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로스터)] ---- ||
'''{{{#FFFFFF 엠마누엘 클라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ffffff 2022}}}]]'''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아메리칸 리그 마리아노 리베라 상}}}''' || || [[리암 헨드릭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엠마누엘 클라세[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 [[펠릭스 바티스타]][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 2023년 아메리칸 리그 세이브왕}}}''' || || [[리암 헨드릭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엠마누엘 클라세[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 2024년 수상자 || ---- [include(틀:2022 All-MLB 퍼스트 팀)] ---- ||<-5> '''{{{#fff [[텍사스 레인저스|{{{#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3번}}}''' || || [[카일 다우디]][br](2019) || {{{+1 →}}} || '''엠마누엘 클라세[br](2019)''' || {{{+1 →}}} || [[코리 락스데일]][br](2020~2021)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가디언스}}}]] 등번호 48번}}}''' || || 스캇 애치슨[br](2019) || {{{+1 →}}} || '''엠마누엘 클라세[br](2021~)'''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디언스클라세.jpg|width=100%]]}}} || ||<-2>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No.48''' || ||<-2> '''{{{+2 엠마누엘 클라세}}}[* [[에스파냐어]]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에마누엘 클라세'. 스페인어에서 겹모음으로 들어가는 m은 한 글자만 발음한다. 다만 국내에서는 대다수의 케이스에서 이를 잘 반영하지 않고 표기하며 이에 따라 '엠마누엘'로 쓰는 경우가 훨씬 많다.][br]Emmanuel Clase''' || ||<|2> '''출생''' ||[[1998년]] [[3월 18일]] ([age(1998-03-18)]세) || ||리오 산 후안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신체''' ||188cm / 93kg || || '''포지션''' ||[[마무리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5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 '''소속팀''' ||[[텍사스 레인저스]] (2019) [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디언스]] (2021~)''' || || '''계약''' ||2022 - 2026 / $20,000,000[*option club option for 2027 with buyout $2,000,000 and 2028 with buyout $1,000,000] || || '''연봉''' ||2024 / $2,500,000 || || '''등장곡''' ||El Mayor Classico x Rochy RD - No Tengo Para || [목차] [clearfix] == 개요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소속 우완 [[마무리 투수]]. == 선수 경력 == === [[텍사스 레인저스]] === 2015년 2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국제 자유계약으로 12만 5천 달러의 계약금과 함께 계약하였다. 그 해 루키리그에서 선발로 주로 등판하면서 13경기 54⅓이닝 ERA 1.99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6~2017시즌에는 루키리그와 로우 싱글 A를 거치면서 다소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2018년 5월, 브렛 니콜라스 트레이드의 추후지명 선수로 텍사스 레인저스로 이적하였다. 이적 후 불펜으로 전향하였는데 로우 싱글 A에서 22경기 28⅓이닝을 던지면서 ERA 0.64를 기록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한다. 2019년에는 21세의 나이에 A+를 거쳐 AA로 바로 승격되었고 마이너리그 클로저로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 2019 시즌 ==== 그러던 중 8월 2일에 메이저리그로 콜업되었다. AAA를 거치지 않은 21세 나이의 투수에게는 엄청난 기회였다. 이틀 뒤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는데 1⅔이닝 동안 삼진 1개, 볼넷 1개를 기록하며 노히트를 기록하였다. 8월 21일에는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를 상대로 2이닝 2삼진 무실점으로 막아냈고 데뷔 첫 승리투수가 되었다. 8월 31일에는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홈 경기 9회초에 등판하여 1이닝 1탈삼진 무실점으로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하였다. 최종 성적은 '''21경기 2승 3패 1세이브 4홀드 23⅓이닝 21삼진 ERA 2.31'''을 기록하였다. 2019 시즌 그의 커터는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빠른 구속의 커터였다. (평균 99.2마일 / 159.6km/h)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디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클로제.jpg|width=100%]]}}} || ==== 2020 시즌 ==== 텍사스의 차기 마무리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선수였지만 그럴 일은 없게 되었다. 에이스 [[코리 클루버]]의 트레이드 대가로 [[딜라이노 드실즈]]와 함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이적하였다. 2020 시즌이 비록 단축시즌으로 열리지만 클라세는 [[제임스 카린책]]과 전천후 불펜으로 활약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5월 1일에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오면서 사무국의 80경기 출장 징계를 받아야만 했다. 