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kmib.co.kr/201508270246_11130923217546_1.jpg|width=100%]]}}}|| || [[대한민국]]의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천 항구 터미널.jpg|width=100%]]}}}|| || 대한민국의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 Ferry Terminal [목차] == 개요 == [[여객선]]의 기종점이 되는 곳으로 여객선을 이용할 승객들을 위한 매표소와 대합실 등과 여객선이 정박할 부두를 갖추고 있는 시설이다. 연안 항로(국내선)의 기종점이 되는 연안여객터미널과는 달리 국제 항로의 기종점이 되는 국제여객터미널의 경우 [[공항 터미널]]과 같이 출입국 관련시설 및 [[면세점]] 등도 설치되어 있다. 이는 대체적으로 [[국경]]에서 출입국 수속을 하게 되는 육상 교통수단을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연안항로의 수와 규모가 적다면, 기종점이라고 해도 터미널을 갖추지 않고, 매표소와 선착장 정도만 갖춘 [[버스정류장]]급의 시설로 연안여객선이 운항되는 경우도 여럿 존재한다. == 지역별 항로 특성 == 공통적인 사항으로 당연하게도 연안항로의 경우 도서지역이 많은 곳에 분포하게 되며, 육지와 다소 멀리 떨어졌으며, [[섬]] 전체가 [[기초자치단체]] 이상급의 행정구역으로 묶여진 큰 섬이라면, 비교적 가까운 여러 지역들이 그 섬과 항로로 연결되어 있다. == 목록 == [include(틀:국제여객터미널)] === 동해 === * 강릉항여객터미널 *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 * 묵호항여객터미널 * 포항여객선터미널 * [[포항항국제여객터미널|영일만국제여객터미널]] * 후포항여객선터미널 * 저동항여객선터미널 === 서해 === *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 [[인천항크루즈터미널]] * [[연안부두]] * 삼목선착장 * 용기포항 * 신도바다역 * 덕적바다역 * 자월도 달바위바다역 * 장봉바다역 * 연평바다역 *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 * 방아머리항여객선터미널 * [[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대천항연안여객터미널 * [[군산항국제여객터미널]] * 군산항연안여객터미널 * 목포항연안여객터미널 * 목포항국제여객터미널 : 목포~제주 항로만 취항 === 남해 ===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 * 통영여객선터미널 * 녹동신항여객선터미널 : 전국에서 유일하게 철도, 시외버스 등 타 장거리 여객 교통수단과 연계되며 [[동방고속]] 여수~녹동 노선이 연장 운행한다. * 여수연안여객터미널 * 여수엑스포여객선터미널 * [[광양항국제여객터미널]] *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 완도여객선터미널 * [[서성항여객선터미널]] * 제주항연안여객터미널 * 제주항국제여객터미널 * 성산항여객터미널 [[분류:해운]][[분류:여객선 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