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DJMAX RESPECT]][[분류:DJMAX RESPECT V]][[분류:게임/등장인물]][[분류:마스코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DJMAX RESPECT/캐릭터)] [include(틀:DJMAX RESPECT/캐릭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fff {{{+1 '''엘 클리어'''}}}[br]'''EL CLEAR | エル・クレア'''}}}}}}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ic Tac Toe 1.png|width=100%]]}}} || || '''이름''' ||엘 클리어|| || '''성별''' ||[[여성]] || || '''별명''' ||흥이 || || '''성우''' ||[[정유정(성우)|정유정]] || ||<|2> '''테마곡'''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7eEdfqH02U, width=400, height=50)]}}} || || [[glory day]] - [[BEXTER]] x [[Mycin.T]]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10px" {{{-1 DJMAX 팬들의 기도로 DJMAX 포터블 1 메인 캐릭터 "[[바람에게 부탁해 Live Mix|엘(EL)]]"의 무덤에서 환생했다. 밝고 쾌활한 성격. DJMAX가 유저들에게 사랑받을수록 힘을 얻는다. 왼손은 아직 완전히 [[좀비]] 상태에서 부활하지 못했다. DJMAX에 버그가 생기거나 실망한 유저들이 많아질수록 왼손에 잠식당한다. 왼손을 봉인한 팔찌에서 기타를 뽑아내기도.}}}}}} ---- {{{#!wiki style="margin:4px" {{{-1   "내 손을 잡아봐. 영원히 DJMAX를 하게 될거야. 아! 아니, [[왼손|그 손]] 말고 [[오른손|이 손]]!!"}}}}}} || [[glory day]]에서 첫 등장한 [[DJMAX RESPECT]]의 마스코트로, [[바람에게 부탁해 Live Mix]]에 등장하는 메인 캐릭터인 엘(EL)의 환생이다. 현재 DJMAX RESPECT에서 [[엘 페일]]과 함께 메인 마스코트로 활약하고 있으며, 디제이맥스 캐릭터를 활용한 BGA나 UI 스킨, 특히 RESPECT 이후의 DJMAX 테마곡에서 빠짐없이 등장하고 있다. glory day는 디제이맥스가 부활에 성공하는 엔딩, [[BlackCat]]은 디제이맥스가 다시 지옥으로 돌아가는 엔딩을 그리고 있다 보니 클리어는 흥이, 페일은 망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 상세 == 공식 마스코트답게 상당히 밝고 쾌활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보통 [[엘 페일|페일]]에게 놀림받거나 말썽을 치면 클리어가 이를 제압하거나 수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여담 문단에서 후술할 치밑흥(..) 밈이 생기고 난 이후로는 오히려 몰이당하는 이미지가 더 커졌다. 왼쪽의 좀비 팔은 디제이맥스가 다시 망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상징한다고 한다. 다만 이후 등장한 BGA에서는 좀비 팔이 사라졌다가, 등장했다가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가장 최근 BGA인 [[Daydream(DJMAX)|Daydream]]의 BGA에서는 레나에게 첫인사로 좀비 팔을 건넸다가 부끄러워하며 다른 쪽 손을 건네는 것으로 보아 아직 남아있는 것이 공식 설정인 듯 하다. == 행적 == * [[glory day]]에서 플레이가 엘의 묘지에 찾아와 기도를 하자 기묘한 힘이 발생하여 디제이맥스 캐릭터들과 함께 좀비화된 채로 부활한다. 플레이를 붙잡으려던 찰나, [[PSP]]에서 강한 빛이 쏟아지며 하늘에서 왕관이 떨어져 정화되어 "엘 클리어"로 환생한다. * [[Boom!]]에서는 부활한 DJMAX 캐릭터들과 신나게 공연을 즐기다 [[엘 페일|페일]]과 한판 승부를 벌인다. 그러다 페일이 의도치 않게 자신의 왼팔에 깃든 괴수를 깨워버리게 되고, DJMAX 캐릭터들과 함께 괴수를 물리친다. * [[Daydream(DJMAX)|Daydream]]에서는 [[레나(DJMAX)|레나]]가 존재하는 평행세계에 찾아와 레나에게 말썽을 치던 페일을 저지하고 레나와 함께 밴드 공연을 한다. * [[Tic! Tac! Toe!]]에서는 노래를 부르다 매니저가 된 레나에게 섭외되어 페일과 함께 아이돌로 데뷔한다. * [[DIE IN]]에서는 Tic! Tac! Toe!의 성공으로 인해 만들어진 '레나 타워'에 찾아와 [[Nightmare(DJMAX)|Nightmare]]의 캐릭터인 가야와 지영을 만나게 되는데, 이때 [[다인(DJMAX)|다인]]이 타워에 난입해 타워를 난장판으로 만들어 놓고는 자신의 왼팔에 깃들어진 괴수를 깨운다. 괴수가 도망치려 하자 클리어는 성스러운 힘으로 이를 제압하지만, 이내 완전히 흑화된 페일의 모습을 마주한다. == 타 게임에서 == * [[소녀전선]]에 콜라보로 최초 수록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클리어(소녀전선)]] 문서 참조. * [[Muse Dash]]에 콜라보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추가되었으며, 심지어 보이스까지 페로페로게임즈 측에서 담당했기 때문에 Muse Dash에서는 클리어의 목소리를 최초로 들을 수 있다. 성우는 [[카쿠마 아이]]. == 여담 == * RESPECT V 시즌 7에서 한국어판 성우가 추가되었다. 성우는 [[정유정(성우)|정유정]]. * 시즌 6 인포그래픽에서 착용 플레이트 순위를 공개했는데, 1위가 페일, 2위가 치킨(..), 3위가 클리어로 공개되면서 '치킨 밑 흥이', '''"치밑흥"'''이란 밈이 생겨났다. 주로 '주인공이지만 인기가 덜 한 클리어'라는 느낌으로 클리어를 놀릴 때 많이 사용한다. 7시즌에서도 치밑흥(...).[* 난데없이 치킨 플레이트가 2위나 차지한 이유는 치킨 플레이트가 처음으로 얻을 수 있는 커스텀 플레이트인지라 라이트유저들이 많이 사용했기 때문. 추가로 누적 사용량 순위로 집계하다 보니 시즌 7에서도 치밑흥이 일어나고야 말았다. 누적된 플레이 수가 어마어마한지라 같은 방식으로 집계하면 플레이트 순위가 거의 바뀌지 않기 때문에, 시즌 8 인포그래픽부터는 해당 시즌 한정 플레이 수만으로 집계하기로 결정되었다.] 기어이 시즌 8에선 이모티콘으로 치밑흥이 나오고야 말았다.~~공식 치밑흥~~ 이후 집계 방식이 바뀐 후 나온 시즌 8 인포그래픽에서도 수조 버전의 치킨 플레이트가 발렌타인 클리어 플레이트의 순위를 이기면서 한 번 더 치밑흥이 실현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DJMAX RESPECT/캐릭터, version=201, paragraph=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