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워해머 주요인물)] [include(틀:하이 엘프의 공국)] ||<-2>
'''{{{+1 엘사리온}}}'''[br]Elthar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lththt.png|width=100%]]}}} || || '''직책과 별칭''' || 이브레스 대공[br]''{{{-1 Prince of Yvresse}}}''[br] 토르 이브레스의 감시자[br]''{{{-1 the Warden of Tor Yvresse}}}''[br] 냉혹한 엘사리온[br]''{{{-1 Eltharion the Grim}}}'' || || '''장비''' || 엘사리온의 송곳니검[br]''{{{-1 Fangsword of Eltharion}}}''[br]이브레스의 투구[br]''{{{-1 Helm of Yvresse}}}''[br]호에스의 부적[br]''{{{-1 Talisman of Hoeth}}}''[br]엘사리온의 활[br]''{{{-1 Bow of Eltharion}}}''[br]우레날개 (그리폰)[br]''{{{-1 Stormwing (Griffon)}}}'' || || '''종족''' ||하이 엘프 || || '''지위''' ||대공 || || '''나이''' ||불명, 최소 150세 이상 (IC 26세기) || || '''출신 및 소속''' ||이브레스 || [목차] == 개요 == [[파일:2473a7ecbd6e2a47805b8e2129091da6.jpg|width=500]] >'''My life for Tor Yvresse.''' >내 목숨을 토르 이브레스에. [[하이 엘프(Warhammer)|하이 엘프]] [[영웅]] 중에서도 가장 젊은 [[영웅]]. 원래는 그렇게 유명하지 않은 평범한 귀족에 불과했었는데, 하이 엘프들이 몇 안되게 다크엘프를 격퇴하기 위해 다크엘프 수도 나가론드로 쳐들어갔을 때 위치 엘프의 독 단검에 맞고 심한 부상을 입어 죽을 위기에 처했었다. [[김두한(야인시대)|그런데 그때 아버지의 유령이 나타나]] '고블린들이 이브레스에 침략해 그의 가족들이 모두 죽었다'라는 것을 알렸고, 그것을 들은 엘사리온은 정신력만으로 상처를 극복하고 이브레스로 돌아가 가족들의 사망을 알게 되어 분노한다. 그다음엔 군대를 이브레스를 침공해 온 '[[그롬|배불뚝이 그롬]]'[*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울쑤안을 침공하는 데에 성공한 전설적인 고블린 워 보스다. 엘사리온에게 패배한 이후의 행적을 알 수 없다.]을 무찌르고 이브 레스 수비 대장이 되었다. 하이엘프들에게 ''''울쑤안 최고의 전사가 누구냐?''''고 묻는다면 흔히들, 로세른의 [[티리온(Warhammer)|티리온]], 칼레도르의 [[임릭]] 그리고 토르 이브레스의 엘사리온을 꼽는다고 한다. 물론 이 셋의 무력이 정확히 같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어쨌든 엘사리온이 울쑤안에서 손꼽힐 정도의 실력자란 사실은 명백한 셈. 스스로에게 엄격해서 매우 검소하고 솔선수범하는 성격의 [[덕장]]이다. [* 토탈 워 게임의 대사에는 본인의 숙소로 가장 작은 방을 내오라는 내용이 있다.] 그러나 인간들을 매우 싫어하는데, 그 이유는 그롬의 침공 시기의 제국 황제가 역대 최악의 암군인 [[디터 4세]]로, 제국 황제 중 유일하게 혈맹인 드워프의 원한의 대서에 적힐 정도로 노답이었기 때문이다. 