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후량 황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338 0%, #044F67 20%, #044F67 80%, #002338)" {{{#fff '''여량 초대 황제'''}}}[br]{{{#fff {{{+1 '''太祖 懿武帝 | 태조 의무제'''}}}}}} }}} || ||<:><|2>'''[[출생|{{{#fff 출생}}}]]''' ||[[337년]] || ||[[후조]] 진주 [[간쑤성|천수군]] [[톈수이시|고현]][br](現 [[간쑤성]] [[톈수이시]]) || ||<:>'''[[사망|{{{#fff 사망}}}]]''' ||[[399년]] (향년 63세) || ||<:>'''[[묘호|{{{#fff 묘호}}}]]''' ||'''[[태조]](太祖)''' || ||<:>'''[[시호|{{{#fff 시호}}}]]''' ||의무황제(懿武皇帝) || ||<:>'''[[연호|{{{#fff 연호}}}]]''' ||태안(太安, 386년 ~ 389년)[br]인가(麟嘉, 389년 ~ 396년)[br]용비(龍飛, 396년 ~ 399년) || ||<:>'''[[성씨|{{{#fff 성}}}]]''' ||여(呂) || ||<:>'''[[휘|{{{#fff 휘}}}]]''' ||광(光) || ||<:>'''[[자(이름)|{{{#fff 자}}}]]''' ||원해(元海) || ||<:>'''{{{#fff 부왕}}}''' ||[[여파루|경소왕]](景昭王) || ||<:>'''{{{#fff 재위 기간}}}''' ||386년 ~ 399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후반 [[후량(오호십육국시대)|후량]]을 건국한 저족의 군주였다.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의무황제(懿武皇帝)였다. == 생애 == 《[[삼국지]]》에도 등장하는 이민족인 [[저족]] 출신이며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의 장수로 활약했다. 이 과정에서 멸망시킨 실크로드 국가가 쿠차 왕국이었다. 그가 쿠차 왕국에서 잡아 온 승려 [[구마라습]]은 훗날 [[강족]] 요씨의 [[후진(오호십육국시대)|후진]]으로 초빙된 뒤 [[산스크리트어]] 불경을 번역해 동아시아의 불교 발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의무제 여광은 명승 구마라습에게 씻을수 없는 악몽을 선사한 인물이기도 했다. 《고승전》에 의하면 여광은 구마라습을 학대하며 괴롭혔는데 난폭한 소나 말에 구마라습을 억지로 태운 후 떨어지게 하여 즐거워 한다거나, 구마라습에게는 사촌 여동생이 되는 쿠차 왕의 왕녀와 강제로 혼인을 시키려고도 했는데 기어이 구마라습과 사촌 여동생을 밀실에 밀어넣고 관계를 하지 않으면 사촌 여동생을 죽이겠다는 협박을 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구마라습은 사촌 여동생을 살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파계를 하게 되었다. 이후 구마라습은 후량이 멸망할 때까지 18년간 양주에 붙들려 있어야 했다. 처음에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의 제3대 세조 선소제 [[부견]]을 섬겨 미양령에 임명되었다가 전진이 [[동진]]과의 [[비수대전]]에서 참패하자(383. 11) 386년에 독립하여 양주를 점령하고, 독자적인 세력의 왕으로 즉위한 후 396년 [[천왕]]임을 선포해 나라 이름을 [[후량(오호십육국시대)|후량]]으로 정했다. 그가 세운 후량은 후손들이 [[콩가루 집안]] 놀이를 하다가 403년에 비참하게 멸망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진서)] [include(틀:위서(북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여광, version=66)] [[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황제]][[분류:337년 출생]][[분류:399년 사망]]