죽은 자의 소생]]처럼 다른 모습이 아니라 저 모양을 바탕으로 하고 살짝 다르게 변형했다.] 이 카드 단독으로는 무쓸모 로망 카드지만, 분리된 엑조디아 파츠가 하나가 되었다는 점, 완전 내성과 묘지의 파츠에 따라 공격력이 부여된다는 컨셉은 [[궁극봉인신 엑조디오스]], [[소환신 엑조디아]]로 이어진다. 터무니없이 가격대가 높았던 카드였지만 수록처가 [[암흑의 위협]]과 [[하이그레이드 팩]]밖에 없었서 입수하기는 꽤 힘들었던 카드. 다만 상술했듯이 [[밀레니엄 덱]]에 재록되어서 구하기 쉬워지고 가격도 싸졌다. 하지만 암흑의 위협에 수록된 오리지널 울트라 레어 버전은 이전만큼은 아니지만 적당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당연하겠지만 [[네크로즈]] 카드군에 들어가지 않는다. 일본어 원어로 따지면 둘다 ネクロス지만, 저 쪽은 한자로 영령의라 쓰고 루비가 달려 있는 방식이며, 한글판에서는 북미판 따라 네크로'''스'''로 번역됐기 때문.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새로운 엑조디아 지원 카드들이 나왔으나 전부 레벨 10 이상만을 지정하기에 레벨 4인 이 카드는 그 혜택을 받을 수 없게 설계되어있다. ||<-5>수록 시리즈 || ||<(> 2005-05-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DCR-KR020 | '''[[암흑의 위협]]'''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6-05-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HGP1-KR182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5-12-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MB01-KR009 | '''[[MILLENNIUM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02-1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304-020 | '''[[암흑의 위협|ガーディアン力]]'''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9-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EE1-JP182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5-11-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MB01-JP009 | '''[[MILLENNIUM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03-12-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DCR-020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5-03-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DR1-EN182 | '''DARK REVELA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10-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MC2-EN003 | '''Master Collection Volume.2 동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7-12-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DCR-EN020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재발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LDK2-ENY09 | '''LEGENDARY DECKS I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관련 카드 == === 엑조디아와의 계약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ontractwithExodia-MB01-JP-MLR.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ContractwithExodia-DCR-EN-C-U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엑조디아와의 계약, 일어판명칭=エクゾディア契約(), 영어판명칭=Contract with Exodia, 효과1=①: 자신의 묘지에 "봉인된 엑조디아" "봉인된 자의 오른쪽 팔" "봉인된 자의 왼쪽 팔" "봉인된 자의 오른쪽 다리" "봉인된 자의 왼쪽 다리"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엑조디아 네크로스"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하하! 마법카드 발동이다! 엑조디아와의 계약!" >---- >듀얼링크스에서 유별난 전용 대사 위의 엑조디아 네크로스를 특수 소환하기 위한 카드. 원작에선 의식 마법이었고 카드 이름에도 '계약'이라고 적혀 있지만 엑조디아 네크로스 자체가 의식 몬스터가 아니게 되면서 그냥 일반 마법이 되어 버렸다.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와의 상성은 좋다. 네크로스를 제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묘지의 엑조디아 파츠를 제외하는건데,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는 이를 손쉽게 막아주기 때문. 이 카드 자체는 묘지를 참고할 뿐 묘지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므로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에 걸리지 않고 네크로스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 [[엔드 오브 아누비스]]와도 궁합이 좋다. 다만 덱과 묘지가 아닌 오로지 패에 엑조디아 네크로스가 존재해야 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카이바 고자부로]]가 엑조디아 네크로스를 소환하기 위한 의식 마법으로 등장. 보통 의식 마법에서 요구하는 레벨과 맞는 제물 대신 상기의 조건+2000 LP의 코스트를 요구했다. 아마도 제물을(지금 용어로는 릴리스) 요구하지 않는 의식 마법 / 의식 몬스터가 위화감이 있어서 변경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시대가 흘러 OCG에서는 [[고등의식술]] 등등 릴리스를 요구하지 않는 의식마법이 다수 발매되었으나 이 카드의 원작과 같은 LP 코스트를 요구하는 카드는 [[리추어#리추어의 사혼경|리추어의 사혼경]]이 유일하다. 해외판에서는 석판의 앙크를 희미하게 보이는 걸로 변경했다. ||<-5>수록 시리즈 || ||<(> 2005-05-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DCR-KR031 | '''[[암흑의 위협]]'''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5-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HGP1-KR193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12-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MB01-KR034 | '''[[MILLENNIUM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02-1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304-031 | '''[[암흑의 위협|ガーディアン力]]'''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9-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EE1-JP193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11-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MB01-JP034 | '''[[MILLENNIUM DECK|MILLENIUM BOX GOLD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03-12-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DCR-031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3-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DR1-EN193 | '''DARK REVELA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12-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DCR-EN031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재발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LDK2-ENY29 | '''LEGENDARY DECKS I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