디터 4세의 삽질로 제국은 내부 정치가 매우 혼란해서 그롬은 무주공산의 제국을 유유히 통과해서 바다로 나와 울쑤안으로 갈 수 있었다. 때문에 엘사리온은 안 그래도 툭하면 카오스에 타락해 버리는 인간들을 마뜩잖아했는데, 거기에 더해 제국이 자기 일을 똑바로 했으면 애당초 그롬이 울쑤안을 밟을 수 없었을 거라는 생각 때문에 인간들을 더욱 미워한다. 이런 감정 때문인지는 알 수 없지만 결국 엔드 타임에서는 에버차일드 구출작전에 동참한 제국군과의 협력에 매번 어깃장을 놓아 중대한 실책을 범하게 된다. == [[엔드 타임]] == [[파일:vsarkha.png]] [[엔드 타임]]때 에버차일드가 [[나가쉬]] 부활의 재료로서 납치되자, 하이엘프 원정군을 이끌고 실바니아로 진격한다. 하지만 여기서 함께 진격하던 동맹군들과 의견마찰이 일어나게 된다. 제국측 원정군에선 나가쉬 부활까지 시간이 얼마 안 남았으니, 얼른얼른 진격하자고 이야기했지만, 엘사리온은 주변이 심상치 않으니 천천히 진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제국군 대장인 [[한스 라이트도르프]][* [[마리우스 라이트도르프]]의 동생이다.]가 실바니아 전역이 원래부터 죽음을 모독하는 땅이니[* 원문에서는 모르(인간들의 죽음의 신)를 모독하는 땅이라고 언급한다.] 이상할 것도 없다고 말하며 끈질기게 설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만한 엘사리온은 하찮은 인간들의 이야기 따위는 들어줄 생각이 전혀 없었다. 결국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한 양측은 따로 진격하기로 한다. 똑같은 목적을 갖고 진격한 동맹군들끼리 갈라져서 진격하는 것도 황당했지만, 두 군의 끝은 더욱 황당했다. 서두르자고 이야기했던 제국군은 지나치게 급하게 행군하다가 매복을 당해 궤멸당하게 된다. 그리고 천천히 가자고 이야기했던 하이엘프군은 너무 늦게 도착한 나머지 나가쉬의 부활의식이 이미 시작되어 한창 진행중인 시점에 도착하게 된다. >“안돼! 지금은 안돼! 엘사리온! 나와 맞서라, 빌어먹을 놈!” 엘사리온이 [[아웃 오브 안중|그를 흘깃 본 뒤, 언덕을 올라가기 시작하자]] [[만프레드 폰 카르슈타인|만프레드]]는 소리를 질러댔다. “엘사리온,” 만프레드는 그리폰의 시체 아래에서 몸부림치며 흐느꼈다. > >엘사리온은 석조들로 향해 올라가기 시작했고 ,매 걸음마다 점점 눈에 띄게 힘을 되찾고 있었다. 마침내 그가 다다르자, 그와 석조 사이에 빛이 치직거리며 소리를 냈다. > >‘[[검은 아칸|아칸]]이 당연하게도 방어 주문을 걸었겠지, 그럼 그렇지!’ > >만프레드의 웃음은 엘사리온이 그의 검을 두 손으로 잡은 뒤 마법 방어막에 찌르기 시작하자 사라졌다. 마법은 소리를 내며, 마치 고통에 휩싸인 듯 검을 감싸기 시작했다. 엘프의 검에 새겨진 룬이 석탄처럼 붉게 빛났고, 엘사리온은 그대로 아홉 악마의 원형진으로 들어갔다. > >고통스러운 울부짖음과 함께, 그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살점과 피를 남긴 채 만프레드는 죽은 그리폰의 시체로부터 벗어났다. 피를 가득 흘린채 만프레드는 비틀거리리며 엘프를 쫓아갔고, 마지막 힘을 끌어모아 엘프와의 간격을 줄이기 시작했다. > >그는 너무나도 느렸다. 그는 마법 방어막에 부딪히며 뒤로 비틀거리며 물러났다. 그가 회복된 주먹으로 방어막을 후려치자 울부짖는 영혼들이 그의 주변을 돌기 시작했다. 그는 엘사리온이 연기나는 녹아버린 칼을 내던지는 모습을 보았다. > >아칸은 엘프로부터 등을 돌린 채 가마솥 앞에서 한 손으로 에버차일드의 긴 머리를 잡고 그녀의 머리와 몸통이 가마솥의 테두리로 향하게끔 했다. 