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חטיפת מטוס אל על לאלג'יריה El Al Flight 426 hijacking اختطاف طائرة العال رحلة 426 ||||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발생일''' ||[[1968년]] [[7월 23일]] || || '''유형''' ||납치 || || '''발생 위치''' ||[[벤 구리온 국제공항]] || || '''기종''' ||[[보잉 707|B707-458]] || || '''운영사''' ||[[엘알]] || || '''기체 등록번호''' ||4X-ATA || || '''출발지''' ||로마 피우미치노 국제공항 || || '''도착지''' ||[[텔아비브 국제공항]] || ||<|2> '''{{{#000 탑승인원}}}''' ||승객: 41명 || ||승무원: 10명 || || '''생존자''' ||'''탑승객 51명 전원 생존''' || [목차] [clearfi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x-ata.jpg|width=100%]]}}} || || 사고 8년 후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에서 찍힌 사고기 || == 개요 == [[1968년]] [[7월 23일]] 엘알 이스라엘 항공 소속 보잉 707이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대원들에 의해 납치된 사건. == 사고 진행 == 426편이 로마에서 이륙하고 조종사들이 승무원에게 커피를 요구했을 때 납치범 두 명이 조종실에 들어갔다. 곧바로 한 납치범이 권총 총자루로 [[항공기관사]]를 제압하고 조종실 밖에 있었던 다른 납치범은 권총과 수류탄으로 승객들을 위협했다. === 전개 === 426편은 벤 구리온 국제공항에 착륙할 예정이었으나 납치범들에 의해 [[알제리]]에 착륙하게 되었다. 납치 다음날 납치범들은 비 이스라엘 승객들을 석방시키고 에어 알제리 [[쉬드 아비아시옹 카라벨|카라벨]]기에 태워 프랑스로 보냈다. 5일 뒤에는 여성, 아이들이 석방되어 총 12명의 승객과 10명의 승무원만 남았다. === 결말 === 5주간의 [[이스라엘]]과 [[알제리]] 정부의 협상 끝에 16명의 아랍계 포로를 석방하는 대가로 인질들을 교환했다. == 기타 == BBC에 의하면 426편은 40여일간 납치되어 민항기 역사상 가장 긴 기간 동안 납치된 비행편으로 남아 있다.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은 해당 납치 사건 이후 항공기 납치가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들어주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 수많은 항공기들을 납치했다. [[파일:elal707.jpg]] 사고기는 1984년까지 엘알에서 운항하다가 해체되었고 기수부는 미국 인트레피드 해양항공우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분류:1968년 항공사고]][[분류:하이재킹]][[분류: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분류:보잉 707/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