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아오스타 공작부인[br]{{{+1 엘렌 루이즈 앙리에트}}}[br]Hélène d'Orléans'''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incess Hélène of Orléans.jpg|width=100%]]}}} || ||<|2> '''이름''' || 프랑스어 ||엘렌 루이즈 앙리에트[br](Hélène Louise Henriette) || || 이탈리아어 ||엘레나 루이사 엔리케타[br](Elena Luisa Enrichetta) || || '''출생''' ||<-2>[[1871년]] [[6월 13일]][br][[영국]] [[잉글랜드]] [[런던]] 트위크넘 || || '''사망''' ||<-2>[[1951년]] [[1월 21일]] (향년 79세)[br][[이탈리아]] 카스텔라마레 디 스타비아 || ||<|2> '''배우자''' ||<-2>[[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br],,(1895년 결혼 / 1931년 사망),, || ||<-2>오토 캄피니 대령 ,,(1936년 결혼),, || || '''자녀''' ||<-2>[[아메데오]], [[토미슬라브 2세|아이모네]] || || '''아버지''' ||<-2>파리 백작 필리프 || || '''어머니''' ||<-2>마리 이자벨 도를레앙 || || '''형제''' ||<-2>[[아멜리 도를레앙|아멜리]], 필리프, 샤를, 이자벨, 자크, 루이즈, 페르디낭 || || '''종교''' ||<-2>[[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파리 백작 루이 필리프의 차녀.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와 결혼했다. [[프랑스 왕국]] [[루이필리프]]의 증손녀이자, [[스페인]] [[이사벨 2세]]의 여동생 [[루이사 페르난다]]의 외손녀이다. 언니 [[아멜리 도를레앙]]은 [[포르투갈 왕국]]의 국왕 [[카를루스 1세]]의 왕비이다. == 생애 == === 어린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élène_d'Orléans.jpg|width=100%]]}}} || || 어린 시절의 엘렌 || 1871년 6월 13일, [[프랑스 2월 혁명]]으로 [[오를레앙 왕조]]가 무너지면서 왕가가 망명하고 있던 [[영국]]에서 태어났다. 같은 해에 왕가가 프랑스로 소환되어 한달도 채 안된 갓난아기일 때 프랑스땅을 밟았다. 그러나 1876년에 다시 추방되면서 영국으로 돌아왔다. 엘렌은 매우 아름다운 소녀로 성장했다. 엘렌의 부모님은 그녀가 왕위 계승자와 결혼하길 기대했다. 망명 왕족임에도 이런 기대를 한 것은 엘렌의 형제들의 선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엘렌의 언니 [[아멜리 도를레앙|아멜리]]는 [[카를루스 1세|포르투갈의 왕세자 카를루스]]와 결혼했으며, 오빠 필리프는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도로테아 여대공[* [[레오폴트 2세]]의 증손녀다.]과 결혼했다. 엘렌의 부모님은 아름다운 엘렌이 그보다 좋은 혼사를 맺을 것이라 생각했다. 실제로 [[러시아 제국]]의 [[니콜라이 2세]]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와 혼담이 오갔다.--둘 중 누구라도 됐으면 [[러시아 혁명|곱게]] [[사라예보 사건|못 죽었다]]--[* 엘렌에겐 다행으로, 둘 다 중매가 아닌 연애결혼으로 상대를 만났기에 엘렌과는 혼담만 있었을 뿐 어떠한 진척도 없었다. ] 1890년에 영국의 왕세손 [[앨버트 빅터 크리스티안 에드워드|앨버트 왕자]]와 만나 교제하기 시작했다. 깊게 사랑에 빠진 두 사람은 결혼을 약속했다. 그러나 엘렌은 [[가톨릭]] 신자였고 영국의 왕위 계승자는 가톨릭 신자와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영국 왕실은 [[살리카법]]이 없어서 여성도 군주가 될 수 있고 평민과도 결혼할 수 있었지만 종교 문제에 대해서는 가톨릭 신자와 결혼하면 본인과 그 후손의 왕위계승권까지 박탈될 정도로 엄격하게 개신교 신자와의 결혼만 허용했'''었'''다. 