다른 손에는 그가 다른 제물들에게 했던 것처럼, 그녀의 목을 그어버리 위해 칼을 들고 준비를 하고 있었다. 가마솥의 정 가운데에는 [[볼크마]]가 마법 구속에 의해 힘없이 매달려 있었다. > >엘사리온은 죽은 그의 탈것과 비견될만한 포효를 하며 달려들었다. 아칸은 그의 제물을 놓고 몸을 돌렸다. 엘사리온은 그에게 부딪혔고, 그의 손들은 리치의 뼈만 남은 목으로 향했다. 아칸은 엘프를 노려보았다. > >'''“날 놓아라, 전사여.”''' 엘사리온은 그를 반으로 접어버리겠다는 듯이 가마솥으로 밀쳤다. > >'''“좋다. 나에겐 더이상 자비따윌 베풀 시간은 없으니.”''' > >아칸의 손이 엘프의 완갑을 덥석 잡았다. 곧바로 엘사리온의 완갑에서부터 녹의 구름이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만프레드가 목격한 바와 같이, 세월의 저주가 엘사리온을 흡수했다. 저주는 육신과 강철에 똑같이 번져나가며, 육신을 시들게 만들면서 갑옷을 뒤틀리고 갈라지게끔 했다. 엘프의 머리카락이 파삭파삭하고 하얗게 변했고, 그의 피부는 오래된 양피지처럼 변해버렸지만, 엘사리온는 아칸을 놓지 않았다. > >마지막까지, 엘사리온의 응시는 리치를 향하고 있었다. > >그리곤, 잠깐의 숨 쉴틈도 없이 엘사리온 더 그림, 토르 이브레스의 감시자는 먼지 구름으로 사라져버렸다. >---- >[[https://m.dcinside.com/board/ttwar/522710|#]] 엘사리온은 그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해 싸웠고, [[만프레트 폰 카르슈타인|만프레트]]를 검술 대결로 꺾고 승리하기도 했다. 이 때 만프레드는 한쪽 팔이 날아가서 피를 흘리며 엘사리온의 그리폰인 스톰윙의 시체에 깔려서 엘사리온에게 나와 맞서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는 추태를 보여준다.(...) 하지만 만프레트를 꺾은 뒤에 상대하게 된 [[흑암의 아칸]]에게 패배하고 죽게 된다. 아칸이 마법진 위에 쳐놓은 방어막을 이브레스의 송곳니검으로 마구 찔러서 비집고 들어갔고,[* 만프레드는 이 꼴을 보면서 그럼 그렇지 아칸이 보호막을 쳤겠지라며 좋아했다가 엘사리온이 쿨하게 그의 룬 박힌 검으로 찔러서 보호막을 해제하자 절망했다 하는 등 일희일비하는데 그 묘사 역시 일품이다.] 막 [[알리아스라]]를 제물로 준비하던 참이었던 아칸의 멱살을 잡는다. 아칸이 엘사리온을 째려보면서 놓으라고 한마디 했지만 엘사리온이 듣지 않자 아칸은 '''“더 이상 네게 자비를 베풀 시간이 없다.”'''라는 짧은 대사와 함께 그의 갑옷을 붙잡은 채로 세월의 저주 마법을 걸었고 엘사리온은 급속도로 노화되어 갑옷과 함께 먼지가 되어 죽고 만다. 울쑤안 최고의 전사들 중 하나로 꼽혔던 것에 비하면, 그리고 과거 그의 업적들에 비하면 너무나 허망한 최후였다. 그래도 순식간에 늙어서 가루가 되어 죽어가면서도 끝까지 시선만큼은 아칸을 노려보다가 죽었다고 하니 나름 장렬한 최후라고 볼 수도 있을 듯하다. 이후 그의 무장이었던 '송곳니검'과 '호에스의 탈리스만'은 그의 조카들이 나눠가지게 되었는데, 이 조카들 역시 끝이 좋지 못했다. 한 명은 [[코우란 다크핸드]]와의 대결에서 패사했고, 다른 한 명은 [[말레키스(Warhammer)|말레키스]]의 용, 세라폰에 의해 끔살당한다. 