볼데논을 투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국 2020 시즌이 단축 시즌으로 60경기만 치러지게 되면서 징계로 인한 불명예 시즌 아웃을 당하고 말았다. ==== 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디언스클라세.jpg|width=100%]]}}} || 팀의 마무리로 활약하며 71경기 69⅔이닝을 소화, 24세이브를 기록했다. ERA는 1.29에 달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신인왕 투표에서 5위에 올랐다. ==== 2022 시즌 ==== 4월 22일 5년 2천만 달러의 연장계약을 맺었다. 9월 현재 리그 최고의 마무리투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시즌 최종 42세이브로 아메리칸 리그 구원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2022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1차전 선발투수 [[셰인 비버]]의 바로 뒤에 등판해 1⅓이닝을 틀어막으며 세이브를 기록했다. ==== 2023 시즌 ==== 선수단 투표로 올스타전에 선발됐지만 아내의 출산 임박으로 인해 불참을 선언했다. 작년에 비해서는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경쟁자 [[펠릭스 바티스타]]가 부상으로 도중에 시즌아웃되어 2년 연속 세이브왕에 올랐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클라세커터.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클라세_슬라이더.gif|width=100%]]}}} || || (상) 클라세의 커터 (하) 클라세의 슬라이더 || 야구 역사상 가장 빠른 커터, 리그 수준급의 슬라이더 두 구종만을 던지는데, 커맨드를 신경 쓰지 않고 스트라이크 존 한가운데 우겨 넣으면서도 커터의 구속과 무브먼트 덕분에 땅볼 유도도 뛰어난 전형적인 우완 파이어볼러이다. 클라세의 패스트볼은 구속도 구속이지만 '''컷 패스트볼'''의 궤적을 보인다는게 가장 큰 장점. 커터 같은 변형 패스트볼은 포심 패스트볼에 비해 구속이 느린 것이 일반적이나[* 특히 커터의 경우 [[마리아노 리베라]], [[코빈 번스]], [[켄리 잰슨]] 등 타고난 악력 덕분에 포심 그립으로 던져도 공이 커터처럼 움직이는 극소수의 선수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투수들은 슬라이더의 그립을 잡고 커트를 던지는데 사실상 고속 슬라이더와 다를 바 없으며, 포심 패스트볼과 구속 차이도 클 수 밖에 없다.] 클라세의 커터는 '''평균 구속이 99.5마일[* 2022 시즌 메이저리그 전체 투수들 중 패스트볼 평속이 클라세 보다 빨랐던 투수는 평속 100.8마일을 찍은 [[조안 두란]] 한명 뿐이었다. 하지만 두란은 포심를 던지고 클라세는 커터가 그 정도 구속이 찍히니 놀라운 따름.], 최고 구속이 무려 102마일'''이 찍히며, 이는 '''야구 역사상 가장 빠른 커터'''라고 봐도 무방하다.[* 당장 [[마리아노 리베라]]는 커터 최고 구속이 96마일이었고 리베라 보다 더 빠른 커터를 던진 [[켄리 잰슨]]도 시즌 최고 평균 구속이 94.6마일 정도였으며 선발 투수 중 가장 빠른 커터를 던지는 [[코빈 번스]]는 커터 평속이 93~95마일 정도로 찍힌다. 커터 구속만 놓고 보자면 클라세에 비길만한 투수는 [[카밀로 도발]] 정도가 유일하나 도발의 커터는 무브먼트에서 클라세보다 살짝 아쉽다.] 커터 구사율이 무려 80% 가까이 될 정도로 커터 의존도가 높으며 구속과 무브먼트 둘다 리그 최고 수준이라 타자들이 정타를 만들기 어려우며, 땅볼 양산에 최적화되어 있다. 슬라이더는 '''평균 구속 92마일, 최고 96마일'''까지 나오는 고속 슬라이더로, 메이저리그 기준 웬만한 에이스 투수의 컷 패스트볼 구속 수준으로 나온다. 커터와 비슷한 무브먼트를 지닌 듯하면서도 커터보다 구속이 느린 동시에 각이 훨씬 커서 볼카운트에 몰린 타자들이 속을 수밖에 없다.[* 마치 포심 패스트볼과 체인지업의 차이를 보면 될 듯 하다.] 히트맵을 보면 커터의 탄착군이 스트존 한가운데 몰려있을 정도로 커맨드는 뛰어나다고 볼 수 없지만[* 그냥 '쳐볼테면 쳐봐라' 식으로 아예 커맨드 자체를 신경 쓰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그렉 매덕스]] 같이 무브먼트가 뛰어난 땅볼형 투수들은 존 바깥 공략보다는 어차피 정타를 안맞을 자신이 있으니 과감하게 존 안에 집어넣는 경향이 크다.] 리그에서 첫 손가락에 꼽히는 구위 덕분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텍사스 시절부터 BB/9이 2개 초반대 였을 정도로 컨트롤은 굉장히 뛰어났고 클리블랜드 이적 후에도 BB/9이 계속 줄어들면서 컨트롤이 더욱 개선되었다. 공격적 피칭을 하기 때문에 컨택을 많이 당하는 편이지만 컷 패스트볼의 특성 상 범타 유도가 많다. == 수상 내역 == * 올스타 2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202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 마리아노 리베라 상 (2022) * [[아메리칸 리그]] 세이브 1위 2회 (2022, 2023) * [[All-MLB 팀|All-MLB]] 퍼스트 팀 (2022)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엠마누엘 클라세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SO || WHIP || ERA+ || K/9 || fWAR || bWAR || || 2019 || [[텍사스 레인저스|TEX]] || 21 || 2 || 3 || 1 || 4 || 23⅓ || 2.31 || 20 || 2 || 6 || 21 || 1.114 || 226 || 8.1 || 0.4 || 0.9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SO || WHIP || ERA+ || K/9 || fWAR || bWAR || || 2021 ||<|3>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71 || 4 || 5 || 24 || 6 || 69⅔ || 1.29 || 51 || 2 || 16 || 74 || 0.962 || 340 || 9.6 || 2.2 || 2.8 || || 2022 || '''77''' || 3 || 4 || '''42''' || 0 || 72⅔ || 1.36 || 43 || 3 || 10 || 77 || 0.729 || 281 || 9.5 || 2.3 || 2.8 || || 2023 || 75 || 3 || 9 || '''44''' || 0 || 72⅔ || 3.22 || 68 || 4 || 16 || 64 || 1.156 || 130 || 7.9 || 1.7 || 0.5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4시즌) || 244 || 12 || 21 || 111 || 10 || 238⅓ || 2.00 || 182 || 11 || 48 || 236 || 0.965 || 210 || 8.9 || 6.6 || 7.1 ||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마리아트리니다드산체스 주 출신 인물]][[분류:우투우타]][[분류:우완 투수]][[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현역]][[분류:MLB 세이브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