종교 제한이 해제되어 가톨릭 신자와 결혼해도 왕위계승권을 잃지 않게 된 건 2011년 '''평민''' 출신인 [[캐서린 미들턴]]이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윌리엄 왕세자]]와 결혼하고도 4년이 지난 2015년에 [[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웨일스의 샬럿 공녀]]가 태어나고 난 뒤였다.] 결혼을 허락받지 못했다. 이에 엘렌은 개신교로 개종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앨버트 왕자는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겠다는 뜻[* 물론 오를레앙 가문과 (나폴레옹 사후) 보나파르트 가문에 우호적이었던 영국은 엘렌이 개신교로 개종만 한다면 결혼을 인정하겠다고 했으니 앨버트까지 왕위 계승권을 잃을 일은 없었다. 사랑을 위해 모든 걸 내던진다는 점에서 앨버트는 살아생전 만난 적 없는 조카 [[에드워드 8세]]와 닮은 면이 있다.]을 굳혔다. 그러나 교황 [[레오 13세]]가 두 사람의 결혼을 반대했으며 엘렌의 아버지 파리 백작 필리프도 딸의 개종을 반대하면서 두 사람은 결국 헤어져야 했다. 이후 앨버트 왕자는 1892년 죽을 때까지 엘렌을 잊지 못했다.[* 후에 왕실에서 정해 준 [[테크의 메리]]와 약혼하긴 했지만 친구인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에 보낸 편지에서 "사랑해서 하는 결혼은 아니다"라고 한 걸 보면 죽을 때까지 엘렌을 잊지 못한 건 사실이다. 그러나 앨버트의 사후 약혼자인 메리까지 물려받은 동생 [[조지 5세]]는 정략결혼이긴 했지만 메리와 금슬이 좋았고 아내를 아끼며 본부인으로서 존중해 주었다. 조지 5세도 형처럼 [[에든버러의 마리]]를 사랑했다가 양측 모친의 반대로 헤어지긴 했지만, 테크의 메리와 결혼한 후에는 마리를 깔끔하게 잊었다.] === 결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élène_of_Orléans_-_Duchess_of_Aosta.jpg|width=100%]]}}} || || 아오스타 공작부인 엘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manuele_Filiberto_with_his_family.jpg|width=100%]]}}} ||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일가[br]왼쪽부터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장남 아메데오, 엘렌, 차남 아이모네 || 1895년 6월 25일, 영국의 성 라파엘 성당에서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제2대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와 결혼했다. 그는 한때 스페인의 국왕이었던 [[아마데오 1세]]의 아들이자 [[이탈리아 왕국]] [[움베르토 1세]]의 조카였다. 당시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는 이탈리아 왕국 왕위 계승 서열 2위로, 엘렌의 부모님이 기대했던 만큼은 아니어도 꽤 좋은 신랑감이었다. 두 사람은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다. 결혼 생활은 신혼 때는 행복했지만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가 정부를 두면서 불행해졌다. 엘렌은 불행한 결혼에서 눈을 돌리기 위해 자주 여행을 떠났다. 그녀는 주로 [[아프리카]] 대륙을 여행했다. [[콩고]], [[이집트]] 등을 방문했으며, [[사하라 사막]]을 횡단하기도 했다. 엘렌은 여행을 하면서 사진을 찍고 여행기를 적어 책으로 출판했다. === 말년 === 1931년 7월 4일, 남편 아오스타 공작이 사망했다. 엘렌은 아들이 공작위를 물려받은 이탈리아에 머물렀다. 그후 5년 뒤 오토 캄피니 대령과 재혼했다. 1942년 장남을 잃었고, 1948년에는 차남을 잃는 참척을 겪었다. 거기다 1946년에는 시댁인 이탈리아 왕실이 폐지되는 운명을 겪었으나 당시에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그 남계 후손 + 그 배우자들만 추방되었기 때문에 아오스타 분가 소속인 엘렌에겐 해당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손자 아마데오(1943 ~ 2021)는 추방되지 않고 이탈리아 해군에서 복무하면서 이탈리아 민중들에 신뢰도를 쌓았다. ] 1951년 1월 21일에 이탈리아 카스텔라마레 디 스타비아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79세.