하지만 완전히 엔드 타임의 무대에서 퇴장한 것은 아니고, 그의 영혼 자체는 나가쉬에게 흡수되기 전에 테클리스가 수습했으며, 나중에 말레키스가 케인의 화신이 된 티리온과 싸울 때 불러낸 엘프 영웅들의 혼 중 하나로 등장한다. == [[에이지 오브 지그마]] == [[파일:755px-Light_of_Eltharion.jpg]] 모탈 렐름의 하이엘프 세력에 해당하는 [[루미네스 렐름로드]] 소속에 '''엘사리온의 빛(Light of Eltharion)'''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이는 아칸에게 살해당한 엘사리온의 정수를 테클리스가 모은 뒤 갑옷에 결속시켜 만들어진 존재이다. 모델을 보면 안에 사람은 없고 투명인간이 갑옷을 입은 것 혹은 전신갑주가 혼자서 움직이는 것처럼 생겼다. 원래 테클리스는 엘사리온을 온전하게 부활시키려고 했으나, 아칸의 저주가 아직도 남아있어서 여의치 않다고 한다. 엘사리온을 온전하게 부활시키면 아칸의 저주가 재발동해서 다시 가루가 되어버리고, 다시 부활시키면 다시 가루가 되고 있다고 한다. 엘사리온 본인은 크게 개의치 않아하는 중이지만, 테클리스는 엘사리온을 온전히 되살리려고 노력하는 중이라고. 그러나 이 저주가 회복되지 않은 덕분에 흑암의 아칸과 다시 대적했을 때, 다시 저주를 걸려는 아칸의 공격을 씹고[* 이미 아칸의 저주에 걸려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저주를 걸려는 아칸의 시도가 무위로 돌아갔던 것이다. 테클리스가 엘사리온을 온전하게 살려냈다면 되려 엘사리온이 다시 한 번 패배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를 빛의 렐름 히쉬 가장자리로 밀어넣어 영원히 소멸시켜 엔드 타임 때의 원한을 갚는데 성공한다. == [[미니어처 게임]]에서의 모습 == === [[Warhammer(구판)]](8판) === ==== 스톰윙에 탄 엘사리온 ==== [[파일:gw-99110210002-0.jpg]] || '''능력치''' || M || WS || BS || S || T || W || I || A || LD || || 엘사리온 || 5 || 8 || 7 || 4 || 3 || 3 || 8 || 4 || 10 || || 스톰윙 || 6 || 6 || 0 || 5 || 5 || 5 || 7 || 4 || 8 || || '''특수 규칙 (엘사리온)''' || 언제나 먼저 공격한다, 증오(오크&고블린), 무용, 세월의 용맹 || || 피의 맹세 (Blood Oath) || 안개 산맥의 배불뚝이 그롬과 근접전시 엘사리온은 +1 명중(To Hit)을 가진다. || || '''특수 규칙 (스톰윙)''' || 언제나 먼저 공격한다, 비행, 거대한 목표물, 공포 || ||<-2> '''마법 장비''' || || 엘사리온의 송곳니검(Fangsword of Eltharion) || 마법무기. +2S로 공격. 갑주 방호 무시. || || 이브레스의 투구(Helm of Yvresse) || 마법갑주. +1 갑주 방호. 자신과 탈것에게 5+ 보호방호. || || 호에스의 부적(Talisman of Hoeth) || 부적. 마법 저항(1). 엘사리온을 레벨 2 마법사로 만들며 마법은 ''워해머'' 룰북의 마법 중 하나로 고른다. || 차지했을 때 힘6으로 공격하고 항상 아머 세이브를 무시하는데다가, 웨폰 스킬도 수준급인 8이고 하이 엘프답게 ASF가 있어서 공격력 자체는 괜찮은 편이다. 더군다나 다른 전투형 캐릭터와는 달리 매직 아이템인 '탈리스만 오브 호에스'를 가지고 있어서 기본 8대 로어(마법)을 고를 수 있는 레벨2 마법사로서 활약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인기가 많지 않은데 그 이유는 비싼 포인트(295포인트인데다가 스톰윙까지 타게 되면 거진 500포인트에 달한다.) 이건 군주인 대공이 140 포인트이고, 마법 장비 풀장비에다가 같은 그리폰까지 태우고 그리폰을 풀 업글하면 엘사리온 만큼은 아니지만 비슷비슷한 포인트다. 게다가 같은 괴수를 탄 스폐셜 캐릭터만 봐도 대부분 적어도 500은 넘어간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 높은 포인트와 로드급이라는 지위에 맞지 않게 낮기 그지 없는 아머 세이브(3+로서 이 정도면 캐릭터가 아닌 일반 중기병만도 못한 아머 세이브이다.) 때문이다. 굳이 말한다면 [[계륵]]. 그나마 5+ 와드 세이브와 마법 저항(1) 덕분에 마법은 그나마 4+로 막을 수 있다. 모델이라도 멋있다면 참작의 여지가 있겠지만 그의 화려한 날개털 투구를 본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참작하고 싶은 마음은 사라질 듯. 그냥 쓰지 않길 권한다. 워해머 룰상 아래 스톰윙이 죽으면 내려와서 서서 싸울 모델도 필요하다는 걸 고려하면 이 엘사리온을 '두개나' 만들어야 된단 점에서 두번째 공포가 몰려올 것이다.[* 근대 이러면 다른 캐릭터들도 비슷하다. 당장 탈 것이 있는 스폐셜 캐릭터인 카를 프란츠나, 아즈하그 같은 경우도 있다.] ==== 스톰 오브 카오스 ==== [[파일:elth.jpg]] || '''능력치''' || M || WS || BS || S || T || W || I || A || LD || || 엘사리온 || 5 || 8 || 6 || 4 || 3 || 3 || 8 || 4 || 10 || ||<-3> 특수규칙 || || 호에스의 백색검(The White Sword) || 일반 대형 무기. 엘사리온의 공격에 다음과 같은 룰을 추가. || 엘사리온에 대한 공격은 상대의 특수규칙과 WS에 관계없이 다른 것으로 수정하기전에 6 명중굴림으로 해결됨. [br] 근접전에 +1 명중 굴림으로 공격 [br] +2S로 공격 [br] +2A로 공격 || || 호에스의 군주(Lord of Hoeth) ||<-2> 엘사리온이 아미의 제너럴이면, 소드마스터는 더이상 0-1로 선택되지 않음. || || 궁정의 음모(Intrigue at Court)) ||<-2> 엘사리온은 자동적으로 아미의 제너럴이 된다. 단 티리온의 경우라면 예외된다. || || 꿰뚫을 수 없는 방어(Impenetrable Defence) ||<-2> 엘사리온은 5+ 보호방호를 가짐. 거기에 더해 엘사리온에 대해 살상타는 가지지 못함.(상처 굴림이 6이면 그냥 상처로 가짐.) || || 심리(Psychology) ||<-2> 엘사리온은 오크와 고블린, 그리고 다크엘프를 증오함. 하지만 심리면역은 다름. 소드마스터가 엘사리온과 동행하면 엘사리온은 완고함을 가짐. || || 어둠(The Dark Within)) ||<-2> 엘사리온과 그가 이끄는 어느 부대건 반드시 돌격을 선언해야함. 만약 적이 사정거리 안에 있으면, 추격을 방지하는 테스트를 하지 않음. || 6판 룰북에서 스톰 오브 카오스 캠페인을 진행했을 때 등장한 버전. 눈을 가리고 소드마스터의 영웅답게 양손검을 들고 있는 온풋 영웅으로 등장한다. 과거처럼 스톰윙을 탈 수는 없지만 고된 수련을 통해서 4가지 자세 중 하나를 선택해 싸울 수 있는 특수한 능력을 얻었다. 여기 능력을 보면 '킬링블로우', '투힛에서 상대가 6이 나와야만 맞을 수 있음' 등등 전투에서 상당히 좋은 능력들이며 기본적으로 그레이트 웨폰을 들고 있기 때문에 힘도 6이라 기본 성능도 상당. 