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오를레앙의 엘렌[br]{{{-2 (Hélène of Orléans)}}} ||<|6> 파리 백작 필리프[br]{{{-2 (Philippe, Count of Paris)}}} ||<|3> [[페르디낭 필리프|오를레앙 공작 페르디낭 필리프]][br]{{{-2 (Ferdinand Philippe, Duke of Orléans)}}} || || [[루이필리프]][br]{{{-2 (Louis Philippe I)}}} || || [[마리아 아말리아(양시칠리아)|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A [[페르디난도 1세]]의 5녀이자 [[프란츠 1세]]와 [[마리아 테레지아]]의 외손녀이다.][br]{{{-2 (Maria Amalia of Naples and Sicily)}}} || ||<|3>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헬레네|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헬레네]][br]{{{-2 (Helene of Mecklenburg-Schwerin)}}} ||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프리드리히 루트비히[br]{{{-2 (Frederick Louis of Mecklenburg-Schwerin)}}} ||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카롤리네 루이제[br]{{{-2 (Caroline Louise of Saxe-Weimar-Eisenach)}}} || ||<|7> 오를레앙의 마리 이자벨[br]{{{-2 (Marie Isabelle of Orléans)}}} || ||<|3> 몽팡시에 공작 앙투안[br]{{{-2 (Antoine, Duke of Montpensier)}}} || || [[루이필리프]][br]{{{-2 (Louis Philippe I)}}} || || [[마리아 아말리아(양시칠리아)|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A ][br]{{{-2 (Maria Amalia of Naples and Sicily)}}} || ||<|3> [[루이사 페르난다|스페인의 루이사 페르난다]][br]{{{-2 (Luisa Fernanda of Spain)}}} || || [[페르난도 7세]][br]{{{-2 (Fernando VII)}}} || || [[마리아 크리스티나(양시칠리아)|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프란체스코 1세]]의 3녀이자 [[카를로스 4세]]의 외손녀이다.][br]{{{-2 (Maria Christina of the Two Sicilies)}}}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아메데오|아오스타 공작 아메데오]][br]{{{-2 (Prince Amedeo, Duke of Aosta)}}} || [[1898년]] [[10월 21일]] || [[1942년]] [[3월 3일]] || 안 도를레앙[* [[루이필리프]]의 고손녀로, 루이필리프의 차손 로베르의 손녀다. 어머니인 이자벨이 엘렌의 여동생이므로 아메데오와는 어머니 쪽으로는 사촌(이종사촌), 아버지 쪽으로는 6촌이 된다.][br]슬하 2녀 || || '''2남''' || [[토미슬라브 2세]][br]{{{-2 (Tomislav II)}}} || [[1900년]] [[3월 9일]] || [[1948년]] [[1월 29일]] || 그리스와 덴마크의 이리니[* 그리스 국왕 [[콘스탄티노스 1세]]와 [[조피 도로테아 울리케 알리체|프로이센의 조피]]의 차녀.][br]슬하 1남 || == 여담 == *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때 [[적십자사]]에서 일해 공을 세우면서 훈장을 받았다. * 전쟁 중 [[파시즘]]에 깊게 빠져 [[국가 파시스트당|파시스트 정당]]에 가입했다. 친정인 오를레앙 가에서는 충격을 받고 엘렌과 연을 끊었다. [[분류:오를레앙 가문]][[분류:사보이아카리냐노 가문]][[분류:1871년 출생]][[분류:1951년 사망]][[분류:리치몬드어폰템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