심지어 그가 '눈이 먼 대신 아크로바틱한 움직임을 익혔다'라는 설정 때문인지 기본적으로 빠른 몸놀림을 통한 와드세이브가 있고, 거기다 전투 라운드가 시작할 때마다 가공할만한 점프로 아군과 적을 넘어 원하는 위치로 가서 싸울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갖고 있다. 어느면을 보아도 과거보다 우수. 역시 맞아야 개념이 생긴다. 다만 문제가 있다면, 7판이 되면서 스톰 오브 카오스 캠페인이 흑역사가 되었고 덕분에 이 버전 엘사리온이 사라졌다는 것. 7판 아미북이 나오면서 엘사리온이 과거로 돌아왔을 때 전세계적인 워해머 플레이어들이 'Nooooo, GW is carzy?! We want Blinded Eltharion!!'이라며 절규했었다. == [[토탈 워: 워해머 2]]에서 == [include(틀:토탈 워: 워해머/전설적인 군주)] [include(틀:토탈 워: 워해머 2/하이 엘프)] [include(틀:토탈 워: 워해머 2/엘타리온)] [[파일:Total-War-Warhammer-II-Total-War-Warhammer-2-The-Warden-The-Paunch-DLC-Eltharion-the-Grim-Grom-the-Paunch--800x400.jpg]] >Stand with me! For as long as I still live, Tor Yvresse will never fall! >나와 함께 하라! 이 목숨이 붙어있는 한... 토르 이브레스는 결코 무너지지 않을 것이다! 2020년 5월 7일 감시자와 배불뚝이 DLC로 추가되는 전설군주로 추가되었다. 이브레스 진영의 지도자로 등장하며, 다른 하이 엘프 군주들과 달리 볼텍스 캠페인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인 캠페인을 진행한다. 사우스랜드에서 힘을 기른 배불뚝이 [[그롬]]이 울쑤안을 재침공한다는 정보를 알아냈고, 이를 막으려한다는 설정. 등장 이전부터 팬덤에서는 엘사리온과 악연이 있는 고블린 워보스 [[그롬]]과 엮여서 DLC로 나올 것이라고 보았다. 2020년 5월 기준으로 마침 1부 종족들 중 아직 개편을 받지 못한 세력이 그린스킨이기도 하고 2부 종족들 중 추가 군주가 나오지 않은 세력도 하이엘프인데다[* 툼 킹과 뱀파이어 코스트도 추가 군주가 나오지 않았긴 하나 'DLC의 DLC는 내지 않을 것이다.'라고 CA에서 확인사살을 했기 때문에 이들과 연관된 DLC는 나오지 않는다고 봐야 했지만...우드 엘프 vs 스케이븐 추가 군주팩이 나왔기 때문에 현재는 번복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공식 설정으로도 악연이 있었기 때문에 둘이 엮이는 구도는 충분했고 실제로 둘이 엮여서 나오게 되었다. 트레일러에서는 그롬의 울쑤안 재침공에 맞서는 모습으로 그려지며, 토르 이우레세의 폐허에서 고민하는 모습은 [[배트맨]]의 패러디. 토르 이우레세 전투에서 그리핀 스톰윙(우레날개)을 타고 병사들을 격려하면서 그롬과 조우하게 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토탈 워: 워해머 2/엘타리온)] == 출처 == [[https://warhammerfantasy.fandom.com/wiki/Eltharion]] [[https://whfb.lexicanum.com/wiki/Eltharion]] == 관련 문서 == * [[Warhammer/등장인물]] * [[하이 엘프(Warhammer)]] [[분류:Warhammer/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